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삼백만원을 17년동안 묵혔다면 .. 이자가 얼마나 붙었을까요?
계산하는것좀 도와주세요
1. ...
'11.2.9 12:11 PM (221.138.xxx.206)어떤 예금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예금이면 이자가 거의 없을거고
정기예금이면 약정기간 끝나면 몇개월 후 부터는 기본이율만 붙는것도 있구요
17년만기 정기예금은 없을테니까요..2. 쥐꼬리만큼
'11.2.9 12:18 PM (118.35.xxx.212)아닐까요?
5% 단리로, 17년 204개월, 일반과세로 하면
세후이자 2,157,300 원 만기지급액 5,157,300 원3. 중간에
'11.2.9 12:30 PM (122.203.xxx.130)imf가 있었을때 이자가 꽤 됐었을 것 같은데요..?
4. 제가
'11.2.9 1:02 PM (211.200.xxx.4)제가 이번에 한미은행이랑 국민은행에서 묵힌 (엄마가 초등학교때 넣어주신 예금
깜빡하고 계시다가 친정 이사할때 찾은 통장 -_- 86년 개설된것들이고 최종거래는 90년)
통장 휴면계좌환급으로 이번에 환급받았는데요
이자 100퍼센트 붙어나왔어요.ㅎㅎ
둘다 자유저축예금이었구요5. 꿈
'11.2.9 1:51 PM (67.83.xxx.219)은행이 바보가 아니지요.
중간에 이자 높아지면 높아진 이자 주나요?????
어떤 예금에 17년을 묵히셨는지 모르겠지만
청약예금처럼 매년 이율이 재설정되는 게 아니라면 <만기후이자>라는 게 적용됩니다.
보통은 <보통예금이율> 이 적용되구요. 예금거래약관에 나와있습니다.
아니, 흔하디 흔한 팜플렛에도 나와있죠. 중도해지이율과 만기후이율.
imf때에도 보통예금이율은 0.5~1%였습니다.
자유저축예금보다 낮습니다.6. 마음속에..
'11.2.9 1:57 PM (180.224.xxx.55)어려운 시절 친구의 마음속에 묵혔다면
열배는 되어 있을 듯....7. 미르
'11.2.9 2:46 PM (121.162.xxx.111)저도 평균 2%도 안되지 싶네요.
300만원*2%*17년=102만원
세후 862,920원
대략 80만원 정도 아니면 그이하일 가능성이 더 높음.8. 미르
'11.2.9 9:07 PM (121.162.xxx.111)그시절 삼성전자 4만원도 안되었었는데....
무려 75주나.......고이 묻어두었다면
지금 100만원이니까....... 헉!! 7천5백만원!!!!9. ..
'11.2.9 10:35 PM (116.37.xxx.12)얼마안되다니요..
http://kr.blog.yahoo.com/lifeiscool.choi/453 으로 대충계산하면
97년부터 콜금리로만 계산하고, 단리라고 쳐서 네이버에서 계산해보세요.
5%잡아도 10년에 2배 대략됩니다.
지난 20년간 가장 수익률 높았던게 복리예금이라고 어디서 본것 같아요.
부동산 주식 보다 평균적으로는 복리예금이 최고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