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4666번을 보고, 장모 간섭 때문에 이혼까지 불사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으. 조회수 : 2,174
작성일 : 2011-02-08 07:50:10
맞벌이부부가 일상적 조건으로 자리 잡으면서 장모와 사위 간의 갈등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新 고부갈등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현상은 시댁보다 처가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고 모계중심의 친족관계가 긴밀해지면서 생긴 사회 현상이다. 아이 양육문제로 장모와 함께 살았던 박00씨(38세)씨는 장모의 이혼 강요에 처가와 일절 발길을 끊고 산다. 부부 싸움이 있을 때마다 근처에 사는 장모가 간섭했고,

그것도 모자라 장모로부터 "이혼하라"며 법원에서 만나자는 말까지 들었던 그는 부부관계가 회복된 지금도 "싸움을 말려주기는커녕 오히려 이혼을 부추겼던 장모가 용서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부부간의 작은 싸움이 벌어지면 장모가 달려와 결국은 큰 싸움이 되고 말았던 기억을 떠올리며 말리기는커녕 장모가 나서서 이혼하라고 할 때 정말 황당했다는 것.

장모가 딸의 부부문제에 간섭하고 나선 권한은 손자 양육의 책임을 떠맡으면서 생긴 것으로 맞벌이 부부에게 장모란 육아와 살림을 의존할 수 있는 가장 믿음직한 저비용의 대안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싫은 소리를 들어도 그저 참고 사는 경우가 적지 않다. 맞벌이로 고생하면서 바깥 일하랴, 집안 일하랴 동동거리는 딸의 모습을 보면 친정엄마 입장에서 안쓰러운 마음이 들기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딸 부부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어 사위에게 "내 딸 고생시키려면 차라리 갈라서라"는 주문도 서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 사위들은 " 장모의 '도움'은 묵인하면서도 '간섭'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장모 도움은 받아도 간섭은 못 참아!

판례에서 인정한 이혼사유를 보면 배우자 직계존속에게 심하게 부당한 대우를 받아 부부로서 동거생활을 계속하는 것이 고통스러울 정도로 신체, 정신에 대한 학대 또는 명예훼손, 모욕을 당하는 경우 재판상 이혼사유로 인정 된다. 이혼전문법률사무소 윈 이인철 변호사는 “이혼소송 사례를 보면 시어머니와 며느리 관계 못지않게

장모에게 구박을 당하거나 장모와의 의견 충돌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남성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한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사회, 경제적으로 여성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핵가족으로 구성된 가족 형태가 처가와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이에 따라 장모와 사위 간의 관계도 변화의 시점을 맞고 있다는 설명이다.


서로 다른 생활방식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의 만남이 그러하듯 가까워질수록 더 많은 것을 알게 되고 그래서 불편한 관계로 변질되기도 한다. 이인철 이혼전문변호사는 “고부 갈등이 부계 중심 사회의 문제라면 장모와 사위 갈등은 양계 사회의 갈등으로 시어머니와 며느리 간의 관계에서 남편의 역할이 중요하듯 장모, 사위 사이에서는 아내의 관심이 관계 설정의 중심이 된다.”고 말한다.



새로운 부부갈등 요인에 놀라고 있다. “장모 때문에 이혼하고 싶을 지경”이라며 찾아오는 사위가 한둘이 아니라는 것. 그녀는 “친정엄마가 딸의 이혼을 찬성하는 것은 자주 봤어도 장모 스스로가 이혼의 원인이 된 경우는 드물었다”며 최근 들어 달라진 세태를 절감하는 중이다. 1월12일 분당 상담소에서 김 회장과 만나 장모 사위 갈등의 양상과 해결법에 대해 이야기 나눴다.


장모 문제 때문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은가요.

“며칠 전에도 맞벌이 부부 교사가 찾아왔어요. 처가 근처에 살면서 두 자녀를 장모에게 맡긴 부부였지요. 퇴근해서 애들 찾으러 친정 간 아내가 저녁을 거기서 먹고 가자고 한대요. 남편은 불편하니까 집에 가서 먹고 싶죠. 장모는 그런 사위가 못마땅하고요. 직장에서 퇴근한 딸을 저녁까지 차리게 만드는 나쁜 놈, 자기 자식 봐주느라 고생하는 장모 싫어하는 놈으로 생각하는 거죠. 그런 사소한 감정이 쌓여서 미움이 커졌어요. 다른 동네로 이사 가고 입주 도우미 쓰자고 했다가 주먹다짐으로 번졌는데 장모가 득달같이 달려와 사위 멱살을 잡고…. 남자가 하는 말이, 집 안에 나라는 존재가 없는 것 같대요.”

