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근데 교육감을 왜 주민 직접 선거로 뽑는거죠?
교육감은 예전처럼 교육의원들의 간선에 의해 뽑는게 100배 낫습니다~
교육위원도 마찬가지고요...정말 교육감 교육의원선거 로또 선거죠~
1. 음
'10.10.12 6:30 PM (183.98.xxx.153)주민이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 아닌가요?
2. ㄹㄹㄹ
'10.10.12 6:30 PM (210.95.xxx.129)근데 현실적으로 주민들은 교육감후보 교육의원후보 알지도 못해요~거의...
3. 알지도 못해서
'10.10.12 6:33 PM (211.207.xxx.222)진보성향 교육감들이 우르르 뽑힌 건가요??
이런 글 올리시는 의도가 뭡니까??4. 세우실
'10.10.12 6:35 PM (202.76.xxx.5)우리 아이들 교육이니까요. 자녀들을 위해 비싼 돈 들여서 학원 보내고 과외는 시키는 부모님들이 교육감에 대해서 알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게 더 웃긴 일이죠.
5. ㄹㄹㄹ
'10.10.12 6:36 PM (210.95.xxx.129)단순히 한나라당이니 민주당이니 하니 정당때문에 뽑히는게 문제인것처럼 무조건 진보성향이라고 뽑히고 보수성향이라고 못 뽑히는것도 문제죠~그래도 시도지사나 국회의원들은 사람들이 정당 말고도 인물을 알기때문에 선별이라도 가능하지 교육감은 인물은 전혀 모르고 단지 진보성향이냐 보수성향이냐만 알고 투표하는게 문제죠~그 사람의 됨됨이가 중요한데 사람들이 교육감 후보자들 개인자질은 모르니까요
6. .
'10.10.12 6:36 PM (218.48.xxx.194)로또라고 생각안되는데요.. 투표율은 앞으론 더 나아지겠죠~
이번 교육감 신나지 않았나요~
간선 교육감들만 보다가 이번에 뽑힌 분들을 보니..이제 교육계도 한줄기 희망이 보입니다,7. 음
'10.10.12 6:37 PM (183.98.xxx.153)사람들이 후보자 개인 홍보물도 안 읽어보고 막 투표하는 것 같으세요?
8. ㄹㄹㄹ
'10.10.12 6:39 PM (210.95.xxx.129)교육감이나 교육의원후보들은 사람들이 정말 잘 몰라서 홍보물말곤 후보자를 알 수 있는 방법 자체가 없죠~그에반해 시도지사나 국회의원 후보들은 거물 정치인들이 나오니 사람들이 후보자를 잘 알지만;
9. .
'10.10.12 6:39 PM (211.104.xxx.37)사람들이 후보자 개인 홍보물도 안 읽어보고 막 투표하는 것 같으세요? 222222222222
10. ..
'10.10.12 6:39 PM (61.102.xxx.73)이건 또 무슨 소리?
11. ...
'10.10.12 6:40 PM (121.129.xxx.76)공정택은 누가 뽑았나요? 공정택씨 잘 했나요? 원글 분위기가 웬지 관제 여론몰이같이 느껴지는건 오버일까요? 요즘 정치권에서 직선제 다시 검토하자고 한다죠?
12. 헐~
'10.10.12 6:40 PM (115.137.xxx.49)그런 논리면 국회의원 선거랑 대통령 선거도 하지 말아야죠.
진짜 국회의원은 좀 어떻게 해야함.. 견제할 장치가 너무 없어요.13. ㄹㄹㄹ
'10.10.12 6:41 PM (210.95.xxx.129)직선이든 간선이든 뇌물받아먹을 확률은 동일하구요~문제는 사람들이 후보자를 알지도 못하는 교육감,교육위원투표까지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선거를 할 필요가 있냐는 말입니다
14. ...
'10.10.12 6:41 PM (203.237.xxx.73)윗 님아 그렇게 문제가 많으면 대통령도 국회의원도 모두 간선으로 뽑으면 되잖아요
15. ㄹㄹㄹ
'10.10.12 6:42 PM (210.95.xxx.129)요즘 교육감,교육위원 직선제 폐지하는 주장은 전 찬성이네요!!로또선거는 할 필요가 없습니다~
16. .
'10.10.12 6:42 PM (211.104.xxx.37)원글님, 학교 다니는 아이가 아직 없지요?
