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김장후 김치들 바로 김냉넣나요?

어제김장한사람 조회수 : 2,026
작성일 : 2010-11-22 11:42:34
금방 요리비결 보니 김치 담근후 하루이틀 숙성후 넣으라네요.

어제 김장했는데.. 엄마가 하루나 이틀 뒤에 넣은 사람들 다 후회하더라면서.. 바로 넣자해서 넣었어요.
집이 좁아 걸리적거리기도 했구요..
그런데 저랑 신랑은 익은 김치만 먹어요..
작년 금방 먹으라 담근 굴넣은 김치도 안익었더니 얼마나 맛이 없던지.. 굴이 삭으면서 더 별로였다는..
(둘이서 얼마먹지도 못했구요..빨리 해치우지 못해서..)

김냉김치 항상 하루 이틀 꺼내놓고는 익혀 먹었어요..
이런 경우면 하루이틀이라도 익혀서 넣는게 맞는듯한데...
님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IP : 115.69.xxx.224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0.11.22 11:45 AM (211.117.xxx.105)

    익은김치 좋아해서 2일 지난후 넣어요
    생것 담자마자 넣으면 절대 안익더군요

  • 2. 저는
    '10.11.22 11:45 AM (125.180.xxx.16)

    내년에 먹을김치는 바로 넣어서 장기보관으로, 올해먹을건 넣어서 김치류 표준에, 요새먹을김치는 베란다에 내놓았어요

  • 3. ..
    '10.11.22 11:45 AM (211.112.xxx.112)

    굴이나 해산물 들어간 김치는 빨리 먹는게 맞아요.....

    김치 담가 놓은 시원하고 그늘진곳에 최소한 하루에서 이틀은 두고 약간 익은듯한(?)냄새가 나면 바로 김치 냉장고에 넣으세요..김치 냉장고는 미리 켜두시는게 좋습니다....

    그렇게 하면 김치 냉장고 안에서 서~~~서히 익어가면서 더 맛있어 져요...
    시댁에서는(시어머님 안계심)김치를 하자 마자 김치 냉장고로 넣으니 이건 익지도 않고 안익은것도 아닌 이상한 맛이 나더라구요....

  • 4. 절임배추
    '10.11.22 11:47 AM (58.125.xxx.12)

    절임배추로 담근 김치는 만들어서 바로 넣는게 맛이 더 좋았습니다.

  • 5. 생김치
    '10.11.22 11:48 AM (116.45.xxx.56)

    별로라 이틀정도 밖에 뒀다 넣어요
    그게 훨 낫더라구요..찌게도 더 맛나구요

  • 6. ..
    '10.11.22 11:48 AM (1.225.xxx.84)

    익혀 넣어요.
    물론 먹는 순서에 따라 낳는 순서도 차등을 두긴 하지만
    굴이 든거라도 익은내가 나야 넣지 그냥 그 안에서 익히지는 않아요.

  • 7. 각자
    '10.11.22 11:52 AM (218.156.xxx.26)

    입맛에 따라 다르지 않나요?
    익은거 좋아하심 익혀넣고...
    저는 안익은거 좋아해서 바로 넣습니다.
    김장해서 바로먹는 그 맛이 넘 좋아서 익으면 막 짜증나요.

  • 8. ....
    '10.11.22 11:54 AM (119.69.xxx.16)

    저는익혀서 바로 먹을것 두통정도는 밖에 나눴다가 익었을때 넣어놓고 먹고
    나머지는 바로 넣어놨다가 나중에 김냉김치보관 상태에서 저절로 익으면 너무 맛있더군요

  • 9. 시어머니
    '10.11.22 12:02 PM (128.134.xxx.90)

    보니까 이틀은 밖에다 두시던 데요.
    그런데 요즘 날씨가 따뜻해서 하루정도만 밖에 두시면 어떨까요.

  • 10. 어제김장한사람
    '10.11.22 12:11 PM (115.69.xxx.224)

    답글들 감사해요.
    입맛이 다 다르니... 엄마랑 저랑은 다른가봅니다.
    생각해보니 저도 그냥 바로 넣었더니 니맛도 내맛도 아닌.. 어중간한 맛이 났던것 같아요..
    안에서 익지는 않는듯..

