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이 둘...한식조리사를 따고 싶은데요...

체리맘 조회수 : 586
작성일 : 2010-04-16 23:37:13
안녕하세요...
전, 아이 둘을 낳기 전에는 집에서 밥을 해먹는다는 것을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던 사람입니다.
그런데, 첫아이를 낳고, 이유식을 만들고, 반찬을 만들면서 음식만들기에 관심도 생기고, 재미도 생긴 아줌마입니다.
한식조리사, 제과제빵조리사 자격증등을 따고 싶은데요...
현재 제 처지가 4살된 남자아이, 2살된 딸아이가 있다보니, 학원에 다니거나 할 시간이 없습니다.
혹시 저같은 경우에 도움될만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꼭 학원에 다녀야 하나요?
그리고 책은 어떤 책이 좋나요?
부탁드려요...
IP : 110.47.xxx.118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0.4.16 11:56 PM (122.35.xxx.227)

    1차(이론)은 책보고 공부하셔도 되요 그리 어렵지 않아요
    근데 2차는 학원에 다니심이 좋을듯한데요..
    조리사 시험볼때 맛 안봐요
    예를들면 시험 메뉴가 "잡채"라고 가정하면 잡채에 들어가는 야채를 채써는데 거기서 정하는 크기가 있어요 굵기가 1.5~2센티정도 라고 한다면 그 안에 들어가야 하는거에요
    그리고 콩나물을 삶는데 뚜껑을 닫고 삶는다 라고 되어있으면 그리 삶아야지 댁에서 비린내 날까봐 첨부터 뚜껑 아예 열어놓고 삶는분도 계시더라구요
    그럼 점수 깍이고 뭐 그런식이에요
    그러니까 본인들 하던대로 하면 점수깍이고 시험 규정에 정해둔 거기에만 잘 맞춰하심 합격하세요
    댁에서 연습해도 되요 근데 다니심 더 도움이 될거다..뭐 그런거죠^^;;;
    별 도움이 안되었지만 아는데로 써 봤습니다

  • 2. 6세,4세아이 엄마
    '10.4.17 1:07 AM (116.38.xxx.81)

    양식조리사 과정 1개월째 수강중인데요,
    저도 아이들 그 나이땐 꼼짝마 하고 집에만 있다가, 올봄에 둘 다 유치원어린이집보내면서 해방(?)되었답니다. 인근 복지관이 저렴하길래 그쪽으로 신청했어요.(같이 듣는 분들 중엔 한식과정도 병행하는 분들도 있으세요)
    필기는 독학으로도 무난히 패스한다고 하던데...저랑 실습 같이하는 50대 주부님도 한 방에 패스하셨구요, 전 담주에 치는데 공부 하나도 안해서 붙기는 할지...ㅠ_ㅠ
    근데 실기는요, 위엣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맛보다는 외형을 평가한답니다. 특히 한식은 센티 따지는게 아주 엄격하다네요(양식은 그나마 두루뭉실한 축에 속한다고, 강사님께서 그러세요). 메뉴얼에 충실하고, 정해진 규격 확실히 지키고, 레시피에 없는 재료 들어가면 바로 실격! -_-;
    독학으로도 패스하는 분들 계신다고는 하던데, 웬만하면 수업듣고 하심 유리하겠지요.
    양식수업 듣다보니, 기본기에 충실해질 수 있어 배울점이 많네요.
    일반 학원은 아주 비싸지만, 제가 다니는 복지관 한식과정은 수강료 8만원에 재료비 15만원, 주3회(매 3시간씩) 수업입니다. 제가 아는 건 이 정도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6503 아이 둘...한식조리사를 따고 싶은데요... 2 체리맘 2010/04/16 586
536502 물없이 씻을수 있다는 "노린스"요. 산모가 써도 되나요?? 5 임산부 2010/04/16 590
536501 목숨걸고 편식하다에 나오는 야채구이같은거 어떻게 하는건가요??? 3 다여트 2010/04/16 862
536500 보통 부모님 칠순이나 팔순에는 얼마나 하세요? 4 궁금 2010/04/16 1,307
536499 진실은 밝혀진다 5 진실 2010/04/16 800
536498 칠순에 10만원 글읽고.. 정중하게 여쭙습니다. 20 고민중 2010/04/16 5,715
536497 나중에 노후 얼마나 준비 하시나요? 3 궁금이 2010/04/16 1,127
536496 아이와의 관계를 상담할 만한 곳은 없을까요? 12 힘드네요 2010/04/16 985
536495 아래 명언이야기가 나와서..(봉하마을서 ) 6 사람사는세상.. 2010/04/16 810
536494 월세 사는 주제에... 30 어허.. 이.. 2010/04/16 8,287
536493 뒤늦게 겨울연가를 보고 7 겨울연가 2010/04/16 1,229
536492 알뜰하게 제주도 여행 다녀오는 방법이 없을까요 6 가족여행 2010/04/16 1,193
536491 의료보험 민영화를 막으려면 어느당을 찍어야 하나요 2 2010/04/16 738
536490 키자니아 5 혹시 2010/04/16 949
536489 좀 화가나요! 신세*몰에서 주문을 했는데 품절이라며 연락이왔는데요 8 주문취소 2010/04/16 1,028
536488 코스코 르쿠르제 아직? 2 개나리 2010/04/16 489
536487 베트남 여자처럼 생겼대요 13 이국적인뇨자.. 2010/04/16 1,965
536486 소주에 어울리는 야식 안주 뭐가 좋을까요? 8 안주사랑 2010/04/16 867
536485 스카프 둘 중에서 못 고르겠어요. 17 기분꿀꿀 2010/04/16 1,310
536484 mbc를 도울 사소한 방법.. 13 진짜 혼자 .. 2010/04/16 771
536483 인라인스케이트 그냥 잡아주고 배워도 되나요 정식으로 2 배워야하나요.. 2010/04/16 437
536482 대화없는 부모 밑에서 아이는 무엇을 보고 자랄까요? 1 엄마의역할 2010/04/16 589
536481 아침 일찍 벚꽃을 보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5 벚꽃 2010/04/16 749
536480 다시 태어난다면 북유럽에서 태어나고 싶어요. 34 이민가고싶다.. 2010/04/16 5,258
536479 초등 소풍가방.. 8 허둥지둥 2010/04/16 2,147
536478 판교 지금 살기어떨까요? 초등학교는 상황은 어떤지요? 1 10살, 5.. 2010/04/16 847
536477 혹시 반포미도아파트 아시는 분들 계신가요?? 10 미도 2010/04/16 2,217
536476 신경치료 할동안에도 계속 욱신 거림이 있는게 맞나요? 1 이빨 2010/04/16 516
536475 맞춤 쥬얼리 하는 곳도 있나요? 2 궁금 2010/04/16 416
536474 조개 해감시켜놓고 불순물이 다시 들어가지 않도록하는 조치 4 급질문 2010/04/16 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