있다고 해도 아이가 어떤 환경 속에서 공부 하고 있는지, 제대로 잘 모르시죠?17. ...
'10.10.12 6:43 PM (203.237.xxx.73)210.95.13.xxx 님아 막대한 비용이 아까우면 모두 간선으로 뽑자는 논리가 생기죠 돈 아까우면 경부고속도로도 놓지 말아야 하고 돈 아까우면 공무원도 뽑지 말아야죠
18. ㄹㄹㄹ
'10.10.12 6:43 PM (210.95.xxx.129)대통령,국회의원후보들은 사람들이 후보자를 잘 알잖아요~그런건 당연 직선으로 해야죠~하지만 교육감같은건 사람들이 후보자를 잘 알지도 못하고 그런것까지 직선으로 할 필요가 없다는거죠
19. ...
'10.10.12 6:43 PM (121.129.xxx.76)이봐요. 사람들이 아는지 모르는지 어떻게 알죠? 님만 모르는거심. 그리고 뇌물안받아먹을 사람 골라 뽑으면 되는거지. 아무래도 오늘 저녁 알밥나온듯.
20. ㄹㄹㄹ
'10.10.12 6:44 PM (210.95.xxx.129)그런 교육감 같은건 교육을 잘아는 후보자를 잘아는 교육인들끼리 투표하면 되는 겁니다
21. ..
'10.10.12 6:44 PM (203.237.xxx.73)진짜 내가 아는 사람이 이런 소리했으면 완전히 혼냈다
22. 왜
'10.10.12 6:45 PM (183.98.xxx.153)모든 정치인도 정치인끼리 뽑고
외교부 직원도 외교부 식구끼리 뽑고
그럼 되겠구만23. ..
'10.10.12 6:45 PM (203.237.xxx.73)그동안의 교육감들은 교육을 잘 알았나요? 지금까지의 교육이 잘 돌아갔습니까? 참 나 한심하기는
24. ㄹㄹㄹ
'10.10.12 6:45 PM (210.95.xxx.129)일반 사람들이 곽노현을 어찌알고 김상곤을 어찌 아나요?ㅉㅉ그건 교육하는 사람인 교육의원들의 간선으로 뽑으면 됩니다
25. 그렇다면
'10.10.12 6:45 PM (112.158.xxx.133)후보자를 알리려는 노력 후보자를 알려는 노력이 더 필요하겠네요.
전 적어도 모든 후보 홈페이지 블로그 다 찾아보고 이력 조사해보고 투표장 갔구요. ^^ 선거비용이 문제면 대통령도 도루 체육관에서 뽑는 게 비용 은 적게 들겠죠? ^^26. ...
'10.10.12 6:46 PM (121.129.xxx.76)곽노현, 김상곤 무슨 문제 있나요?
27. ...
'10.10.12 6:47 PM (121.129.xxx.76)어디 소속인지 궁금하구만요. 알밥님.
28. ..
'10.10.12 6:47 PM (203.237.xxx.73)일반 사람들이 곽노현을 어찌알고 김상곤을 어찌 아나요? 저는 알았습니다 그래서 투표했구요 됬죠? 교육하는 사람들이 간선으로 뽑자고 하면 군수는 군청 공무원이 뽑고 시장은 시청 공무원이 뽑으면 되겠네요 ㅉㅉ 한심하기는
29. .
'10.10.12 6:47 PM (218.48.xxx.194)교육을 잘 아는 교육인들끼리 뽑다가... 많은 문제점들이 생겨서 직선제로 하는겁니다.
그 문제점들이 선거비용보다 심각하다고 생각했기에 직선제로 바뀐거겠죠??30. ㄹㄹㄹ
'10.10.12 6:48 PM (210.95.xxx.129)교육하는 사람을 전체 주민투표로 봅는건 정말 오버중에 오버죠~나중에 경찰차치하고 다른다치하면 그런것도 다 직선으로 뽑아야 겠네요?
31. 세우실
'10.10.12 6:48 PM (202.76.xxx.5)왜 일반 사람들이 곽노현과 김상곤을 모를 거라고 생각하시죠? ㅋ 눈 가리고 있다가 뿅~하고 풀어주고 눈 앞에 투표용지 들이미나요? ㅋㅋㅋ 본인이 모른다고 남들이 다 모를거라고 생각하는 것도 참 재미있는 발상입니다. 이유나 물어봅시다. "왜 모르죠?"
