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 안에서 어떤 엄마의 좌석에 앉은 아들에게 앞에 선 할머니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도록 눈 감고 자는 척 하라는 보도가 있었다 .
물론 그렇게 말한 엄마는 아들이 편하게 갈수 있도록 배려를 한 것이겠다 .
-----------------------------------------------------------------------------
세계 제일의 강대국인 미국의 힘은 군사력 , 경제력 , 민주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 반면 어떤 학자는 미국인들의 남다른 자선의식 ( 慈善意識 ) 이 문제 많은 미국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강력한 힘이라고 주장합니다 .
우리 주변에도 평생 노점상을 한 사람이 전 재산을 기부하고 먹을 것 , 입을 것까지 아껴가며 고생해 모은 재산을 자선 단체에 기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 이처럼 어려운 살림 속에서도 푼푼이 돈을 모아 이웃을 돕는 독지가들이 있습니다 .
반면 부모에게서 많은 재산을 물려받은 사람들 , 국민의 세금을 빌려 엄청난 돈을 버는 기업들이 어려운 이웃을 외면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 게 중에 해외로 돈을 빼돌리기도 하고 , 자기 사업을 위해 국민의 세금으로 재기도 합니다 . 기껏 연말에나 한 해를 보내는 마무리 행사처럼 생색내기용 자선을 합니다 .
( 옛날 , 어떤 백성이 왕의 부름을 받았습니다 . 그는 아무리 생각해도 왕이 자신을 부를 이유가 없었습니다 . 왕의 사자까지 찾아와 빨리 궁궐로 가자고 재촉하자 겁이 나 친구들에게 동행해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 세 명의 친구 중 첫 번째 친구는 가장 친했고 , 두 번째 친구는 친하지는 않지만 가까운 편이었고 , 세 번째 친구는 그다지 가깝지는 않았습니다 .
첫 번째 친구는 냉담하게 거절했고 , 두 번째 친구는 ‘ 궁궐 앞까지만 가겠다 .’ 고 단서를 달았고 , 별 왕래도 없던 세 번째 친구는 흔쾌히 고개를 끄덕이며 ‘ 암 , 함께 가고말고 . 자네는 분명 아무 잘못이 없을 테니 함께 임금님을 만나보도록 함세 .’ 라며 떠날 준비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
첫 번째 친구는 ‘ 재물 ’ 로 아무리 많아도 죽을 때 하나도 가져갈 수 없는 것이고 , 두 번째 친구는 ‘ 친척 ’ 으로 무덤까지만 동행하는 관계이고 , 세 번째 친구는 ‘ 선행 ’ 으로 평소엔 잘 보이지 않지만 죽은 뒤에도 남는 것은 그 사람이 남긴 선행뿐이라는 의미입니다 .
요즘 우리 사회엔 남에게 양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합니다 . 맨 위 예에서 보듯 어려서부터 남을 위한 양보나 선행에 익숙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 수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이 열심히 공부하여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을 얻기를 원할 뿐 , 어떻게 남과 융화하면서 조화로운 삶을 살아갈 것인지를 가르치지 않은 결과입니다 .
남보다 많이 배우고 아무리 중요한 일을 한다고 해도 자선을 잊으면 그 삶은 불안전하여 살벌합니다 . 따라서 자선이 ; 나 선행은 자녀가 어릴 때부터 익숙해지도록 기르치는 사회교육인 셈입니다 .
자선이나 배려가 자신의 아량이 아니라 의무라는 점을 자녀들에게 가르치는 것입니다 .
어려서부터 자신의 삶은 항상 사회를 향해 열려 있어야 합니다 . 그러므로 전철에서 노인이나 자기보다 약한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일이 당연한 것은 아무런 저항이나 부담감 없이 사회에 적응하도록 배운 결과입니다 .
이웃에 대한 자선과 선행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것은 자녀들이 값지고 올바른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