장모와 사위가 갈등을 빚는 이유가 뭘까요.

“‘잘난 사위’는 장모와 갈등이 없어요. 사회적으로 잘난 사위에게 장모가 함부로 못하죠. 요샌 여자가 학벌, 직업, 연봉이 남자에게 뒤지지 않잖아요. 잘난 딸에 못 미치는 사위가 장모로선 마뜩잖은 거죠. 그래서 걱정되는 게, 요새 경기가 어려워 실직 남편이 많이 생기면서 장모와의 갈등이 더 늘 것 같아요. 맞벌이 부부가 자녀 양육이나 살림을 장모에게 맡기면서 갈등이 생기는 경우도 잦죠. 요새 애들은 외할머니는 ‘할머니’라 부르고 친할머니는 ‘○○동 할머니’라고 한대잖아요.”

장모 사위 갈등이 다 장모에게서 비롯된다는 말씀인가요.

“장모 때문인 게 훨씬 많아요. 비율로 보자면 7대 3 정도? 얼마 전 여성부에서 경제적 어려움이 닥쳤을 때 어느 쪽 부모에게 도움 받았는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어요. ‘시댁 부모’란 응답보다 ‘친정 부모’란 응답이 훨씬 높았죠. 그만큼 장모 파워가 커졌어요. 요새 장모들은 사위에 대한 불만을 참지 않아요. 벌이가 시원치 않다고 타박하고, 부부싸움 하고 온 딸의 하소연을 듣고 곧장 전화 걸어 ‘내 딸이 무얼 그리 잘못했냐’고 따져요.”


옛날 친정엄마들은 참고 살면 좋은 날 온다고 딸을 말렸죠. 요새는 안 그래요. 엄마가 나서서 변호사 사무실 찾아가요. 가정법원에도 아들 따라오는 시어머니는 없지만, 딸 감싸러 오는 친정엄마는 꽤 있어요. 조정실까지 들어와서 사위 욕을 해요. 본인들은 정도 있고 미련도 남아서 망설이지만, 장모는 사위에게 정이 얼마나 있겠어요. 시댁이나 남편이 순종적인 며느리, 아내 노릇을 강요한다 싶으면 내 잘난 딸이 뭐 하러 고생하며 사냐, 하는 거죠.”

그런 장모들에게도 며느리가 있을 텐데요.

“그래서 ‘여자 젖이 두 개’란 옛말이 있지요. 딸 대하는 것과 며느리 대하는 게 달라요. 가정문제 박사라는 저도 그런걸요.(웃음) 딸이 갓난아이 업고 양손에 무거운 장바구니 들고 가는 거 보면 속이 터져요. 사위는 어디서 뭐 하나 싶어서. 그런데 아들이 애 하나는 목말 태우고 또 하나는 손 잡아주고 거기다 쇼핑백까지 들고 있는데, 며느리는 핸드백 하나 달랑 들고 있는 거 보니 기분 안 좋더라고요. 김영희도 그러는데, 세상 엄마들 다 그렇죠.”

이혼만큼 재혼도 흔한 세상인데요.

“물론 못 살겠으면 이혼도 해야 해요. 하지만 행복한 결혼은 있어도 행복한 이혼은 없어요. 이혼 부부의 80%가 후회한다고 합니다. 나머지 20%는 행복할까요? 제 대답은 ‘글쎄요’예요. 속된 말로 ‘바꿔봤자 그×이 그×’이에요. 100점짜리 아내나 남편, 100점짜리 사위는 없어요. 그런데 우리는 100점짜리를 바라니까 문제죠. 이혼은 평생 지고 가야 하는 멍에입니다. 재혼 부부는 서로 신뢰 쌓기가 힘들어요. 부부싸움 중에 ‘니가 그러니까 이혼당했지’란 말이 튀어나오기 십상이고요. 네 번째 이혼하는 여성도 봤어요. 이혼마다 사정과 이유가 있죠. 근데 모두가 다 남 탓이에요. 제 탓은 없고.”

