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파는 김밥은 왜 이리 짠가요.

뭘넣은거야 조회수 : 4,601
작성일 : 2010-08-29 15:15:12
어제 오늘 밥하기 귀찮아져 김밥 사먹었는데요.
처음에 사먹었던 김밥집이 너무 짜서 오늘은 다른 곳에가서
사먹었어요.
밥할때 미리 소금간을 하는 건지 뭔지 김밥 사먹으면
꼭 물을 한사발 들이키게 되네요.
IP : 125.252.xxx.24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가 알기론
    '10.8.29 3:20 PM (118.43.xxx.206)

    파는 김밥은 밥을 맛소금에 비빈다고 들었어요..
    솔직히 구운소금보단 맛소금이 단가가 훨씬 싸고 사람들이 조미료맛을 좋아하는사람도 많구요.
    그래서 물이 땡기나봐요..
    제가 아는곳은 조미료를 안쓰는곳이라 2줄을 먹어도 별로 안땡기더라고요.
    그리고 김밥이란거 자체가 원래 좀 염분이 많이 함유됬지요.
    밥에 소금 들어갔지.속재료도 거의 다 짭잘하잖아요^^

  • 2. 참이
    '10.8.29 3:25 PM (121.136.xxx.75)

    아무래도 간간해야지 사람들이 맛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을 좀 세게 하나보네요..
    근데 맛소금은 구운소금보다 비싸던데..

  • 3. 저두요
    '10.8.29 3:37 PM (125.185.xxx.144)

    파는 김밥 너무 짜서.. 김밥 사먹어본지가 1년은 되어가는듯 하네요.
    먹고 싶어도 만들기 귀찮아서 못먹고 파는건 너무 짜고
    그런데 제가 하면 왜 그렇게 싱겁던지... 간을 따로 다 한다고 하는데도
    싱겁다고 그래요. ^^

  • 4. 뭘넣은거야
    '10.8.29 3:38 PM (125.252.xxx.24)

    그렇군요. 알고나니 제 입이 건강하다고 여겨져 맘이 놓여요.
    귀찮더라도 꼭 집에서 해먹는 습관을 들여야 겠어요.
    장볼땐 농약이 없는지 유기농인지 화학조미료 안쓴건지 오만거
    다 따져가며 산다고 머리터지는데 사먹을땐 뭐이리 단순해지는지 모순이에요 ㅋㅋ
    한 번 사먹기 시작하면 해먹기가 싫어지는 게으름도 있겠요 ㅎㅎ
    위에 댓글 달아주신 두 분 정말 감사합니다.
    ^^

  • 5. 뭘넣은거야
    '10.8.29 3:40 PM (125.252.xxx.24)

    저두요님
    집에서 만들면 싱거부리 한 거이 김밥 한줄만 먹어도 배터지는데
    어제 오늘 사먹었던 김밥은 한 줄 다 먹어도 계속 들어가더라구요.
    맛있어서가 아니라 짜서 그랬군요.
    한 줄이라도 집에서 만들어 제 건강 지킬래요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

  • 6. 봤어요.
    '10.8.29 3:40 PM (112.150.xxx.233)

    체인점은 아니고 동네 김밥집에서 만드는거 봤는데요.
    밥 비비는 중간정도의 볼 사이즈에 밥 많지도 않은 양이었는데 정말 맛소금을 봉지째 들고 붓더라구요.
    물론 한봉지 다 들어가는게 아니지만, 쏟아지는 양에 헐~ 했습니다.
    그렇게 많이 붓는데도 간이 적당하다... 싶던데요.

  • 7. 뭘넣은거야
    '10.8.29 3:44 PM (125.252.xxx.24)

    컥~ 정말요? 으으..갑자기 속이 부글대요.
    아무리 돈이 좋데도 우째 들이 붓기까지 한대요.
    넘 심하군요 ㅠㅠ

  • 8. ..
    '10.8.29 3:50 PM (220.75.xxx.225)

    제 경험상 대체로 가격대가 낮은 음식일수록 많이 짠것 같아요.
    무더운 여름날씨에 변질을 우려해선지 분식점 및 길거리(?) 음식들 요즘 더 짜요.

