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살에 유치원 보내도 될까요?그런분 계신가요

애키우기힘듬 조회수 : 1,818
작성일 : 2011-09-01 13:15:43

5살인데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안다니고 있어요.

5살까지는 제가 데리고 있어볼까 하는데요. 작은애도 있고요.

 

4살쯤에 어린이집 한번 보냈다가 많이 힘들었는데

죽어도 자기는 엄마랑 떨어질수가 없다네요.

크게 신경쓰지 않고 올해는 제가 데리고 있고 내년에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보내볼까 하는데요

 

주변에서 보는사람마다 어찌 데리고 있냐고 사회성 결여되고

자극을 받아야 똑똑해지는데 집에만 있다고 걱정들을 많이 하시네요

 

올해까지 데리고 있어볼까 했다가 주변에서 너무 겁나게 말들을 하셔서

혹시나 82에 6살에 유치원 보내신 분계신가 해서요.

조언도 듣고 싶어요.

IP : 211.209.xxx.11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콩나물
    '11.9.1 1:19 PM (218.152.xxx.206)

    참.. 그럼 어린이집/ 유치원 없었던 시절에 태어난 아이들은 다 사회성 결여 인가요?
    남일에 너무 이래 저래 말이 많은 듯

    엄마의 소신이 제일 중요하죠.

  • 2. ....
    '11.9.1 1:21 PM (121.152.xxx.219)

    내년에 유치원 자리 맡기도 힘들지 않을까요? 가을학기에 자리있으면 넣으시는게..
    엄마가 집에만 데리고 있으면 비추천이구요.
    엄마가 부지런히 데리고 다니고 놀고 그러시면 집에 있으셔도 되구요.^^

  • 3. ㅡ.ㅡ
    '11.9.1 1:23 PM (118.33.xxx.102)

    교육학적으로 4살에 보내는 게 맞고 보내야 좋은 게 맞아요. 오늘 60분 부모 보니까 엄마랑 떨어지지 않으려는 아이에 대한 내용 나오던데 유익하더군요. 다시보기 보시길 (유료입니다.)..

  • 4. 파란하늘
    '11.9.1 1:26 PM (121.151.xxx.209)

    지금 초3인 저희딸아이 5세때까지 집에 델꼬있다가 6세때 유치원보냈어요.

    그냥 집에서 단지내에 있는 종이접기(본인이 원해서) 보내고 그외엔 저랑 시간을 보냈네요.

    단지내에 또래들이 거의 없고 한두살 어린 동생들이라 그 애들 하원하면 놀이터에서 같이 뛰어놀며

    지냈는데 사회성 전혀 문제없구요.

    6세때 보내니 오히려 엄청 재미있어하더라구요. 한글도 7세때 가르쳤는데 막상 학교들어가서는

    받아쓰기 100점 잘 받아오고 지금까지 학교생활 별 문제없이 잘 하고 있습니다.

    굳이 아이가 원하지 않는다면 엄마가 데리고 계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아요(엄마가 힘드시겠니만)

    대신 아이가 원하는 걸 좀 시켜주면 좋겠지요.

  • 5. 냐옹
    '11.9.1 1:28 PM (59.11.xxx.230)

    제가 6살때부터 유치원 다녔거든요 ;; 지금은 30대지만 ;;
    근데 아직도 6살 유치원 시절이 기억나요 ;; 신기할정도로
    유치원 마당에서 토끼 기르던가 유치원버스 타고 친구들이랑 장난쳤던거
    덕분에 전 애기 낳으면 친구 많이 사귀고 좋은 기억 만들게
    어릴때부터 보낼생각이예요
    처음이 어렵지 조금 지나면 금방 적응해요 애들은

  • 6. 글쎄요~
    '11.9.1 1:39 PM (211.226.xxx.10)

    옛날이야 유치원 안다녀도 주위에 함께 놀 친구도 많고 지금처럼 위험하지도 않아서 과보호도 거의 없었기때문에 보다 자유롭게 아이가 뛰어놀 환경이 되었잖아요. 그러니까 취학전 교육 안받아도 알아서 학교 들어가면 잘 했지만 지금은 좀 다른 것 같아요. 엄마랑 둘이만 5살까지 있다가 6살에 갑자기 많은 친구들 만나고 갑자기 규칙에 매어야하면 그에 익숙한(요즘은 4살 부터 다니기때문에 애들 눈치가 빤합니다...) 아이들한테 상대적으로 주눅도 들고 그러지 않을까요? 예상외로 적응력이 뛰어난 아이도 있지만 대부분 그런것 같아요 사회성이 자연스럽게 길러지지 않는 현실이니 교육이란 형태에 예속할 수 밖에 없죠.