장모 사위 갈등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해요. 각자의 자리를 지키면 돼요. 장모는 지나치게 딸의 생활에 끼어들지 말아야 해요. 죽을 쑤든 말든 둘이 꾸려가게끔 하세요. 그리고 남과 비교하지 말고요. 사위는 내 딸과 함께 행복을 꾸려가는 사람이지, 내 딸을 행복하게 해줘야 하는 사람, 물질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사람이 아니에요. 딸도 문제예요. 요새 마마걸이 많죠. 사소한 물건도 꼭 엄마와 사려 하고, 사소한 결정도 엄마한테 물어본 다음에 하고요. 딸도 가정을 함께 꾸려가는 상대가 엄마가 아닌 남편이란 생각을 해야 합니다.”

사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장모를 슬쩍 내 편으로 만들어두세요. 장모가 사위 편이 되면 얼마나 살기 편한데…. 딸이 자기 남편 흉을 봐도 오히려 딸을 야단치며 사위 역성을 들죠



노하우를 귀띔하자면요.

“장모는 ‘뿔 난 괴물’이 아니에요. 여자예요. 여자는 단순해요. 관심 받고 사랑 받는다는 느낌을 주기만 하면 돼요. 제가 자주 하는 충고 중 하나가 ‘만원짜리 스카프의 행복’이에요. 장모와 사이가 안 좋다 싶을 땐 백화점에 가세요. 정문에 가면 1만원짜리 스카프 팝니다. 그중에 좀 화려한 거 사세요. 그리고 처가에 가서 장모님 드리세요. ‘오늘 회사 앞에서 스카프를 맨 예쁜 사모님이 지나가는데, 장모님 생각이 나더라고요. 그래서 샀어요’라면서. 또 스카프를 직접 매드리세요. ‘어머니, 사랑합니다’ 이 말까지 덧붙이면 금상첨화죠. 장모가 그런 사위 역성을 들 수밖에요. 친구들 모임에 스카프 하고 나가서 사위 자랑 엄청 하실 거예요.”

그런 ‘닭살 행동’을 한국 사위들이 잘할 수 있을까요.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사랑도 감정이고 미움도 감정이에요. 감정은 마음에서 나와요. 내가 마음을 주면 상대도 마음을 줍니다. 인간관계의 근본은 마음이에요. 화분도 예뻐해주면 더 예쁜 꽃을 피워요. 식물도 그러는데 하물며 사람은 어떻겠습니까. 가끔 아내 몰래 10만원 쥐어드리면서 “친구들 만나실 때 어머니가 한턱 쏘세요”라고도 하시고요. ‘어머니, 저 예쁘게 봐주세용~’ 하면서 응석도 부리고 뒤에서 살짝 안아도 드리고요. 결혼 생활은 머리싸움입니다. 똑똑한 사람이 이기는 싸움이 아니라, 지혜롭고 슬기로운 사람이 이기는 싸움이지요.”

마지막으로 꼭 전하고 싶은 충고가 있다면요.

“장모는 장모 자리에 앉아 있으라고 강조하고 싶어요. 딸의 자리나 사위 자리에 앉으려 하지 마세요. 사위는 내 딸이 누릴 행복의 열쇠를 갖고 있는 사람입니다. 사위 즉, 소중한 사람을 귀하게 여겨야 해요.



중간에 낀 딸의 역할은?
서로 불편한 관계, 융합 방법 적극 찾아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고부갈등이 대세더니 이젠 장모-사위 간이 더 문제인 듯하다. 왜 그럴까. 가장 큰 이유는 결혼한 젊은 세대들 중 상당수가 친가보다 처가와 가까이 지내려는 경향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일부 학자들은 우리 사회에도 친족관계에서 양계(兩系)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을 설명하는 세 가지 가설이 있다. 하나는 친가보다 처가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 때 자연스럽게 처가 쪽에 비중을 둬 친족관계가 형성된다는 ‘권력 가설’이다. 두 번째는 결혼한 부부 가까이에 처가가 있으면 가사 협조나 왕래가 처가 중심으로 일어난다는 ‘편리성 가설’이다.

