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 끓일 때 수돗물 쓰시나요, 생수 쓰시나요??

조회수 : 2,635
작성일 : 2011-02-17 19:06:38
생수 사다 먹는데..밥 지을 때는 생수 쓰지만
국은 어차피 끓이는데 생수 쓰려니 아까워서요.
지금 수돗물 쓰고있긴한데 괜찮은가 싶어서..다른 분들은 어떠신가요??
IP : 115.140.xxx.197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2.17 7:07 PM (58.145.xxx.94)

    코슷코 생수 넣어요.
    일반생수는 너무 비싸서.. 수돗물은 찜찜하구요

  • 2. 입에들어가는
    '11.2.17 7:08 PM (119.70.xxx.162)

    모든 물은 생수

  • 3. ㅎㅎ
    '11.2.17 7:11 PM (119.195.xxx.37)

    수돗물이 생수보다 더 꺠끗하다던데.

  • 4. 수돗물
    '11.2.17 7:11 PM (118.43.xxx.4)

    집에 정수기 같은 건 없어서 수도물 써요. 밥이고 국이고 라면이고 다 수도물 쓰는데.....전 그게 당연했는데 아는 사람은 경악을 하더군요. 그리고 저희 집에 와서 뭐 끓일 때 제 피같은 생수를 콸콸 부어서 요리하더라구요. T_T 솔직히 좀 얄미웠어요. 빈부의 차이가 워낙 나는 편이라... ㅎㅎ 수돗물로 한번 요리해먹으면 죽냐?!! 라고 소리쳤다능. 사실 전 수도물에서 냄새 안 나면 그냥 수도물 먹을 거에요. 문제는 그냥 마시기에는 수도물 특유의... 맛없는 맛 때문에 못 먹죠. 수도물이 '관' 만 괜찮으면 괜찮은데..

  • 5. .....
    '11.2.17 7:11 PM (58.227.xxx.181)

    저는 브리타..
    마시는무른 보리차..

  • 6. 저도
    '11.2.17 7:15 PM (116.37.xxx.217)

    저도 수돗물.. 아리수 수질검사하러왔을때 녹물나오나 안나오나 검사 해달라고 하니 그자리에서 약 꺼내서 해주더라구요. 말 안하면 간단한것만... 해보더니 깨끗하다고 하고.. 대신 온수쪽으로 돌리지 말고 냉수쪽으로만 돌려쓰라 하더라구요. 아리수는 냉수만 검사해준다고

  • 7.
    '11.2.17 7:16 PM (220.88.xxx.79)

    마시는 물은 생수먹지만 끓이는 국이나 밥은 수돗물쓰는데 커피나 차도 다 수도물로 해결하구요
    수돗물이 많이 더러울까요
    수도관이 깨끗하지 않아서 그런가요?
    다른 집들은 과일이나 채소도 다 생수에 씻어 쓰나요

  • 8. 모두 수도물
    '11.2.17 7:22 PM (125.129.xxx.76)

    마시는 물도 수도물 끓여먹구요

  • 9.
    '11.2.17 7:24 PM (117.55.xxx.13)

    생수쓰면 맛은 깔끔해지는데 물감당이 ,,
    그래도 라면은 생수로 끓여 먹어요 면이 더 꼬들해지는거 같고
    밥도 생수로 지어 놓으면 윤이 더 나는거 같애요

  • 10. 입에들어가는
    '11.2.17 7:26 PM (211.42.xxx.33)

    모든 물은 생수로...

  • 11. 밥물
    '11.2.17 7:32 PM (121.190.xxx.7)

    국물 다 생수로 해요.
    밖에서야 어쩔수 없지만 집에서는 그렇게 해요.

  • 12. 우리집
    '11.2.17 7:32 PM (118.221.xxx.122)

    언더씽크 정수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쌀 씻을 때나 음식 조리시 편해요.

  • 13. 저희도
    '11.2.17 7:34 PM (121.130.xxx.188)

    언더씽크 정수기 사용해요..
    먹는건 다 정수기 사용해요..개수대에 같이 있어서 사용하기 정말 편해요...

  • 14. ..
    '11.2.17 7:36 PM (1.225.xxx.123)

    입에 들어가는 모든 물은 브리타 정수기를 거친 물로.
    마시는 물은 브리타를 거쳐 보리차.

  • 15.
    '11.2.17 7:41 PM (115.136.xxx.68)

    입에 들어가는 모든 물은 생수쓰신다는 분들은 양치하고도 생수로 행구는 건가요?

  • 16. 저는
    '11.2.17 7:55 PM (175.117.xxx.176)

    사방천지 구제역 여파로 침출수가 생겨서 지하로 스며 든다는 말 들으니
    젤 먼저 물이 걱정되네요,,,,,,,,제주도물은 깨끗할라나,,참 기가 차서
    살다살다 무슨 이런 ,지ㅣㅣㅣ

  • 17. ...
    '11.2.17 8:01 PM (221.155.xxx.138)

    얼음 얼릴 때, 매실원액 등 음료 타 먹을 때 빼고는 다 수돗물 씁니다.
    커피 내릴 때도 생수 썼는데, 요즘엔 그냥 수돗물로 내려서 마십니다.
    수돗물이 그렇게 더럽다고 생각해본 적 없고요
    생수값도 감당 안돼요.

