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수채화 미술도구 어떤 걸로 사야 하나요?

미술치 조회수 : 647
작성일 : 2010-05-18 13:12:37
저학년땐 그냥 아무거나 예쁜 걸로 자기가 사겠다는 거 사 줬는데요.
고학년이 되니, 그림 도구를 좀 갖춰 줘야 할 듯 싶어요.

바닥에 신문지 깔고 그리는 거 보니 영 불편해 보여서, 이젤도 혹시 다들 갖추고 있나 궁금하네요.
파레트도 그냥 튼튼해 보이는 걸 사 줬는데, 좀 작은 듯도 싶고요.
물감도 색도 부족하고 해서 다시 사야 겠는데, 몇 색이나 든 어떤 걸로 사야할 지 모르겠고 그렇네요.

학원은 안 다녔는데, 스케치는 끄적끄적 잘 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역시 학원을 안 다녀서 그런지 채색하면 망쳐요.ㅠ.ㅠ

혼자 채색을 배울만한 관련서적이 있을까요?
서점갔다가 너무 많아서 못 고르고 돌아왔습니다.

잘 아시는 님 도움 말씀 좀 부탁드립니다.
IP : 221.15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나 전공자
    '10.5.18 1:32 PM (110.9.xxx.125)

    아무래도 물감이나 도구를 좋은걸로 쓰면 좀 못그려도 더 잘그려 보이는 효과가 있어요. ^^

    물감은 신한이나 알파에서 나오는 전문가용 수채화물감이 있어요.(별로 비싸지는 않습니다.) 보통 20색 정도면 무난해요.
    세트로 양철로 된 파레트 구입하시구요,
    붓도 좋은걸로 사시면 좋아요. 중간 두께 하나, 두꺼운거 하나 보통 두개면 되지만, 세밀한 표현이나 선긋기용으로 조금얇은것 하나쯤 더 사도 되구요..
    화홍?? 인가? 에서 나온것이 좋아요. 붓대 끝에 빨간 띠 둘러진거예요. 보통 10호나 15호 말하는데, 딱 육안으로 봤을때 지름이 한 0.7-1센티 정도 짜리랑 그것보다 얇은걸로 사세요.

    채색을 잘하는 요령은 따로 책으로 배우는것보다는
    1. 파레트를 깨끗하게 쓸것. 이색 저색 섞이면 탁해지니까 자주 닦아가면서 사용하구요,
    2. 도화지에 먼저 칠한것이 젖은 상태에서는 손대면 뭉개집니다. 마를때까지 차분하게 기다리구요,
    3. 스케치 선 밖으로 삐져나가지 않게 꼼꼼하게 칠합니다.
    요정도만 해도 반은 먹고 들어간다는... 명암이나 기교 부분은 그 다음에 말할수 있는거구요..

  • 2. 서양화전공자
    '10.5.18 11:36 PM (183.106.xxx.242)

    수채화 물감은 --신한꺼로 구입하세요..

    붓은 HWA HONG ..채색은 연한색부터-->어두운색..순서로 하시구요...

    물로서 색상강도 조절하시구요...

    수채화는 가까운그림보다 1M정도 떨어져서 조금 물러나서 그림을 감상합니다..

    입시때도 교수님들 강의실 바닥의 그림 선택하십니다..

    스케치 선밖으로 튀어나와도 상관없습니다..

    수채화붓은 하나만 있어도 붓끝으로 대부분표현하거던요..

    고학년이니 10호나 14호 정도가 적당하겠아요..

    넓은면은 눌러서 사용..세밀한 부분은 손에 힘을 빼고 붓끄트로만 표현하심되세요..

    그리고..흰색은 파레트에 절대 짜지 마세요...

    불투명수채화가 될수도 있어요..탁해지죠...

    씻다보면 색끼리 섞여서요..흰색이 필요할땐 바로 짜서 사용후--바로 세척하심되구요..

    그림이 덜 마른 상태에서 자꾸 손대다보면 다 완성후 전체샷을

    보면 그림이 안개낀듯 선명하지가 않아요...뿌옇다고 표현하죠...

    근경 중경 원경중 ..근경은 아주 강하게 ...붓터치도 많이 해주시구요...중경은 보통으로

    원경은 살짝 덧칠하면 됩니다..

    가까이 계심 정말 도와드리고 싶네요....

    그리고....세밀화나...초등학생들이 보는 그림작가들 명문대 서양화전공자들이 많더라구요...

    그책들을 아이한테 보여주셔도 좋을것같네요....