맞벌이 부부가 가사나 자녀양육에 관한 도움을 받기 위해 아예 처가 근처에 집을 구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규범 가설’로, 장남의 경우 자신의 부계 친족집단을 쉽게 떠날 수 없지만 장남이 아닌 자녀는 좀더 근대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닌 양계중심적 친족관계를 형성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사위가 처가와 가까이 지내다 보니 시댁 가서 며느리가 겪는 불편함을 사위들이 처가에서 겪고, 이것이 나중에는 장모-사위 간 갈등으로까지 발전한다. 이러한 갈등이 악화되지 않게 하려면 가족 구성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인 장모든, 시어머니 시아버지든 결혼한 자녀를 완전한 성인으로 인정해야 한다. 그들이 사는 모습이 서툴게 보여도 조언은 하되 절대 간섭을 해서는 안 된다. 부부 역시 부모의 조언을 참고하되 지나치게 영향 받지 않는 것이 좋다. 부부가 원하는 삶은 결코 부모가 원하는 삶과 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만 지켜져도 세대 간 갈등의 절반은 줄어들 것이다. 또한 부모는 사위나 며느리를 새로운 가족 구성원으로 정중히 맞이하고, 자신들의 가족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게 바람직하다. 특히 장모-사위가 가까워지는 데 아내(딸)의 역할은 핵심적이다.

아내는 먼저 남편에게 처가가 편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결혼 전까지 살던 곳이니 자신이야 편하고 익숙하지만, 남편 처지에서는 장인 장모가 아무리 잘해줘도 자기 집처럼 편안할 수 없다. 따라서 친정에 있을 때는 남편의 표정을 살피면서 편하게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다.

또 딸은 부부간의 일을 친정어머니에게 털어놓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것이 때로는 부부 사이에 장모(어머니)가 끼어들 여지를 제공한다. 게다가 남편이 늦게 들어온다, 돈을 헤프게 쓴다, 씻는 걸 싫어한다는 등의 ‘생활밀착형 험담’으로 확대되면,

남편은 좌불안석하게 된다. 이러면 어떤 사위가 기꺼이 처가에 발을 들이려 하겠는가. 부부의 대화는 어디까지나 부부끼리 나눠야 하며, 부모가 끼어들어서는 안 된다.



  


IP : 152.149.xxx.16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피식...
    '11.2.8 8:21 AM (203.234.xxx.3)

    시어머니 간섭은 마땅하고요,,?

  • 2.
    '11.2.8 8:29 AM (211.248.xxx.190)

    가소로와요.
    시어머니의 간섭이 뭐예요. 폭력?은 이혼사유에다가 정신적피해 인격모독 뭐 기타등등...
    대화? 참. 근본적인 해결책인데 . 그건 아무데댜 갔다 붙일 수 있는 게 아니지요.
    고부간의 갈등으로 고민하시는 분들께 얘기해보세요. 남편과의 대화?
    왜..장모랑 갈등 좀 있으면 안되나? 글에 아주 기분 나쁜 부분이 많아요.
    여성을 비하하는 내용이 ..

  • 3. 장모
    '11.2.8 8:50 AM (115.41.xxx.10)

    그 정도 갖고 뭘....
    며느리들은 일상인데..

  • 4. 그나마
    '11.2.8 8:58 AM (118.218.xxx.51)

    남자들이 여자들이 어찌 살아왔는지 알게돼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다면 ...어쩌실건지...?
    본인 일이 되어야 심각한걸 깨닫죠.

    벙어리3년...귀머거리3년...장님3년 시대 거치고 다시 얘기하심이.....? --;

  • 5. 그저
    '11.2.8 8:59 AM (59.10.xxx.109)

    노하우라고 적어놓은게 참...닭살돋네요.

    내가 장모라면 저렇게 간지러운 사위는 싫겠구만.. 내 딸에게 얼마나 진심인걸 아는게 중요한거 아닐까요

  • 6. 어이없어서
    '11.2.8 9:38 AM (218.50.xxx.182)

    반논할 가치도 못 느낌.
    원글님 혼자 보고던가하고 치우삼~

  • 7. ㅋㅋㅋ
    '11.2.8 9:40 AM (125.131.xxx.114)

    전 웃기네요.

    남자들이 이제야 여자들 시집살이하는 심정 좀 이해하게 되려나요?
    장모 가르칠 생각 말고 시어머니들 좀 가르치세요.
    문제 장모 보다 문제 시어머니가 열배는 될텐데, 그게 잘못이라고도 생각 안하는 게 문젠데요.

  • 8. 통통곰
    '11.2.8 10:02 AM (112.223.xxx.51)

    저 시어머니와의 갈등으로 이혼할 뻔했습니다.
    여자가 저 정도 갈등으로 이혼한다 하면 사람들이 복에 넘친다 할걸요.