32. ...
'10.10.12 6:48 PM (61.102.xxx.73)잘 안다고 잘 뽑을까요.
그것도 온통 사기꾼들이 판치는 나라에서?
아무리 무식해도 그렇지 어디서 말도 안되는 소리를..,,,33. ...
'10.10.12 6:48 PM (121.138.xxx.188)본인들끼리 다 해먹고 잘 살았는데 마음대로 안되니까 짜증나나보네요.
교육인들끼리 잘해서 여태 요모양 요꼴이었나봐요? 엄연히 학부모와 아이들이 관련자들이건만 니네들이 뭘 아냐며 본인들끼리 우르르하며 살던 옛날이 그리운가봐요?
별꼴이야.34. 근데
'10.10.12 6:49 PM (112.158.xxx.133)간선으로 그 동안의 교육감들과 직선제 교육감이 뇌물 받을 확률이 동일하다는 건 또 어디서 나온 논린가요? 적어도 제 손으로 뽑은 양반은 공정택이 같은 짓거리는 안 하실 것 같던데요.
35. ㄹㄹㄹ
'10.10.12 6:50 PM (210.95.xxx.129)투표율20%도안되는 보궐선거에서 뽑히니 그후부터 알았지 그전에 김상곤을 알았다고요?
36. ..
'10.10.12 6:51 PM (203.237.xxx.73)전 김상곤 알았습니다 됐나요?
37. ..
'10.10.12 6:54 PM (203.237.xxx.73)잘 아는 사람들끼리라면 당연히 파벌이 생기고 그렇게 되면 그 사이에도 이권이 생기고 부패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차라리 지역 사람들한테 뽑게 하는게 더 공정합니다 왜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를까요? 내가 아는 사람이었으면 정말 수 십대 팼다
38. ㄹㄹㄹ
'10.10.12 6:57 PM (210.95.xxx.129)그건 너무 부정적인 논거고 긍정적으론 후보자들을 잘아는 사람들이 투표하면 더 훌륭한 교육감이 뽑힐 가능성도 많죠~아무래도 후보자를 잘아는 사람들이 투표하니
39. ...
'10.10.12 6:57 PM (121.129.xxx.76)나근형씨때문에 맘상했구나....
40. ..
'10.10.12 7:03 PM (203.237.xxx.73)교육감 문제가 간선된다면 모두 해결될거라고 생각됩니까? 참 나 어디서 세뇌되어서 오셨군요 ㅉㅉ 이래서 학교 다닐때 수업 잘 들어야 한다니까
41. 와우..
'10.10.12 7:10 PM (118.32.xxx.49)정말 이런 생각하는 못 배워먹은 사람이 있구나..
중 고딩때 정치 경제 안배운 것 같은.
세상에 이상한 소리로 낚시질 하는 인간이 참 많네요. ㅋㅋ
기냥 웃지요42. .
'10.10.12 7:11 PM (61.102.xxx.73)원글님은 딱 초등수준의 논리만 갖고 계시는군요.
그것도 저학년....43. 어이없어
'10.10.12 7:24 PM (182.208.xxx.67)국회의원은 제대로 알아보고 뽑으시나요? 국회의원도 관심없으면 투표 안하든지, 아무나 찍든지하겠죠? 그럼 직선제 없애야겠네요~ 글쓴 분은 아이가 없어 교육감 투표 안했나요? 있어도 관심없었죠? 이런 글 쓰는 것 보니까... 전 후보들 인터넷으로 공약 체크해 보고, 선거사무실에 전화 걸어 이야기해 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서 투표했어요. 우리 애 교육이 달린건데 아무나 뽑을 수 없잖아요? 그래서 진보 찍어드려서 그분이 되었어요. 야~호 얼마나 신나요? 생각이 괜찮으면 진보상관없었는데 그래도 진보가 생각이 깨어있더라고요. 교욱은 애들의 미래가 달린거에요. 어떻게 교육감을 그냥 지들 입맛대로 하라고 맡겨놔요? 전 직선제 폐지 완전 반대에요
44. dd
'10.10.12 8:00 PM (125.177.xxx.83)직선제로 뽑았더니 무상급식,교육개혁 실천하는 훌륭한 교육감 나왔잖아요.