  • 7. ..
    '11.9.1 1:46 PM (61.81.xxx.254)

    예전상황이랑 비교할 일은 아니구요
    옛날에야 유치원 안가는 아이들이 더 많았죠
    저도 첫 시설이란데가 초1때 입학이였음
    유치원 안가도 동네에서 해저물도록 아이들과 놀았으니 사회성이니 머니 걱정안해도 되던 환경이였지만 지금은 어디 그런가요?
    다 유치원 다니는데 혼자 안다니면 당연 사회성이나 친구랑 놀이시간이 부족하게 되는건 감수해야할 환경이 되었잖아요
    엄마가 아무리 잘 놀아준다고 해도 그 또래 애들끼리 노는 문화가 또 있어요
    별일없으면 보내심이....

  • 8.
    '11.9.1 1:55 PM (118.221.xxx.157)

    저도 5살 때 데리고 있었어요.
    둘이 여기저기 많이 다니고, 유치원 안가는 대신 문화센터랑 요미요미같은 곳에서 친구들 사귀었구요.
    유치원에 들어가면 더 잘 배울 수 있는 사회성, 규칙 등은 6살 때 배워도 친구들보다 처지거나 주눅들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걱정하실 이유 없어요.

  • 9. 7세
    '11.9.1 2:00 PM (123.214.xxx.214)

    외부인이나 친척들과 교류가 있다면 7세에 보내도 괜찮아요
    주변에 7세에 보낸 엄마들이 있는데 아이들이오히려 더 즐거워하더군요..
    소신껏 하셔도 됩니다.저는 오히려 너무 일찍 보내는것을 염려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548 두부전 했는데.. 너무 뻑뻑해요 4 2011/09/07 958
10547 왜 안철수씨는 박원순씨와 연대하고 싶어하는지..궁금. 3 꿀벌나무 2011/09/07 1,440
10546 곽교육감님 차용증... 25 ... 2011/09/07 2,971
10545 스스로가 한심해요 5 초록가득 2011/09/07 1,279
10544 전 대체 무슨일을 할 수 있을까요?? 한국은 영어 가르치기 힘든.. 6 헤헤 2011/09/07 1,880
10543 짠음식을 너무 좋아해요..ㅠㅠ 4 .. 2011/09/07 1,184
10542 2천만원가량의 새차를 현금으로 구매하면 카드혜택이 얼마나 되나요.. 5 $$ 2011/09/07 1,646
10541 퇴사자 중간 연말 정산문의요... 1 ,,, 2011/09/07 1,157
10540 남자친구가 생겼다네요 3 고2딸아이 2011/09/07 1,271
10539 검정고무신 7 그지패밀리 2011/09/07 1,159
10538 추석지나고 2주 후 아들 중간고사네요.. 17 추석 2011/09/07 1,816
10537 본인이 진짜 ~말 없다고 느끼시는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6 .. 2011/09/07 1,360
10536 7살 아들이 정관장을 사달라고 해서 알아봤더니...(웃겨요^^).. 11 .. 2011/09/07 3,441
10535 2mb18noma갖고 딴지건 핑크님만 보세요. 1 ^^ 2011/09/07 879
10534 [뉴시스 긴급여론조사①]안철수 42.4% vs 박근혜 40.5%.. 9 참맛 2011/09/07 1,679
10533 공감백배~ㅋㅋ웃고가세요^^ 1 12월 예비.. 2011/09/07 1,190
10532 추석때 돈드리고 선물도 드리나요? 5 .. 2011/09/07 1,837
10531 학습지 선생님이 남자래요. 3 .. 2011/09/07 1,589
10530 9월 6일자 민언련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 세우실 2011/09/06 945
10529 인천공항에 즉석 사진 찍을데가 있나요? 1 즉석사진 2011/09/06 5,998
10528 결혼전 부모님과 보내는 마지막 추석인데요...선물 해드리고싶어요.. 2 마지막추석 2011/09/06 1,480
10527 전세집 경매 1 %% 2011/09/06 1,563
10526 무한잉크어디서구하세요? 저예요 2011/09/06 1,283
10525 15년 만에 루이비통 지갑 사준대요. 추천해주세요. 2 백원만 2011/09/06 2,088
10524 뚝섬역 20평대 아파트 요즘 전세 얼마정도 하나요? 1 성수동 사시.. 2011/09/06 1,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