    시어머니께서 아이들 봐주시는데 퇴근하면 밥 차려서 아들 부부 먹고 가라 하고
    며느리는 그게 불편해서 집에 가서 먹자 하는데 평소 가사일을 주로 하는(이게 중요하죠) 남편이
    아이들 돌보고 밥 챙겨먹는 거 힘드니 그냥 어머니 집에서 먹고 집에 가자 한다

    이런 글 올라오면 시어머니 좋은 분인데 참아라, 그리고 가사일을 주로 하는 남편 흔치 않다
    그런 답변 올라오지 않을까요?
    냉정하게 따져서 그리 달가운 상황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참고 살면 좋은 날은 무슨.
    참고 참고 또 참다 나중에 이러다 내가 먼저 홧병으로 죽겠다 싶어서 할 말 하고 이혼하겠다 하니
    그제서야 본인 아들 이혼하면 좋을 거 하나 없다는 것 깨달으셨는지 갑자기 조용해지시더구만...

  • 9. 웃긴건
    '11.2.8 12:18 PM (118.91.xxx.155)

    고부갈등하면 보통 며느리욕만 하는데...장서갈등하면 장모가 얼마나 별났으면..으로 시작되더군요.
    남자들은 그정도도 못참는걸 여자들은 그보다 몇배더한 간섭도 당해왔다구요. 그것도 항상 어른공경이란 미명하에 찍소리못하면서 말이죠.
    남자들도 좀 당해봐야해요. 그래서 시어머니들도 자기아들 스트레스 받는것도 봐야 며느리한테 함부로 안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091 식탁의자 추천해 주세요~ 2 상다리 2010/09/18 419
578090 gmo(유전자 조작) 식품이 그렇게 위험한 건가요? 13 ... 2010/09/18 1,505
578089 기부하느라 통장이 마이너스래요. 울 각카께서요.. 20 유후~ 2010/09/18 1,363
578088 저렴하게 가구 제작할수 있는 곳 있으면 알려주세요. 1 가구제작 2010/09/18 425
578087 의사샘이나 병원에 게신분께 질문요 dyal 2010/09/18 323
578086 결혼5년차 명절만 되면 부부싸움.? 9 영원한숙제 2010/09/18 1,985
578085 남포동 화미주에서 머리해보신분~ 3 화미주 2010/09/18 1,308
578084 상간녀에게 혼인파탄위자료청구소송을 하려고합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8 2010/09/18 2,498
578083 탈렌트 박순애씨요... 33 궁금... 2010/09/18 16,584
578082 청소기 어떤것을 살까요? 노론 2010/09/18 230
578081 애증,연민이 깊은 사이는 헤어지기가 6 더 어렵나요.. 2010/09/18 2,623
578080 케익이 두개.. 5 생크림 2010/09/18 853
578079 사춘기 딸.. 5 .. 2010/09/18 1,134
578078 집에서 오븐으로 굽네치킨 같은 맛 낼수있을까요? 1 전문가 모십.. 2010/09/18 838
578077 추석에 시댁에 안갈려고합니다. 17 결혼 11년.. 2010/09/18 3,150
578076 분당서울대병원 척추센터 어떤가요? 1 아기엄마 2010/09/18 1,265
578075 검정색 차, 관리하기 힘들까요? 7 신차구입 2010/09/18 1,269
578074 내년 여름 한달동안 아이와 둘이서 유럽여행을 할 수 있다면 어디로 가실래요? 12 유럽여행.... 2010/09/18 1,232
578073 r김탁구의 윤시윤이요... 8 눈부신 치아.. 2010/09/18 2,003
578072 오지랖 인정할께 이제 그만 2010/09/18 352
578071 송편 냉동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5 초보,, 2010/09/18 694
578070 82에서는 스팸을 싫어하시는것 같아요 66 2010/09/18 7,618
578069 인간극장도 출연료 있나요? 11 .. 2010/09/18 10,556
578068 이 광고 보고 울었어요 30 T.T 2010/09/18 4,792
578067 휴.. 사람이 이렇게 까지 힘들수 있을까 2 하늘을보자 2010/09/18 900
578066 맥주 안주로 나오는 후르츠 칵테일 어떻게 만드는지 4 먹고싶어요 2010/09/18 668
578065 더 좋은가요..리츠칼튼 옥산이랑 비즈바즈 4 뷔페 어디가.. 2010/09/18 747
578064 인터넷끊었는데 공유기로 컴퓨터를 해서 안되게하는방법가르쳐주세요 6 도움청합니다.. 2010/09/18 821
578063 초딩담임선생님께추석선물하시나요? 10 화이트 2010/09/18 1,613
578062 아래 글 중 손아래 동서 제사비용 5만원 ~ ~ 11 맏동서 2010/09/18 2,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