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영어 잘하시는 분들 이 문장 설명 좀 부탁드려요.
This statement can be checked by contacting the Driver and Vehicle Licensing Agency (DVLA).
이거구요.
중간에 동사부분 can be checked를 어떻게 해석해야 될지 모르겠어요.
can be checked 해석 어떻게 하나요?
" 이문장은 DVLA계약에 의해 확인될 수 있습니다?? .. 모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영어 잘 하시는 82분의 친절한 답변 기다릴께요 ^^
1. ...
'11.2.9 3:30 AM (222.106.xxx.172)contact을 contract로 헷갈리신것 같아요^^; contacting은 contact의 동명사로 쓰인것 같네요.
그리고 원문에서 statement가 언급이나 문장이라는 뜻으로 쓰였나요? 전체적인 문맥을 몰라서 그건 말씀을 못드리겠네용 그리고 아무튼 statement 를 원어로 놓고 해석하면
이 statement는 DVLA에 contact하는것을 통해서 확인될수 있다
라고 해석하시면 되겠네용!2. 수동태어려워
'11.2.9 3:39 AM (125.252.xxx.23)우아,
...님 아주 명쾌한 해설 감사합니다.
막힌 속이 다 뚫린 기분이에요.
statement는 문장으로 쓰였어요 ㅎㅎ
확인될 수 있다.... 맞군요.
전 능동에서 수동으로 전환될때 우리말 해석이 넘 어려워요.
can be ckecked...라고 하면 확인될 수 있다..가 맞군요.
구글에 번역기 돌리니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고 나오더라구요.
확인될 수 있다와 확인할 수 있다가 같은 건 아니잖아요.
확인할 수 있다라면 can be found..정도가 더 가까운 문장일 것 같은데 말에요.
be p.p 형태는 우리나라말로 해석될때 항상 헷갈려요.
제 국어 실력이 딸려서겠죠 ^^;;
답답했는데 바로 도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3. ...
'11.2.9 7:36 AM (121.170.xxx.204)can be checked - 문법상 그렇게 쓰이는 것을,
확인될 수 있다, 확인할 수 있다의 해석방식을 나누는것은 오직 한국식 영어입니다.
확인될 수 있다(직역). 확인할 수 있다(의역). 일상생활에서는 둘다 사용 가능합니다.
중고등학교 시험지에나 구분을 지으면 몰라도..
직역- 이 내역서는 DLVA에 연락함으로써 확인될수 있다
의역- 이 내역서는 DLVA에서 확인가능하다4. 원글이
'11.2.9 7:40 AM (125.252.xxx.23)오옷... 위에 ...님 보다 명확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흐릿한 개념이 확실히 잡혔어요.
덕분에 수동이니 능동이니 걸 떠나 자연스럽게 의미파악하고 이해해서 해석할 수 있게 됐어요.
확인가능하다........란 의역은 명.쾌. 그 자체입니다.
아우 쒼나~~~ ㅎㅎ5. 영한대조론
'11.2.9 8:06 AM (121.183.xxx.148)에서 배웠는데요..
영어의 수동태 문장을 "~될 수 있다"고 직역 하셔도 좋지만 그것을 한국어에 맞게 더 잘 번역하는 것은 "~할 수 있다'고 바꾸는 것이어요. 한국어는 수동보다 능동을 선호하기 때문이랍니다.
즉, 이 문장은 연락해보심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 1차 번역
(당신은) 연락해보시면 이 문장을 확인할 수 있다 --> 2차 번역 (한국어는 주어 생략 빈번)
이 문장을 확인하시려면 연락을 해보면 된다 --> 3차 번역(앞에서 부터 순차번역-가장 자연스러운 한국어)6. 원글이
'11.2.9 8:21 AM (125.252.xxx.23)오오오오~~ 위에 두 분 (영한대조론과 음님)의 설명(이라고 쓰고 강의라고 읽는다)을
더하니 더 확실해지고 완전 장님 눈뜬 기분에 야호~라고 환호성이 절로 나와요.
와와와.. 이렇게 무료로 귀한 공불 하게 되서 찔리기도 합니다.
그렇군요.
이제 수동과 능동에 따른 우리말 해석에 따른 스트레슨 없을꺼에요.
정말 감사합니다. 복 많이 많이 받으실꺼에요 ㅎㅎㅎ
아우.. 쒼나~~~ㅋㅋㅋ7. 수정하는 사이
'11.2.9 8:26 AM (92.227.xxx.215)댓글 다셨네요. ^^
저는 숟가락만..ㅋㅋ
저 문장에서 확인하는 주체는 특정인이 아니기에 생략됐구요. 흔히 by 사람/동물/ 등등 으로 표현하는데 굳이 확인하는 주체를 써주고 싶고 써줘야 하는 상황이라면 전치사 by를 써서 표현하면 됩니다.
특정인이 아닐 경우 능동형을 쓰면 문장이 별로일 때도 있거든요..^^ 그럴땐 수동태가 선호됩니다.8. hereugo
'11.2.9 1:49 PM (108.27.xxx.2)그리고 statement는 "문장"이 아니라 ...님이 번역하셨듯이 "내역서" 혹은 "명세서"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다른 지역은 모르겠지만, 미국에서는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에서 다달이 보내는 명세서를 monthly statement라고 합니다.)
9. 원글이
'11.2.9 6:55 PM (125.252.xxx.23)hereugo님 그렇군요.
정말 감사합니다.
결국 파리의 브레인들의 리플덕에 완벽히 해석하게 되었어요.
아우...씐나~~~
모르는 걸 안다는 건 참 기분좋은 일이에요 정말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