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날 결혼한 자식들의 세배돈은..?

세배돈 조회수 : 2,914
작성일 : 2012-01-16 14:51:06

아직 아이는 없고 이번이 첫 명절입니다.

세배돈을 어찌해야 하는지..

또 얼마나 하면 좋은지 조언 부탁드려요.

IP : 113.131.xxx.8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2.1.16 3:12 PM (164.124.xxx.136)

    결혼하고 첫 설에
    양가 부모님께서 세뱃돈 주셨어요

    그리고 저희도 드리구요
    주고받기가 되나요? ㅎㅎ

    친구들도 모두 첫설에는 세뱃돈을 받았더라구요
    집집마다 액수는 다 다르던데요

    첫설에 100만원 받은 친구가 가장 많이 받았구요
    저는 10만원 받았어요 가장 작게 받은 친구는 1만원 받고 형식상이라고 말씀하시고
    다음해부턴 너희가 가져와라 하셨다네요

    집안마다 다른가봐요

  • 2. 세배돈
    '12.1.16 3:15 PM (113.131.xxx.84)

    댓글 감사합니다.

  • 3. 기분이니까,,
    '12.1.16 3:19 PM (115.140.xxx.84)

    5만원권이나 만원권3장정도?
    빳빳한 새돈을 봉투에 넣어 주세요.


    10년전 돌아가신 친정엄마가
    설에는 항시 1만원권 새돈으로 딸 사위들 한장씩 주셨어요. (남자형제없어요)
    기분이 참 좋았어요.

    명절엔 꼭 그장면이 생각이 나네요.

  • 4. ..
    '12.1.16 3:25 PM (220.124.xxx.58)

    전 결혼 12년차이지만 아직도 세뱃돈을 주세요..
    시부모님께서는 아들 며느리 손주들 다 똑같이 만원씩 주시구요.(그것도 식구가 많으니 적은돈이 아니죠..)
    친정부모님께서는 아버지가 5만원씩 엄마가 만원씩 그리고 아이들은 3만원씩 주세요..
    그래서...남편은 모르는 일이지만 설땐 시댁보다 친정부모님께 돈을 더 넣어드립니다.
    그런데 돈이 얼마이고를 떠나서 아직도 부모님께 세뱃돈을 받으면 정이 느껴져서 너무 좋아요.
    나중에 돌아가시면 절하고 그 세뱃돈 주던 모습이 너무 그리울거 같아요...

  • 5.
    '12.1.16 3:30 PM (121.154.xxx.97)

    양가 부모님 모두 주셨어요.
    지금은 시어머님은 연세가 아~주 많으셔서 생략이고요.
    친정엄마는 지금도 새돈 바꿔놨다 봉투에 넣어주세요.(3만, 5만원)

  • 6. 세배돈
    '12.1.16 3:32 PM (113.131.xxx.84)

    저도 앞으로 세배돈을 계속 줄 예정입니다.
    근데 아이들은 좀 많은 돈을 우리에게 줄 것 같아서...
    너무 적게 주면 사위나 며느리가 섭섭해 하지나 않을까요?

    참고로 재력은 그들이 아직 젊으니 우리가 좀 나은편입니다.

  • 7.
    '12.1.16 3:37 PM (175.207.xxx.116)

    천원만 주셔도 좋아요.
    그냥 받는 것 자체가 기분 좋은 일이예요.

  • 8. @@
    '12.1.16 3:53 PM (114.207.xxx.239)

    전 첫해만 이만원 받았어요.
    금액을 떠나 받으니 기분 좋던데요.

  • 9. ..
    '12.1.16 4:08 PM (211.115.xxx.9)

    저도7년차지만 매해 세뱃돈받았어요.. 저희는형편이그래서 많이못드리는데 계산해보면 저희가 더 받아오네요^^;

  • 10. 시댁은
    '12.1.16 4:53 PM (119.203.xxx.138)

    안주시고
    친정은 봉투에 5만원 넣어서
    부부가 세배하면 사위에게, 며느리에게 줍니다.

  • 11. 시댁
    '12.1.16 5:46 PM (219.250.xxx.207)

    시댁에서는 받은적 없구요
    친정에서는 항상 30만원씩 주세요

    부자 친정도 아닌데두요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474 아이들 라식?라섹? 언제가 적당할까요? 5 고1맘 2012/01/17 949
59473 원룸 독립만세 2012/01/17 613
59472 후임병 살린 '육군장병 미담' 간부 조작 세우실 2012/01/17 325
59471 중1수학문제 4 도와주세요 2012/01/17 720
59470 낼 백화점 영업시간 1 백화점 2012/01/17 354
59469 화장실 청소하고 난 후 속이 매스꺼워요.. ㅠㅠ 5 .... 2012/01/17 1,700
59468 구두교환 5 ... 2012/01/17 448
59467 어느날 갑자기 사라진 친구 - 지금 고민중입니다. 18 2012/01/17 9,181
59466 4학년가방 4 ^^ 2012/01/17 736
59465 집에서 인절미 만드는법 아세요? 7 커피나무 2012/01/17 2,539
59464 전문대치위생vs4년제보건행정 3 크리녀 2012/01/17 1,639
59463 원래 생리 끝날때쯤 식욕이 올라오나요? 헝글.. 2012/01/17 523
59462 방학중 아이들 간식 5 드림하이 2012/01/17 1,239
59461 꿈에 쥐가 나왔어요..그 쥐가 아니라 진짜 쥐에요.. 8 징그러워요ㅠ.. 2012/01/17 2,014
59460 요즘 대학 다시 입학해보신분 계세요? 4 90년 초반.. 2012/01/17 866
59459 이노래 아시는분 2 노래 2012/01/17 512
59458 구로디지털단지역 근처 작은 마트나 장서는 곳 알려주세요 ^^ 6 panini.. 2012/01/17 1,088
59457 처음 연도 드리고 왔어요. 1 초보신자 2012/01/17 842
59456 분말로 된 생식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요? 1 어쩌죠.. 2012/01/17 3,591
59455 최정원 얼굴 표정 갑갑하네요 8 2012/01/17 5,829
59454 종금 CMA계좌 출금은 먼저 입금된 거부터 빼는거죠?? 2 궁금 2012/01/17 812
59453 결혼의 첫째 조건!!! 40 83학번 2012/01/17 10,109
59452 옥션 11번가에서 파는 코치가방 . 정식통관이라도 가품 의심해야.. 고민 2012/01/17 1,351
59451 정말 아파트는 돈없고 무식한 사람들만 모여살게 될 듯 합니다. 43 이러다 2012/01/17 13,159
59450 '북한 퍼주기?' 그 진실은? 능선길 2012/01/17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