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산후조리원 2주 있다가 혼자 있는 거 가능하겠지요?

예비산모 조회수 : 3,750
작성일 : 2011-11-04 12:26:16

산후조리원에 있다가 산후도우미를 부르거나 아니면 양가 어머니의 도움을 보통 받더라구요.

저는 좀 예민한 편이라 다른 사람(산후도우미)을 집에 들이기가 힘들 것 같고,

양가 어머니께도 맡기고 싶지 않습니다.(사정도 안 되고요)

남편 도움은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주말에나 잠깐 얼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안 그래도 저질 체력이라 걱정인데 제가 너무 무리한 산후 생활을 시도하는 걸까요?

초산에 체력이 아주 좋지 않은 편입니다. 엄마는 강하니까 할 수 있겠지요??

아기 낳아보신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222.239.xxx.21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4 12:28 PM (121.152.xxx.219)

    안됩니다.
    엄마는 강하지만 산모는 약합니다.

    산후조리 최소 100일 하세요.
    조리원 있는 비용으로 도우미를 길게 쓰는게 더 좋구요.

  • 2. ..
    '11.11.4 12:30 PM (58.229.xxx.154)

    몸 불편하신걸 감수하신다면 충분히 혼자 가능하세요.
    남이 내 공간에 있는것이 힘들면 아무리 저질체력이라도 없는 힘 짜서 움직이게 되지요.
    2주정도 조리원에 계신다니...아기랑 둘이 생활 하시는데는 문제 없겠네요.
    해보시다가 힘드시면 그때 도움 청하셔도 늦지 않을듯 싶어요.

  • 3. ...
    '11.11.4 12:33 PM (122.32.xxx.12)

    아니면 조리원을 한 3주 있다가 나와서 하시는건 괜찮을것 같은데요....
    또 제 느낌엔 2주하고 3주는 또 차이가 컸던것 같고..

    아예 혼자 하실 생각이면...
    조리원을 한주 더 있으면 어떨까요..

  • 4. ...
    '11.11.4 12:41 PM (115.86.xxx.24)

    죽이되든 밥이되든 되겠지만
    저같으면 예민한 성격 죽이고
    그냥 도우미 쓰겠습니다.

    돈이 없어서 안쓰는거 아닌다음에야.
    평생 한두번 낳는거 내가 얼마나 강한지 시험해볼 필요 있을까요?

    (어제 친구들이랑 산후조리 얘기 하다가 울고 짠 이야기 나왔는데 다시 울컥해 지더군요.
    애 낳는거 보다 낳고나서가 훨씬 심적으로 힘들었어요. 적어도 1년은 아주 힘든데
    1주, 2주,3주...이럴때부터 실미도 뭐하러 당겨서 들어갈려고 하세요.)

  • 5. ㅡ.ㅡ
    '11.11.4 12:54 PM (175.112.xxx.49)

    산후조리원2주에 도우미분한달(6시퇴근 주말일찍퇴근 일요일 쉬시고) 이후엔 친정어머니 도움 간간히 받고 남편이

    많이도와주는 편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전 힘들던데요. 노산에 첫애라서 모든게 서툴고 조심스럽구요.

    도우미분퇴근후엔 계속 남편과 번갈아 아기돌봤지만 아무래도 엄마가 더 안고 달래게 되고 백일되기전 아기 밤낮없이

    보채고 엄마는 수면부족에 체력적으로 넘 힘들어요. 밤에만 주로 제가 안고 달래고 했는대도 출산4개월이 지난 요즘

    날씨궂음 뼈마디가 욱씬거린다는 말을 실감하고 있네요. 몸조리 정말중요해요.

  • 6. 저도
    '11.11.4 1:11 PM (116.38.xxx.68)

    예민한 성격 죽이고 산후도우미 쓰겠습니다. 저도 예민해서 사람들이기 싫어서 안 썼는데;; 남편이 프리라 남편을 아주 잡았습니다. 남편 고생할까봐 결국 시어머니가 와서 청소해 주시고 반찬해 날라주고 하셨는데 그럼에도 남편 잡았어요;; 수발 들 게 얼마나 많은지, 아가랑 있는 방은 깨끗해야 해서 청소도 하루 한 번은 닦는 거까지 해야하고 환기도 해야하고(찬바람 들까봐 아기랑 저는 딴 방으로 피신) 간식도 먹어야 젖도 잘 나오고. 우리 남편은 지금도 산후조리 생각하면 피곤해 하면서도 뿌듯해 합니다. 저는 제가 장애인 같이 제 앞가림도 못 했던 비참한 시절 같아요(장애인 비하 아님) 당시엔 무력하고 손 많이 가는 나 자신에 대한 회의와 남편에게 무한미안 하더군요.

    이제 10개월차인데 이제는 많이 예민한 거 누그러져서 돈만 되면 아줌마 쓰고 싶어요. ㅠ쓰세요~~

  • 7. 예비산모
    '11.11.4 2:14 PM (222.239.xxx.219)

    댓글 달아주신 것을 보니 생각이 많아지네요.ㅠㅠ
    잡을 남편이라도 있으면 강행하겠는데 남편 얼굴보기도 힘들 것 같아서요.
    남편이 아이 얼굴 보기도 힘들 거예요.
    '닥치고 산후조리만'생각해야 하는 건가요.ㅠㅠ
    며칠 전에 아기 낳은 친구랑 통화했더니 아기 낳고 3일 동안 속옷도 혼자 못 갈아 입었다고
    저한테 너무 만만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뭐라 하더라구요.
    제가 너무 어리석은가봐요.