    그나저나 지하수 오염되면 정말 큰일이군요.

  • 18.
    '11.2.17 8:09 PM (220.93.xxx.115)

    생수 써야된다는 생각 안해봤는데 생수 쓰는 이유가 뭔가요? 궁금

  • 19. ..
    '11.2.17 8:37 PM (61.79.xxx.71)

    저는 김치도 정수물로 담고 모든 채소도 정수물로 씻는답니다.
    언더씽크로요.
    맘 편하고 좋아요~

  • 20. 정수물
    '11.2.17 9:10 PM (112.170.xxx.186)

    언더씽크 정수물 끓여 먹어요.

    녹물 나오는 집에 사시는 분은 절대로 수돗물 끓여 먹어도 안된다고 생각해요.

  • 21. .
    '11.2.17 9:53 PM (122.35.xxx.55)

    수돗물도 감지덕지

  • 22. 당연
    '11.2.17 10:06 PM (211.54.xxx.46)

    수돗물 쓰는데요. 난 맛도 차이 못 느끼겠던데요.
    생수 쓰시는 분이 생각보다 많은 건지 그런 분들이 댓글을 단건지...?

  • 23. 멀리날자
    '11.2.17 10:50 PM (114.205.xxx.153)

    전 모든 요리.물 수돗물 써요 ..

  • 24. ...
    '11.2.18 9:43 AM (61.78.xxx.173)

    저도 그냥 당연하게 수돗물 사용하는데 정수기 물 사용하시는분이 무지 많군요.
    제가 없이 사는건지 영...

  • 25. .
    '11.2.18 10:03 AM (211.209.xxx.37)

    먹는 물은 무조건 브리타로 한 번 걸러서 사용해요.
    20년 가까이 되는 아파트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9501 아이가 갑자기 눈이 이상하데요. 급해요 2011/02/17 239
619500 청소기 가볍고 흡입력 좋은 것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청소기 2011/02/17 175
619499 무한도전 길 불쌍해요 ㅡㅡ ㅎㅎ 14 ㅎㅎ 2011/02/17 2,918
619498 힘들때 나아지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6 !!! 2011/02/17 622
619497 국 끓일 때 수돗물 쓰시나요, 생수 쓰시나요?? 25 2011/02/17 2,635
619496 퇴근길인데요 2 무개념 2011/02/17 262
619495 젤 친한 사람이 헤어스타일 똑같이 하고 나타났을때 7 어떻게? 2011/02/17 1,198
619494 밑에 고교교사이야기가 나와서..그럼 음악교사는 어떤가요?? 4 기간제 2011/02/17 642
619493 임신확인전까지는 임신여부를 모르잖아요.. 5 어떻게생활해.. 2011/02/17 2,417
619492 가족력 체크해 보신적 있으신가요? ... 2011/02/17 222
619491 앞머리 만들려면 ? 2 .. 2011/02/17 413
619490 "만추" 혼자 보신 분들 어떠셨어요? 9 외로워 2011/02/17 2,193
619489 로또되면 차~암 좋을거 같은데 4 ㅇㅇ 2011/02/17 662
619488 올레10코스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올레 2011/02/17 289
619487 마트다녀옴 두세끼!...길게 먹는 장보는요령 있나요? 4 돈은 나갔는.. 2011/02/17 1,038
619486 남편이랑 냉전 얼마정도 가나요? 7 .. 2011/02/17 888
619485 왜 자막이 안 뜨는 걸까요? 1 디빅스 2011/02/17 123
619484 모유수유중 음주에 대해 아시는 분....ㅜㅜ제발도와 주세요 16 모유 2011/02/17 1,920
619483 UN 보고관 “MB정부, 표현의 자유 위축” 그놈짓이다 2011/02/17 102
619482 성장판이 닫힌다는 징후가 뭐예요? 3 폭풍성장 2011/02/17 1,913
619481 ‘전교조 교장’ 막으려 청와대․국정원까지 나섰나? 그놈짓이다 2011/02/17 157
619480 우와, 식빵에 곰팡이 피는 거 처음 봤어요! 16 빵순이 2011/02/17 1,575
619479 고양이도 낯가림을 하나요?? 13 야옹이 2011/02/17 1,501
619478 싹이 난 양파 먹어도 될까요? 5 양파 2011/02/17 1,000
619477 2월 17일 주요일간지 민언련 일일 브리핑 1 세우실 2011/02/17 86
619476 싸인 이철한 역 배우분요. 19 오늘도 2011/02/17 1,566
619475 초등 6학년들 스마트폰 가진 경우 많은지 궁금해요. 8 고민 2011/02/17 792
619474 아이 학습지 뭐뭐 시키세요? ㅇㅇ 2011/02/17 151
619473 생일 선물 뭐가 좋을까여..?? 1 땅콩 2011/02/17 147
619472 아..정말 고민되네요... 3 보름달맞이 2011/02/17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