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자분들은 미혼일 때는 일자리, 임금차이 등 문제로 남녀평등 외칩니다만,
결혼해서는 남녀평등 주장을 훨씬 덜한다고 합니다.
특히 전업주부로 눌러앉으면 더 심하고, 가사노동비용 쪽으로 방향을 바꿉니다.
결국 우리나라 여자분들은 선진국의 여성들과 다르게,
결혼을 평생취업으로 보는 경향이 매우 큽니다. 즉, <평생직업=잘한 결혼>??
결혼후 경제력의 거의 대부분을 남자에 의지하고, 집안에 눌러앉는 경향이 많죠.
그래서, 독일의 한 (외국인)친구는,,,,"남편에게 평생 기생하는..."이라고 표현하더군요.
기생한다...는 표현이 좀 충격적이었는데, 생각해 보면 틀린말은 아니더군요.
그 친구의 와이프는 40대 중반인데, 직장도 다녔다가, 장사도 하다가,,, 쉬는 걸 본적이
없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대외적으로 활동하며 사는걸 보니까
제가 한국인으로서 한국여성을 비호할 변명꺼리가 떠오르질 않더군여.
아마, 우리나라 여성이 선진국 수준의 마인드로 변할려면 50년은 걸리지 싶습니다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선진국 수준의 마인드로 변할려면 50년은 걸리지 싶습니다
게시판 조회수 : 468
작성일 : 2010-10-21 08:14:00
IP : 152.149.xxx.18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내
'10.10.21 9:08 AM (74.242.xxx.240)제가 미국에서 12년간 살아본 경험으로는 그런 통계는 잘 모르겠고 미국에서는 둘이 벌지 않으면 안되게 사화구조가 되어있더라구요. 첫째로, 차가 식구대로 필요하고 자식이 둘이면 고 3쯤 되면 하나씩 있어야하구..예를 들면 잠시 아이크림사러가도 차가 있어야하니까요. 그 차량비 보험료...
대부분 일년에 한번은 다들 여행가고 있든 없든....그리고 무엇보다 여기는 다들 그런것은 아니지만 결혼은 일찍하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결혼은 일생일대의 중요한 일이라고 조건을 따지고 하는 것 보다는 사랑이 주요 전제로 되다 보니 이혼도 많고...다들 열거할 순 없지만 많은 이유들이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입니다..그러나 단 한가지 여기서도 전업주부도 많은데 남편이 여유있게 벌어와서 애들에게 여러가지 시킬 수 있는 사람과 가정을 무엇보다 소중히 생각해서 본인은 희생하는 것이 주요 안건이라고 생각한 사람이죠. 여기서는 전업주부를 부러워하고 능력있다고 생각하는 추세인것 같아요. 전업은 자신이 일할 수 있는데 가족들을 택했다고 희생한다고 보는 경향이 짙던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