    금방 두통 꺼내놓고 왔네요.
    하나는 굴통, 하나는 갈치통.. ㅋ

  • 11. 55
    '10.11.22 12:20 PM (112.150.xxx.92)

    밖에서 익혀 넣으실거라면 종종 확인해보세요.
    부글부글 부풀어 올라서 국물 넘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어제 밖에 놔뒀던 김치통 남편이 김냉에 넣는데 국물이 넘쳐서
    남편 옷 다 버리고 거실에 김치국물파티했어요 ^^

  • 12. ..
    '10.11.22 12:37 PM (125.241.xxx.98)

    일단 김치통에는 80프로만 채워야 합니다
    그리고 하루밤 거실에 두고 넣으면 맛이 있더군요
    이때 국물맛을 찍어 먹어 보면 간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조금 짜면 무조각 두개식 넣으면 좋고요
    싱거우면 소금 넣으면 쓰니까 액젓 조금씩 넣으면 간도 맞아 지더라고요

  • 13. *****
    '10.11.22 12:48 PM (210.91.xxx.186)

    김치냉장고 전원을 끄고 넣어놉니다... 실온에 2일 뒀다가 전원을 킵니다...
    많이 익은걸 좋아하시면 3일정도 두시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6198 이 음악 아시는 분.. 게임음악분위기인데 너무 궁금해요.플리즈~ 9 미침 2010/11/22 355
596197 지겨우시겠지만 저도 패딩 좀... 9 동참 2010/11/22 1,031
596196 드럼 세탁기 절대로 사지마세요. 74 열났음 2010/11/22 16,068
596195 아래 세줄 글쓰는 분이네요 5 ㅡㅡㅡ 2010/11/22 204
596194 결국 대만 국민들의 주장이 옳았군요. 태권도 판정시비 말입니다. 7 호박덩쿨닷컴.. 2010/11/22 1,889
596193 사회복지 공동모금회는 어떤 단체인가요? 4 궁금 2010/11/22 260
596192 치실을 알고부터 잇몸이 좀 아프네요 3 간질간질 2010/11/22 989
596191 직화오븐기 구입 좀 알려 주세요... 군고구마 2010/11/22 155
596190 위안부 서명 운동, 오늘까지 50만명이 필요합니다. 15 1분 걸려요.. 2010/11/22 320
596189 명지초는 사립이라도 학비가 안비싸다는데요 12 예전에듣기론.. 2010/11/22 2,759
596188 모유수유하는데 염색 정말 안될까요? 13 초라한내머리.. 2010/11/22 1,035
596187 더도덜도 말고 꼭 당신같은 며느리 보길 바랍니다. 23 너무한다 2010/11/22 3,004
596186 귤 5000원어치면 몇개정도? 8 .. 2010/11/22 649
596185 진주에 대해 잘 아시는분? 4 진주비드 2010/11/22 580
596184 맨땅에 고추 비비기 2 초2아들 2010/11/22 1,697
596183 날씨 너무좋네요 배태일 2010/11/22 140
596182 많이 읽은글의 공대 좁쌀 완전 공감하면서.. 13 다른과 남편.. 2010/11/22 1,207
596181 경제학이 수학을 잘해야 잘한다는 덧글? 48 경제학이.... 2010/11/22 4,368
596180 갑작스러운 미국이주를 위한 준비 7 도움 간절합.. 2010/11/22 801
596179 월 실수령액 320정도면 연봉이 ??? 4 궁금이 2010/11/22 1,913
596178 우풍센집에서 난방조절하기 5 우풍센집 2010/11/22 761
596177 운전면허를 따려고하는데요.. 1 면허 2010/11/22 231
596176 오르비스 클렌징오일 괜찮나요? 2 건성피부 2010/11/22 338
596175 반나절 도우미 4만원? 4 도우미요! 2010/11/22 1,138
596174 겨울방학때 초2아이데리고 일본다녀올까 하는데요 4 조언구함 2010/11/22 540
596173 인사동 정독도서관 근처 식당 추천 좀 부탁드려요~ 아이코 모이.. 2010/11/22 309
596172 난방배관에 금이가서 아랫집 천장에서 물이샙니다(급질) 9 궁금이 2010/11/22 614
596171 김장후 김치들 바로 김냉넣나요? 13 어제김장한사.. 2010/11/22 2,026
596170 뭔지모를 기분 상하는 느낌 18 .. 2010/11/22 2,937
596169 코스트코 캐시미어 폴라티 괜찮은가요 캐시미어 2010/11/22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