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심경의 변화... 인 거겠죠.

ㅡㅡ 조회수 : 2,188
작성일 : 2023-05-15 18:15:34
(급 쎌털) 40대, 비혼, 정규직, 실거주 1주택자.

얼마 전, 자신의 친 언니가
모아놓은 돈도 하나 없이 덕질만 일삼고 있다는 글에
지나가듯 슥 달린 댓글에 갑자기 머리가 딩~ 했습니다.
.. 저렇게 살다가 빈곤한 노년층 되면 또 지원금 받는다..고.

정치적으로 단 한번도 보수(... 라 쓰고 그냥 친일계) 정당을 지지한 적이 없다 못해, 오히려 농반진반 아임 좌빨~ 이라고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보편적 복지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미래 세대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은 당연히 나도 부담해야하는 게 맞다고 여겼고,
국가는 시장경제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 개입으르 통해서 사회의 분배에 관여해야한다고 믿었구요.

고만고만한 학교를 나와서,
고만고만한 직장에서 단 한번도 쉬지 않고 일했고,
감사하게도 어릴 때는 급여가 적지 않은 편이었어서
라떼~ 다 그랬듯 2,30대에는 뼈를 갈아넣어 일을 하면서
착실히 저축도 하고 내 집 마련도 하고,
그렇게 늙어가고 있습니다.

오늘 금융사에 이런저런 서류를 제출할 것이 있어서
1년치 소득명세서를 자세히 들여다 볼 일이 생겼습니다.
- 직장인들 다 아실거에요, 사무실 경리 언니가 계산기 두드려서 주는 게 아닌 규모있는 회사라면 그냥 그랬구나로 늘 통장에 찍히는 돈만 보고 산다는 것.

제 연봉이, 제 생각보다 많이 높았습니다.
지금 차근히 한번 살펴보니,
월급여 중 실 지급액이, 70% 가 조금 넘는 수준이네요.
어마어마한 금액을 세금과 각종 공제로 내고 있고.
게다가 기본급이 낮아서 퇴직금은 헛웃음 나는 수준이고.

최근에 취미로 알게 된 사람들이,
지출에 거리낌이 없는 편이라 다들 경제력이 좀 되는구나 했어요.
- 고가품을 소비한다기보다, 소소하게 아끼는 느낌이 없어서. -

그런데 연간 고정 이자 받는 것처럼,
너무 당연하게 근로소득 장려금을 받아서 쓰는 이야기를 하는데, 정말 현타가 쎄게 왔습니다. 한 둘이 아니었어요.
- 자영업이나 다른 일들을 해서 소득과 세금이 일치하지 않음

근로소득 장려금은, 정말 한 가구에서 일해서 번 돈이
생계비에 못 미칠 때 지원하는 것이라 여겼고,
받아본 적은 커녕, 근처도 못 가봤지만
개인적으로 정말 엄청 지지하고 자랑스러워 했던 정책이었는데
그게, 이 사람들의 취미 생활비로 쓰였다니.

평생 비슷한 사람들 - 직장인- 사이에서 살아와서 그런지
이게 한 개인의 케이스일거야.. 라고 생각이 안되고,
갑자기, 나는 그동안 그렇게 개처럼 일해서
세금내고 공제내고 했고, 누군가는 이렇게 살고 있다는 게.

물론, 냉정하게 금액으로 말하면
그들이 (그것도 가구당) 1년치 장려금으로 받았다는 돈은
제가 낸 (이라고 쓰고 뜯긴) 세금과 공제 2,3개월 정도 지만,
어디서 부터인지 충격이 크네요.

앞에서도 말했지만,
갑자기 제 상황이 바뀐 것도
제도가 바뀐 것도 아닌데
이런 심경의 변화가 어디서 시작이 되었는지,
그 동안 적잖이 쌓였던 것들이 이제서야 무게감이 느껴진 건지 모르겠지만.

내가 그게 옳다고 지지하고 믿었던 신념 말고,
나에게 이득이 되는 것이 옳은 것이어야 하나.
생각이 많아집니다, 정말로.
IP : 210.94.xxx.8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3.5.15 6:22 PM (175.113.xxx.252)

    죄송하지만
    저는 그 심경의 변화가 일찍 왔어요

  • 2. 원글
    '23.5.15 6:26 PM (210.94.xxx.89)

    죄송할게 뭐 있어요.
    제가 너무 유토피아에 꿈만 꾸고 살았던 비현실이었던 걸 수도 있죠 뭐.

    여전히, 그래도 그게 맞는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있었는데
    좀 계속.. 현타에서 벗어나질 못하네요.