간선제로 뽑으면 대표적으로 공정택 같이 계속 임명제로 내부에서 해먹던 인간이
부패하고 비리적인 행태 보인다는 거, 간선제로 해먹다 당선된 공정택이 고스란히 보여주던데??
요즘 간선제로 복귀하자는 세력 있다고 하더니, 이런 글도 그냥 소신으로 주장하는 게 아니라 알바들 푸는 것 같네요.45. 직선제찬성!
'10.10.12 8:32 PM (211.63.xxx.199)직선제로 뽑았더니 무상급식,교육개혁 실천하는 훌륭한 교육감 나왔잖아요. 22222222222
이런 글도 그냥 소신으로 주장하는 게 아니라 알바들 푸는 것 같네요.22222222222
교육감 직선제 절대 찬성입니다!! 정말 뜬금없는 글이네요..46. 단순하긴
'10.10.12 9:28 PM (124.80.xxx.20)지금 당장은 원글님 말씀대로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교육의원 선거에서 후보번호뽑기가 로또라는 얘기가 나왔던 것도 같은 맥락이지요.
하지만 직선제는 당장을 생각해서가 아니라 교육의 미래를 내다보고 내린 결정입니다.
불과 100년도 안 된 대한민국 초기 정부 시기며 초창기 국회의원 선거 생각해보세요.
고무신 풀고 막걸리 먹이고 통반장이 관건선거 주도하는 수준낮은 직선제였지만
우리 현대사 60여 년만에 그래도 어느정도 절차적 민주주의는 수준이 높아져서
국회의원 간선제하자는 소리 못하잖아요.
원래 민주주의는 직접민주정치가 이상향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정치 및 행정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함께 의논해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여러가지 현실적 문제들때문에 대표를 대신해서 뽑는 대의민주주의가 생긴 거고요.
대의민주주의에서도 직선제 선거가 가장 이상적이죠.
그러나 이 역시 몇 가지 한계 내지는 기득권의 농락으로 간선제 민주주의가
우리 현대사 초기에 많았지요.
전두환도 체육관에서 간선으로 뽑힌 대통령이었잖아요.
그러니 국민들이 직선제를 요구했고-87년6월항쟁- 노태우 당선때부터 직선제로 대통령을 뽑게 된 거지요.
(물론 박통 전에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되었었긴 합니다. 박통은 민주주의를 개밥에 말아먹은 놈이죠)
직선제가 되었다고 해서 당장 좋은 대통령이 뽑히진 않았지요.
제도보다 중요한 건 시민의식이기 때문에
직선제가 쟁취되었는데도 전두환의 꼭두각시나 다름없는 노태우가 뽑혔으니까요.
그러나다시 대통령 직선제가 실시되던 80년대 말에 비하면
그래도 지금은 조금 민주주의가 정착되고 발전되었다고 말할 수 있죠.
그러니까 원글님 논리대로
일반 사람들 잘 모르니까 간선제로 교육관료 뽑자는 건
근시안적 생각입니다.
지금은 초창기라 여론몰이나 묻지마투표가 어느 정도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일 수밖에 없어요.
제도가 좋게 바뀌면 사람들의 의식도 좋게 바뀌는 겁니다.
어디가서 무식한 소리 하지 마시고 교육감 및 교육의원 선거에 더 관심 가지시고 참여하세요.
물론 원글님은 이렇게 교육관료 선거에 관심 많으신 분이시니
다른 분들께도 선거참여 독려와 활발한 선거토론을 주도하며 우리날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하실 분이겠죠?47. ㅁㅁ
'10.10.12 10:18 PM (175.117.xxx.206)이제 직선으로 계속 뽑을거니 이사람 저사람 관심 있게 보겠죠. 교육을 하는 사람이 뽑아야 한다니. 그동안 교육 맡은 사람들끼리 나눠 먹어서 우리 교육이 이 모양 이꼬라지구먼. 창피한것도 몰라요 어째.
48. ..
'10.10.12 10:25 PM (58.141.xxx.183)저런 초딩같은 사고방식의 사람들은 어떻게 자랐기에 저모냥인지..
댓글로 가르쳐주면 뭐하나. 알아듣지도 못하는데 ㅎㅎ49. 쿨잡
'10.10.12 11:23 PM (121.129.xxx.71)모르시는 분은 지금부터 알고 뽑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