  • 9. .
    '10.8.29 4:22 PM (119.203.xxx.210)

    상할까봐 짜게 하는것 같더라구요.

  • 10. .
    '10.8.29 4:29 PM (121.158.xxx.128)

    이거 보고 갑자기 김밥이 땡기는 난 뭥미.ㅜㅜ

  • 11. 좀 싱겁고 담백한게
    '10.8.29 5:12 PM (115.137.xxx.60)

    개인적으로 맛있더라고요.
    오뎅이나 햄 종류 끓는 물에 팔팔 넣고 끓인 후, 물 버리고 프라이팬에 살짝 구워서 만들면
    화학첨가물도 빠지고(끓인 물이 누래요) 기름기도 싹 빠져서 맛이 깔끔해져요.
    밥에는 설탕, 식초, 깨, 소금 조금 넣고
    참기름은 김밥 다 만 후에 김에만 살짝 발라 윤기만 주는 정도로 해서 먹는데
    저는 그렇게 해서 먹는 김밥이 가장 맛있어요.

  • 12.
    '10.8.29 5:32 PM (61.83.xxx.159)

    맛소금 안넣으면 김밥 안팔린답니다.

    맛소금.참기름.깨넣고...주물주물비벼놓은 밥에.....김밥말더라구요.

    드시지마세요

  • 13. 아아
    '10.8.29 6:40 PM (124.5.xxx.143)

    지난주 수영장앞에서 김*네 김밥 10줄 포장했다가 김밥 한 조각에 생수 한 통 들이켜야 할 정도로 짜서.
    결국 점심은 다른 것으로 해결하고, 김밥은 그대로 가져왔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의 충격으로 가족 누구도 밖에서 김밥 사 먹자는 얘기 안 하네요.
    여름이니 상하지 말라고 소금을 부었을까요 ?
    나중에 집에 와서 우엉, 단무지, 어묵 다 골라내고 계란에 굴려 먹으니 먹을 수 있을 정도.

  • 14. .
    '10.8.30 10:25 AM (125.183.xxx.152)

    제가 체인점김밥을 무지 좋아했어요. 그런데..
    포장을 할려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전화기 옆에 포스트잇이 보였는데,,
    미원 0kg 가격.. 맛소금.##kg 가격 이런식으로 적어져 있더라구요..
    열가지 이상의 품목과 가격이 적어져 있는걸 보고,,
    식당에서 조미료를 쓰는줄은 알았지만,,, 그 뒤로는 잘 안가게 되네요..

  • 15. 요즘
    '10.8.30 2:14 PM (183.102.xxx.195)

    또 날씨가 더워서 일부러 간을 더 하는 경향도 있지 않을까요?
    그러면 좀 덜 상하니까요.

  • 16. ..
    '10.8.30 2:34 PM (125.241.xxx.98)

    모든 음식점의 음식이 짜지요
    그래야 첫맛이 야 맛있다
    이렇게 나온다 하더라고요

  • 17. dd
    '10.8.30 3:01 PM (121.130.xxx.42)

    전 세상에서 저희 엄마 김밥이 제일로 맛있어요.(다들 그러시겠지만 ^ ^)
    초중고 12년 봄가을 소풍 때마다 친구들끼리 서로 김밥 맛 봐도
    정말 저희 엄마 김밥같이 고급스럽고 깔끔하고 맛있는 맛은 없었어요.
    엄마 김밥은 밥에 배합초를 넣어 김초밥을 하는 건데 제가 새콤한 걸 워낙 좋아해서 더 입에 맞나봐요.
    근데 자게에서 보면 보통 소금과 참기름으로 밥을 비비고 어묵이 들어간다해서 좀 의아했었어요.
    집집마다 하는 방식 다르고, 또 그 때 그 때 있는 재료에 따라 싸는 거니 뭐 각양각색이겠지만
    자게에서 보니 대부분 김밥에 단무지 만큼 '꼭' 넣을 재료로 어묵을 꼽으시더라구요.

