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와 가물치
가물치는 한자로 여어(여魚)라 부르는데 조선 선조 때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譚)에서는 부인에게 좋은 물고기라 하여 가모치(加母致)라고 별명을 붙이기도 하였다. 요즘도 출산을 한 젊은 여성들은 누구나 산모에 좋은 영양 식품으로 알고 서로 권하면 서 즐겨 먹고 있다.
실제 산후에는 기력이 탈진해 있으므로 영양을 보충하는 데 있어서도 육류에 비해 소화에 비교적 부담이 없는 물고기를 많이 선택해 왔던 것이다. 그래서 산후 부종이 심할 때는 씨를 뺀 호박에 미꾸라지를 넣어 먹기도 하며 잉어 붕어 가물치 장어 등으로 곰 을 해먹기도 하고 있다.
모든 음식이나 한약으로 쓰이는 동식물은 그 성질이 있으므로 그것을 잘 활용하자는 것이 한의학이다. 산후에 보하는 음식의 경우도, 소화 시간이 길고 온혈 동물인 육류보다는 냉혈동물이면서 담백한 물고기가 소화에도 부담이 없고 영양도 충분하여 산후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 한의학적인 견해이다.
가물치의 효능에 대해 모든 한의학 서적에서는 공통적으로 맛은 달고 성질은 냉하며 부종을 다스린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산후에 우울증과 불만으로 인해 속열이 있어 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부기가 빨리 빠지지 않을 때 잠시 먹으면 단 맛으로 영양 보충도 하 면서 그 냉한 성질로 울화를 식히고 소변을 통해 주니 산후 부종을 빨리 푸는 것이다.
그러나 몸에 찬바람이 느껴지고 젖이 묽으며(물젖) 속이 냉하여 냉수를 먹었다 하면 소화가 안되고 설사하는 산모라면 성질이 냉한 가물치보다는 붕어나 잉어 미꾸라지 등이 회복에 더 유리할 것이다.
이렇게 간혹 그 성질이 와전되어 널리 쓰이는 예 중에 익모초도 있다. 대개 부인병에 무난히 쓸 수 있는 약으로 알고 있는 것은 좋다. 그러나 역시 익모초도 성질이 냉하고 맛이 써서, 좀 뚱뚱하고 혈색이 누렇고 거무스름한 사람이면 쓸 만하나 야위고 핼쑥 하며 배가 찬 여성이 장복하면 오히려 더 냉해지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는 것이다.
언제든지 산모는 빠른 회복을 위해서 몸을 따뜻하게 간수하고 음식도 속을 냉하게 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육아&교육
내 아이를 더 밝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정보교환과 질문의 장
산모와가물치
남자주부대왕 |
조회수 : 1,540 |
추천수 : 94
작성일 : 2009-03-11 09:55:43

- [건강] 수면과우울증 2010-06-07
- [건강] 곡물섬유소 2010-06-05
- [건강] 월경불순 2009-03-11
- [건강] 여성빈혈 1 2009-03-04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