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차례지낸 제기(나무그릇이나, 밥떠놓은 그릇이나. 국그릇) 그대로 우리가 먹으면 안되나요?

근데요 조회수 : 991
작성일 : 2010-09-21 17:25:19
아.정말 묻고 싶은데
일단 돌맞을것 같아,,,방패 앞에 세워두고^^;;;

차례나 제사 지낼때
제기를 쓰잖아요. 나무 제기도 쓰고, 밥이나 국은 스텐 그릇 쓰거든요. 우리 시댁은요.

그런데 다 지내고
우리끼리 밥을 먹잖아요

그러면 제기고 밥그릇이고 국그릇이고 다 설거지거리로 보내고요.
다시 그릇을 내와서 밥도 다시 담고, 국도 다시 담고, 전도 다시 담고.

저는요 정말...이게 힘들더라구요.
며느리들 설거지거리도 힘든데다..여분의 그릇도 사실 별로 없어요. 또 시댁그릇은 찌든때도 많고^^;;(일부러 꺼내서 씻는거 싫어하는 눈치여서...기냥 쓰는데요)

그냥 차례지낸 그 그릇을 그대로 재활용하면
며느리들도 편하지, 세제도 안써 환경오염도 덜되지,,세제가 안묻었으니 건강에도 좋지....

안그런가요?
절대 안될까요?

IP : 114.200.xxx.56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0.9.21 5:34 PM (122.32.xxx.193)

    원글님 말씀대로 덜어 먹는 앞접시 용도의 그릇만 새그릇 내고, 제기에 담긴채로 식사하면 좋을텐데, 꼭 싱크대가 넘쳐나게 설겆이거리를 만들어 주시더만요

    게다가 밥상 치우고 한숨 돌리기도 전에 띄엄 띄엄 들이 닥치는 손님들 시중까지 들다 보면... 상상만 해도 끔찍하지요
    손님들이 시간맞춰 한꺼번에 들이 닥치면 상차리고 치우는게 조금은 낫겠지만 현실은 한 팀 가고 나면 한 팀 오고 그런식이잖아요

    제사를 돌아가신 첫해에만 지낸다던가 뭔가 특단의 조치가 취해져야지...^^;;

    전부 기름진 음식들 뿐이고, 고추가루 들어가는 음식이 없어서인지, 명절과 제삿날은 꼭 얼큰한 라면이 땡기더만요

  • 2. ..
    '10.9.21 5:47 PM (114.200.xxx.91)

    저흰 간단한 나물류는 그냥 제기 채로 내기도 해요. 덜 필요가 있는것은 따로 담고요. 암튼 제사문화.. 시대 흐름에 따라 합리적으로 바꿔나가지 않으면 그 집안 아들들은 장가 들기 힘들어져서 외려 명맥이 끊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 요즘입니다;; 이런 이유라면 조상님들도 이해해 주시겠죠 ㅎㅎ

  • 3. 그냥
    '10.9.21 8:33 PM (119.71.xxx.101)

    저희 집도 몇가지는 제기 그릇 그대로 놓고 먹어요. 접시에 덜어서 나누기도 하구,.

  • 4. ^^
    '10.9.22 12:20 AM (180.67.xxx.76)

    저는 지금껏 원글님과 반대로 생각했어요...
    시댁가면 큰댁으로 가서 제사를 지내는데...큰댁에는 형편 괜찮은 아들이 3명이나 되는데
    글고 작은집인 저희 시댁도 형편이 괜찮은 편인데도...
    왜 변변한 제기 하나 안 갖추고 쓰던 접시며 스뎅그릇에 젯상을 차리는지 좀 보기가 민망하더라구요...뭐 누가 와서 제사상 보는 건 아니지만...
    제사 한 그대로 음복하고 그러는데...제가 고생을 사서하는 스타일이라 그런가
    제기 따로 음복용 따로 그게 맞는게 아닌가 싶었거든요 ^^

  • 5.
    '10.9.22 1:32 AM (121.130.xxx.42)