  • 3. ..
    '23.5.15 6:28 PM (112.144.xxx.120)

    사회적 세뇌에서 객관적으로 볼 시점이 온거죠.
    1인가구 다주택 비정규직 자영업자 스리잡러인데요.
    내가 남보다 열심히 일하고 일군걸 덜 그런 사람들 부양허는데 꽤 많이 나눠쓰자고 내놓으라는데
    그건 그들이 머릿수가 많고 모아서 나같은 사람 위험하게항수도 있는데 사회적으로 최소한의 보호해주는 보호비라고 칩니다.
    그냥 놔두면 원시사회라면 고기 잘잡는 사람 금덩이 모아놓은 사람꺼 뺏어서 일안한 사람들이 나눠먹고 또 일시키겟죠.
    돈 없는 척하고 조용히 사는게 그나마 안전한거더라고요

  • 4. 대학교 여자 선배
    '23.5.15 6:30 PM (220.78.xxx.44)

    미혼인 50대 초반 제 선배는 취미가 봄, 여름, 가을 골프이며,겨울에는 스키를 타죠.
    집에서 공부방 작게 하고 있는데 월수입이 300만원 조금 넘는다고 합니다.
    적금, 저금 전혀 하지 않고 그 달 수입은 그냥 다 쓰고 살고 있답니다.
    노년엔 경기 남부 신도시의 국민임대에 들어 가겠다고 하더라고요^^

  • 5. ㅡㅡ
    '23.5.15 6:42 PM (210.94.xxx.89)

    112.144 님 말씀 중 와 닿는 말이 있네요.
    사회적 안전비.

    맞아요, 예전에 상속에만 몰두하는 게 아니라
    기부하는 부유층들에 대한 글에서 그런 표현을 봤거든요

    내 아이가 살아갈 세상이 좀 더 안전하길.. 이라고
    맞네요, 그런 것도 있을 것 같은.

    위에 그 대학 선배님은 한편으로는 대단하시네요 ㅎㅎ

  • 6. .....
    '23.5.15 6:51 PM (210.113.xxx.68)

    그래서 엘리트층이 보수화가 되요.
    세금 반 이상 내는 사람들이 평등정책을 지지한다는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 7. ㅡㅡ
    '23.5.15 7:01 PM (210.94.xxx.89)

    저는 그들의 보수화를 그 동안 탐욕으로 여겼는데
    지금은 그들에게는 합리..였을 거란 생각이 들어요.

    어쩌면 저는 엘리트 층에도 못 끼고
    어정쩡하게 역전되는 중간이라 더 그런가봐요

  • 8. 고소득고자산가들
    '23.5.15 7:35 PM (112.144.xxx.120) - 삭제된댓글

    바보라서 사회적으로 내라는 세금 번거 반씩 고분고분 내고
    남들보다 몇배 비싼 동네 사는게 아니예요.
    거기살면 계층 다른 사람들하고 분리해서 자기들한테만 필요한 시설 사람 서비스 응축해서 소비하고 개인적으로 방범하는 것보다 저렴해서 그렇게 사는 거예요.
    그들도 삥뜯기는거 아닌데 보호비 내는거죠.
    세금이란게 그런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8531 패키지여행 항공편을 비즈니스로 바꿀수있나요? 디스크 18:35:12 51
1688530 내일 아침 메뉴 뭐 하실거에요? 1 내일 18:34:54 48
1688529 유통기한 지난 닭가슴살 먹어도 될까요? ㅇㅇ 18:34:53 12
1688528 남은 총각무 줄기 푹 오래 끓이면 안질기나요?? ,, 18:34:05 20
1688527 다단계 월30 버는거 어떤가요 3 ㅇㅇ 18:30:46 172
1688526 숭실대 '입학취소'... 옆자리 학원생이 개인정보 도용 1 ㅅㅅ 18:30:07 424
1688525 직장생활. 별거아닌 질문 3 18:22:48 252
1688524 미국에서 사온 전기밥솥(120)이 한국에서 변압기 없이 잘 되는.. 1 18:22:45 132
1688523 마트에서 구입한 회 1 18:21:43 308
1688522 경찰서에서 고지서가 왔는데 8 .. 18:20:32 744
1688521 인스턴트 커피 리필 3 .. 18:19:54 271
1688520 윤석열 헌재 재판정에서 말도 안 하고 나가는 모습 9 .. 18:16:19 879
1688519 납골당에서 제사 많이 지내나요? 8 ... 18:15:07 358
1688518 별별거 다 알려준대서 물으러왔어요 5 ........ 18:13:10 778
1688517 흰머리 커버용 1 .. 18:11:28 215
1688516 상위권 공대에서 성적 장학금 받는 경우 7 궁금 18:10:30 293
1688515 척수증 어째야 할까요? 감사해요 18:09:02 173
1688514 이수지 때문에 웃음 터진 비 영상 넘 웃기네요 3 18:07:44 952
1688513 82에 처음 한번 얘기해보는 건데요 19 ... 18:03:04 959
1688512 당근..이런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5 초보 17:53:01 609
1688511 식빵 봉지 안에 물기 5 ... 17:52:43 595
1688510 시판냉동 핫윙 덜 짠건 없나요? 1 넘 짜. 17:50:47 103
1688509 남편이 돌아가신 시어머님에 대한 불편한 이야기를 할때 19 위안? 17:50:14 2,040
1688508 육사시미 배달후 탈이 났는데. 8 ... 17:49:37 668
1688507 날치알 씻어 사용하나요 10 ..... 17:49:26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