  • 3. 서양화전공자
    '10.5.18 11:43 PM (183.106.xxx.242)

    그리고 스케치북도 전문가용으로 구입..하시구요....

    앞/뒷면중 매끄러운 면으로 사용하게끔 하시구요.....

    모르시면 화방관련분께 알아보심 잘 알려주실거예요....

  • 4. 서양화전공자
    '10.5.18 11:50 PM (183.106.xxx.242)

    이젤도 구입을 권해드리고 싵네요...

    눕혀서 그린그림이랑 세워서 그린그림이랑 많이 차이 납니다..

    화판..이젤꽂이 해서 고민되심구입하셔도 좋을것 같네요..

    그림채색할때마다 눈을 지긋이 감고 아이 그림을 지켜보는 습관도 도움되십니다...

  • 5. 서양화전공자
    '10.5.19 12:16 AM (183.106.xxx.242)

    붓은 둥근붓으로 구입..납작붓은 구성..표어 포스터등(포스터 칼라물감)사용....색은 혼색으로사용하면 좋아요..

  • 6. 취미
    '10.5.19 1:34 AM (118.223.xxx.185)

    평소에 수채화에 무지 관심이많아 서양화전공자님의 글을 반복해서 읽었어요. 도움이 많이 될것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2841 한명숙입니다. 환영에 감사드립니다. 391 한명숙 2010/05/18 13,301
542840 도대체 이건 무슨 병인가요? 1 아파요 2010/05/18 623
542839 정몽준측, "축화화환은 꽃집과 의사소통 문제로 일어난 해프닝" 27 ㅜㅜ 2010/05/18 1,655
542838 정몽준, 5.18기념식에 '조화' 대신 웬 '축하화환'? 2 ㅋㅋㅋ 2010/05/18 889
542837 서운해할 일도 아니고 서운해해봤자 소용도 없는데... 5 ........ 2010/05/18 1,179
542836 시어머님과 함께 갈 해외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6 위로여행 2010/05/18 905
542835 MB "노무현 1주기 감안 천안함 담화 내주 연기" 9 소망이 2010/05/18 870
542834 조계종 "4대강 강행하면 냉정하게 심판" 7 verite.. 2010/05/18 567
542833 마늘쫑 요리법을 몰라요 8 요리초보 2010/05/18 1,738
542832 MB "5.18정신,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 요구" 7 세우실 2010/05/18 446
542831 저도 하녀봤어요 1 비오는아침에.. 2010/05/18 1,413
542830 서울교육감은 수구집단에서? 2 서울시교육감.. 2010/05/18 456
542829 어제 놀러와에서. 7 ^^ 2010/05/18 2,373
542828 여자들 친구는 언제까지 가나요??? 3 여자 2010/05/18 898
542827 미국이 더 싼가요? 5 노@페이스 2010/05/18 895
542826 막걸리 - 대성참도가..ㅎㅎ 37 ? 2010/05/18 5,893
542825 우리도 노무현기념관 만들수 없나요? 1 10억20억.. 2010/05/18 450
542824 이상형은 까다롭고 깐깐하게 골라야~ 깐깐하게 2010/05/18 774
542823 남편!! 나한테 사과해!! 1 바느질 하는.. 2010/05/18 653
542822 혹시 "자식연합" 이란 단체 아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2 쩜오 2010/05/18 1,340
542821 어제 저랑 같이 유럽여행 복장 고민하시던 분... 독일 지금 쌀쌀하다네요. 4 유럽 2010/05/18 1,173
542820 신상품 고가의 작아진 딸아이옷 어찌 할까요 ㅠㅠ 6 빈폴키즈 2010/05/18 1,279
542819 5.18 의 생생한 목격담 '푸른눈의 목격자' 1 5.18 2010/05/18 470
542818 호주 사시는 분들 퍼스여행 조언 좀 해주세요..컴앞대기중입니다.^^ 2 퍼스 2010/05/18 502
542817 수채화 미술도구 어떤 걸로 사야 하나요? 6 미술치 2010/05/18 647
542816 산후조리 질문이예요 13 ... 2010/05/18 877
542815 비행기 타면 귀가 아픈 분 계세요? 12 친정엄마 2010/05/18 1,374
542814 코스트코에 죽 파나요? 2 .. 2010/05/18 795
542813 싱가폴서 치킨 커리파우더를 사왔어요. 1 요리법 2010/05/18 584
542812 냉동참치가 생겼어요. 어떻게 요리를 해야하는지 8 참치 2010/05/18 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