  • 8. 저도 저질체력
    '11.11.4 2:32 PM (203.226.xxx.94)

    조리원 2주 도우미 2주 하고
    1주일 버티다 유선염걸려 입원했어요

    1주일 입원동안... 20시간 잠만 잤어요..

  • 9. ...
    '11.11.4 2:55 PM (175.194.xxx.138)

    전 재왕절개로 아이낳고 5일만에 퇴원해서
    애둘 보면서 갓난아이까지 모유수유 해가면서
    일까지(자영업이라 집에서 일함) 했는데요
    지금 너무 힘들어요
    온몸이 안아픈데가 없고
    매일매일이 피곤하고 살은 절대 안빠지고 그대로...
    그냥 너무 속상하고 힘들어요
    되도록이면 조리원에 더 있다 나오세요
    안그럼 평생 후회 합니다

  • 10. ...
    '11.11.4 3:17 PM (125.177.xxx.148)

    평소에 운동을 많이 하시거나, 체력이 강한 분이라면 산후 조리원 2주정도만 하도고 바로 집에서 아이보고 살림 다하시는 분도 가끔 봤습니다만, 대부분 힘듭니다.

    첫아이고, 더구나 체력도 약하신 분이라면 아예 산후 조리원을 한주 더 하거나, 아니면 그냥 불편한거 참으시고 산후 도우미라도 2주 정도 더 쓰세요. 정말 운이 좋아서 아기가 아주 순한 경우라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다면 첫 한달은 많이 힘듭니다.

  • 11. 순돌이
    '11.11.4 4:04 PM (175.124.xxx.3)

    저 예민해서 도우미 중간에 포기하고 혼자 했어요.
    온갖 병이 다 와서 너무 힘들어요.
    아픈데 애 때문에 병원 갈 시간도 여력도 없어서 두배 더 힘들어요.
    제발 도우미 마음에 안들고 스트레스 받으셔도 몇달은 낮이라도 도우미 쓰세요.

  • 12. dd
    '11.11.4 4:14 PM (119.194.xxx.127)

    딱 아이만 보시면 가능할 것 같아요. 대신 살림은 절대 하지 마세요. 국이나 반찬 같은 건 배달 시키시든지 누가 며칠에 한 번씩 끓여 주면 될 것 같구요.. 전 둘째 출산 내년에 하는데, 큰 애 얼굴 안 보고 살 자신 없어서 2주 조리원에 있다 집으로 올 거예요. 살림이나 청소 같은 건 일체 안할 거구요,, 큰 애가 아침에 유치원 가고 학원 갔다가 저녁 5시 이후에나 오니 많이 치닥거리 할 일도 없을 것 같네요.

  • 13. 비추
    '11.11.5 2:20 AM (112.169.xxx.181)

    몸 다 망가져요. 이건 경험자들이 잘 알죠..ㅠㅠ 도우미 너무 불편해도..나중에 몸 불편한 것보단 나을 거예요. 님은 애기만 케어하시구,,살림 누군가에게 맡기세요. 혼자서는 살림 안할래야 안할 수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821 "에리카김, 왜 오산 미군비행장 통해 입국?" 3 mb아킬레스.. 2011/11/04 3,020
35820 걸레를 세면대에 빤다는 베스트글보고.. 15 .. 2011/11/04 4,453
35819 소고기 장조림 하려는데 찬물에 넣고 끓이나요? 12 장조림 2011/11/04 3,765
35818 인상깊었던 성공서적 추천해주세요. 6 독서 2011/11/04 2,089
35817 진보정당들은 큰 착각을 하고 있음. 9 시민만세 2011/11/04 2,274
35816 저 동네에 홈플생겨서 취직하려는데 붙을까요? 7 딸부자엄마 2011/11/04 2,997
35815 오늘 집회 국회앞인가요 국민은행 앞인가요? 2 ... 2011/11/04 1,564
35814 부자신문들 강남에서 방사능 검출돼도 이랬을까? cmdm 2011/11/04 1,759
35813 아이폰 어플에 촛불 앱 있네요. 1 꺼지지 않는.. 2011/11/04 1,812
35812 올케의 한마디,, 25 케잌 2011/11/04 7,329
35811 이상득 의원실에 전화햇어요.. 6 fta폐기 2011/11/04 2,821
35810 게시판 이용에 대하여 14 보고파 2011/11/04 1,751
35809 레이저,듀오필름중 어떤것? 티눈 2011/11/04 4,373
35808 일본에서 보는 한미FTA추이.. 5 듣보잡 2011/11/04 1,980
35807 시립대 반값등록금 큰 이슈 아닌가요? 1 yjsdm 2011/11/04 2,034
35806 민심이 끓어오르고 있는 것 같아요. 10 민심 2011/11/04 4,307
35805 FTA 반대 전화할 곳들이에요-복사권장 2 반지 2011/11/04 1,715
35804 절에 다니려고 하는데 무턱대고 가도 되나요? 10 수양 2011/11/04 9,223
35803 이 글 출처가 어디인지 아시는분~ 4 .. 2011/11/04 1,855
35802 아.......숙제 합시다 부활 해야되나여? 3 .. 2011/11/04 1,664
35801 부모유산 10억과 월수 천중에 어떤게 나으신지요 22 재산 2011/11/04 7,449
35800 헬렌 카민스키 구매대행 사이트 알려주세요~ winy 2011/11/04 2,061
35799 그러니까 집회에 많이 많이 나와 주세요. 16 분당 아줌마.. 2011/11/04 2,091
35798 제가 즐겨가는 카페에 정치 게시판을 따로 만들었는데요 3 막아야 산다.. 2011/11/04 1,907
35797 홍준표 "한미FTA, 한국의 사법주권 전체를 미국에 바친 것" 4 우언 2011/11/04 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