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셋째 교육비는 무료인가요?? 소득 관계없이
부산이구요
셋째는 다 무료라고 하네요
원비가 소득관계없이 무료라고 하네요
여기는 서울인데...
저희 아이는 2009년생이구요
법이 바꼈나요??
정말 사실이었으면 좋겠네요~~~
1. 네
'11.2.10 9:54 PM (119.67.xxx.56)하지만 비싼 영유 같은데 보낼 정도의 돈은 아니예요.
기본 보육비 정도 지원해주고, 학기마다 내는 재료비 등은 빼지요.
매달 17만원대 정도 지원받은것 같네요.2. 1
'11.2.10 9:55 PM (211.178.xxx.91)그냥 10만원 나오던데..
3. 셋째교육비
'11.2.10 9:55 PM (61.253.xxx.77)그럼 기본 10만원만 되는거이 아니라
수업료 뺴주는 건가요??4. ...
'11.2.10 9:58 PM (175.194.xxx.21)178000원이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최고 금액입니다.
하지만 원비가 그것만 나오는게 아니니......
원비가 50만원이라면 178000원 공제가 되는거 아닌가요?
그렇게 알고있어요.5. 셋째교육비
'11.2.10 10:03 PM (61.253.xxx.77)그렇군요~~
급식비, 재료비는 저희 부담이군요
첫째, 둘째 보통 유치원 보내면서도 둘이서
한달에 7,80만원씩 쓰니 살 수가 없네요...~~6. ...
'11.2.10 10:10 PM (221.139.xxx.248)첫애가 제일 낮은 등급으로 지원만 받아도..
둘째는 무조건 100%지원이라고 하든데..
셋째는 또 첫째 둘째 지원 상관없이 무조건 100% 지원인가 봐요...7. 셋째교육비
'11.2.10 10:32 PM (61.253.xxx.77)아니 그럼 소득관계없이가 아닌가요???
첫째 둘쨰는 지원 못 받거든요
낼 동사무소에 다시 전화 해 봐야겠네요8. mummy
'11.2.10 10:43 PM (110.15.xxx.3)저도 세째 아이 있는데요 2008년생이에요.
어린이집 보내기 전엔 10만원씩 나왔어요.
어린이집 보내기 시작하니까 어린이집 비용에서 10만원 제하고 내게 해 주더군요.
그러니까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까지 매달 10만원씩 나라에서 준다고 보면 되요.
저소득층은 전액 지원이 된다고는 하는데...
참.. 저도 서울살구요.9. 무조건은
'11.2.10 11:47 PM (116.39.xxx.154)올해부터 태어나는 아이라고 들었는데요. 셋째 양육 지원비는 자기가 사는 지역마다 다르다고 들었어요. 이곳은 예산이 많지 않은지 태어날때 축하금 20~30만원 받는게 다인데 저는 시기를 놓쳐서(6개월 이내 신청)그도 못받았구요. 교육비나 지원금 없고 중고등 입학하는셋째들에게 작년에 교복 하복비 10만원 지원해준게 다인걸요.
10. ...
'11.2.11 9:52 AM (116.39.xxx.72)셋째는 잘 모르겠지만,올해부터는 4인가족 480이하에만 들어가면
무조건 지원된답니다.11. 미르
'11.2.11 10:51 AM (121.162.xxx.111)...님/ 소득인정액 월480만원이하....월급여가 아님.
『소득인정액』이란
가구의 생활수준을 형평성 있게 고려하기 위하여 “소득”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금액으로
가구 월소득액에 토지․주택․금융재산․자동차 등 보유 재산의 월소득 환산액을 합산하여 산정합니다.12. 미르
'11.2.11 10:52 AM (121.162.xxx.111)< 참고 : 보육료지원 사례(4인가구 외벌이 가구 기준) >
① 외벌이 소득 350만원, 주택 1억5천만원, 부채 5천만원, 예금 1천8만원, 2007년식 소나타(차량가 17백만원), 서울 거주(기초공제액 5,400만원)
○ 소득인정액 : 476만원 ⇒ 보육료 전액지원
476만원 = 소득평가액 350만원 + 재산환산액 126만원*
*126만원 : {(주택15,000 + 자동차1,700 - 기초공제5,400 - 부채5,000)×4.17%(일반재산 환산율)×1/3} + {예금 1,800 × 6.26%(금융재산 환산율)×1/3}
② 외벌이 소득 300만원, 주택 2억4천만원, 부채 8천만원, 2007년식 소나타(차량가 17백만원), 서울거주(기초공제액 5,400만원)
○ 소득인정액 : 471만원 ⇒ 보육료 전액지원
471만원 = 소득평가액 300만원 + 재산환산액 171만원*
*171만원 : (24,000+1,700-5,400-8,000)×4.17%×1/3
③ 외벌이 소득 300만원, 주택 1억원, 예금 3천만원, 2009년식 SM3(차량가 9.4백만원), 지방도시 거주(기초공제액 3,400만원)
○ 소득인정액 : 468만원 ⇒ 보육료 전액지원
468만원 = 소득평가액 300만원 + 재산환산액 168만원*
*168만원 : {(10,000+940-3,400)×4.17%×1/3} + {3,000×6.26%×1/3}
< 참고 : 맞벌이가구 보육료지원 사례(4인가구 맞벌이 기준) >
① 맞벌이 소득 500만원(남편 300, 부인 200), 주택 1억5천만원, 부채 6천만원, 예금 1천만원, 2007년식 소나타(차량가 17백만원), 서울 거주(기초공제액 5,400만원)
○ 소득인정액 : 470만원 ⇒ 보육료 전액지원
470만원 = 소득평가액 375만원* + 재산환산액 95만원*
*375만원 : 500만원 - (500만원 × 25%)
*95만원 : {(15,000+1,700-5,400-6,000)×4.17%(일반재산 환산율)×1/3} + {1,000 × 6.26%(금융재산 환산율)×1/3}
② 맞벌이 소득 450만원(남편 250, 부인 200), 주택 1억원, 예금 1천5백만원, 2009년식 SM3(차량가 9.4백만원), 지방도시 거주(기초공제액 3,400만원)
○ 소득인정액 : 473만원 ⇒ 보육료 전액지원
473만원 = 소득평가액 337만원* + 재산환산액 136만원*
*337만원 : 450만원 - (450만원 × 25%)
*136만원 : {(10,000+940-3,400)×4.17%×1/3} + {1,500 × 6.26%×1/3}13. 미르
'11.2.11 10:59 AM (121.162.xxx.111)참고로 11년 정부지원단가 :
만0세 394천원,
만1세 347천원,
만2세 286천원,
만3세 197천원,
만4세 177천원,
만5세 177천원
변경되는 단가는 '11.3월부터 적용됩니다.
즉 100%지원이라는 것이 위 금액 정부지원단가 100%란 말입니다.
유치원보육비 100%가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