    전 아직 며느리 신분이라 발언권이 없지만
    제가 제사 주관하면 투명한 유리접시에 음식 담아 제기 위에 올릴거예요.
    제사 다 지내고 접시 내러서 먹고 제기는 행주로 닦아서 보관

  • 6. .
    '10.9.22 11:28 AM (183.99.xxx.240)

    우리도 제기음식 그대로 먹어요 모자라는건 다른 그릇에 더 담고요
    먹고나서 닦아서 넣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991 교보문고 누수..청계천 주변은 물난리 16 트리플 2010/09/21 6,316
578990 차례지낸 제기(나무그릇이나, 밥떠놓은 그릇이나. 국그릇) 그대로 우리가 먹으면 안되나요? 6 근데요 2010/09/21 991
578989 광화문 근처 물 잠긴 뉴스 보셨나요? 5 세상에 2010/09/21 1,829
578988 지금 파는 웰피아 슬라이서 채칼 어떤가요?? 아시는 분~~ 1 채칼 2010/09/21 543
578987 급) 대부 업체에서 깡패도 고용하나요? 3 dma 2010/09/21 652
578986 컴질문요~ 1 질문요 2010/09/21 183
578985 약밥 냉동해야 할까요? 6 갈쳐주셈 2010/09/21 627
578984 외국 명절은 대체 어떻게 하나요? 36 욕나오는 며.. 2010/09/21 3,293
578983 테팔 후라이팬 모델 추천 4 초보엄마 2010/09/21 775
578982 비가 엄청 내립니다. 왠간하면 나가지 마세요. 10 무서워.. 2010/09/21 4,406
578981 나는 누구에게 온전히 이해받은적 없는것 같은데... 13 그냥... 2010/09/21 1,325
578980 아파트 계단에 오줌.똥 싸놓고 사라지는 사람은 ㅡ도대체?? 11 대체.도대체.. 2010/09/21 2,422
578979 연구소 내에서 쓸 똑딱이 디카 추천 좀 ^^^ 2 pp 2010/09/21 358
578978 삼일교회 목사 성추행 사건 13 삼일교회 2010/09/21 5,630
578977 양문냉장고 말고 보통(?)냉장고 정리 잘하는법은... 2 엉망이로세 2010/09/21 675
578976 명절때 시댁가서 밥만 먹고 온다는 분들이 의외로 많네요 19 명절병 2010/09/21 4,420
578975 앞에 며늘 샘 내는 어머니 보니까..눈물이 나네요.. 15 엄마 2010/09/21 3,497
578974 제사 ---> 교회식 추도식으로 변경하신분들!! 3 ... 2010/09/21 1,067
578973 와.. 서울인데요 비가 정말 하늘에 구멍난 것처럼 많이 와요..-.- 14 ... 2010/09/21 1,555
578972 보통 남동생 결혼시 뭘 해주시나요? 5 남동생결혼 2010/09/21 864
578971 스키니진 입었다가 벗을때.... 13 나만 그럴까.. 2010/09/21 2,600
578970 애호박전 붙이는데 밀가루 대신 찹쌀가루 해도 되나요??? 급해요!!!! 2 왕초보 2010/09/21 889
578969 시누이가 어머니 돈을... 65 bbb 2010/09/21 7,483
578968 친정 아버지.....저 치사해서 안 갑니다. 걱정 마셔요. 24 서러워요 2010/09/21 5,537
578967 현재 남부지방 폭염 대구 33.5 울산 32.4 부산 30.6 5 ... 2010/09/21 1,008
578966 와플기계로 집에서 만들어먹으면 더 맛있을까요? 5 ... 2010/09/21 946
578965 측은지심과 고해성사 2 사이비신도 2010/09/21 446
578964 스텐 프라이팬 바닥삼중이랑 통삼중 기능 차이 많이 나나요??? 3 궁금 2010/09/21 687
578963 엄마!! 엄마는 왜 제사음식을 혼자해?? 5 외며느리 2010/09/21 1,359
578962 엠비씨에서 놀러와 스페셜한다네요... 7 지금 2010/09/21 1,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