    암튼 전 어묵은 절대 안넣고요.
    밥도 소금과 참기름으로 안비벼요.
    배합초 넣어 김초밥 하면 더 맛있지만 그냥 맨밥으로 해도 담백하고 깔끔해서 맛있어요.
    사실 안에 들어가는 재료들이 간이 되어있는데 굳이 김밥 쌀 때 밥에 간을 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첫맛에 간간하니 맛있을진 몰라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02641 친정부모님때문에 미치겠어요.. 69 친정 2009/11/24 7,548
502640 실크테라피 어디서 사야할까요? 6 부시시~ 2009/11/24 1,428
502639 쉽고 간단한 단호박 파이의 필링 레시피 좀 가르쳐주세요. 1 파이초보 2009/11/24 340
502638 중원구 신청사에서 여권발급 받아보신분 계신가요? 3 여권발급요... 2009/11/24 280
502637 제 생각이 합리적이다못해 못된건지요? 9 가까운 미래.. 2009/11/24 1,356
502636 1971년 5월4일 생이면 2009년 2 만 나이? 2009/11/24 548
502635 초4학년때 성적이 주욱 이어질 수 있을까요? 6 수학머리없는.. 2009/11/24 1,235
502634 어제저녁에 깍두기를 했는데..싱거워요.. 1 네모네모 2009/11/24 345
502633 해외 항공권, 주로 어디서 구입하시나요? 6 tip 팍팍.. 2009/11/24 840
502632 남편한테 어떻게 해야할까요 조언 좀 부탁드려요. 10 어떻해ㅠㅠ 2009/11/24 1,212
502631 아들이름놓고 신랑과 대치중입니다^^ 42 대박이맘 2009/11/24 2,239
502630 김치냉장고 한쪽이 얼었어요 6 딤채 2009/11/24 883
502629 결혼기념일엔~ 2 뭐할까요??.. 2009/11/24 323
502628 부석사 가려는데 정보 좀 나눠주세요. 4 떠나자 2009/11/24 568
502627 로봇청소기 좋은가요.. 7 추천 2009/11/24 1,044
502626 아래 김장때문에 일어나는 트러블 글 읽었는데, 정말 김장도 셀프... 9 -- 2009/11/24 800
502625 대학측·정부, 세종시 놓고 빅딜 의혹 1 세우실 2009/11/24 227
502624 아이 그림 그릴때요.. 크레용 언제부터 제대로 잡았어요? 3 궁금해요 2009/11/24 320
502623 다른 나라는 어떨까요? (반찬, 식기류) 7 궁금해요 2009/11/24 787
502622 이병헌 70년생 아니지않나요? 10 아리송 2009/11/24 2,158
502621 서울에 신축 빌라 많은 동네가 어디인가요? 강남/서초/송파 6 이사가자 2009/11/24 1,387
502620 시누이 결혼에 저고리입고 그위에 두루막까지 입어도 될까요? 11 한복위에 두.. 2009/11/24 853
502619 절임배추로 김장하는데 석박지 무는 소금의 양을 얼마나 넣나요? 4 초보 2009/11/24 616
502618 짚뒤로 고가도로가 생기는 줄 모르고 입주했어요.한달만에 이사결심...ㅜㅜ 1 전세자 2009/11/24 593
502617 아이방의 컴퓨터를 거실로 옮기려는데 통신회사에 전화해야하나요? 6 컴퓨터 2009/11/24 618
502616 아이가 비만으로 향해 가는데.. 방치하는 엄마. 22 비만 2009/11/24 2,290
502615 토욜 오훙 서울에서 안면도,, 대략 얼마나 걸릴까요?.. 2 ;; 2009/11/24 747
502614 바디에멀젼 아이 얼굴에 발라도 되나요~ 5 뉴트로지나요.. 2009/11/24 1,333
502613 마이너스 통장이요 2 마이너스 2009/11/24 670
502612 스텐드김냉 둘 중에 골라야되는데 못 고르고 있어요.. 4 결정못해 2009/11/24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