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북한의 김일성이 그 '김일성 장군'이 맞지요?

김일성?김성주? 조회수 : 479
작성일 : 2010-02-18 18:18:30
오래전 국민학교 시절에... 북한의 김일성은 본명이 김성주로 '김일성 장군'을 사칭했다.. 라고 배워왔습니다.
그렇게만 알고 있다가.. 최근에 역사책들을 찾아 읽어보니.. 김일성은 김일성 장군이 맞는 것 같더군요.. 근데 제가 읽은 책에서만 그런건지..? 책마다 다른건지..?
아직도 인터넷 검색해 보면 김일성은 김일성 장군이 아니라 김성주라는 사람이 김일성 장군을 사칭했다.. 란 의견이 지배적이라.. 헷갈리는 군요..

요즘 역사책들을 읽어보면.. 참으로.. 역사란 진실을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지금의 촛불 집회.. 같은 것도 수십년이 지나면 또 다른 사실로 왜곡된 역사로 남겨질까요...?
IP : 218.52.xxx.16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기억
    '10.2.18 6:51 PM (61.105.xxx.148)

    30년대 항일 유격전의 김일성장군이 맞다고 알고 있어요.
    이종석씨가 관련 연구를 하셨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이건 보수주의 성향의 학자인 서대숙씨도 인정한 사실입니다.

    다만 그동안 우리가 30년대 항일 유격전을
    독립운동(민족해방운동) 범주에 넣지 않아왔지요.
    본명이 김성주인건 맞을지 몰라도 김일성 장군을 사칭한건 아니예요.

    물론 행적이 부풀려지고 과장되어진 면은 있겠지만요.

  • 2. .
    '10.2.18 7:04 PM (118.219.xxx.16)

    이북의 김일성이 가짜라는 설을 유포한 사람들은 친일파나 일제의 고등계 형사 출신 또는 한민당과 같은 우익단체의 간부들이다.이들은 분단상황에서 이북의 김일성이 일제강점기의 막바지에 민족적 항일 영웅으로 존경을 받은 김일성이라면 지극히 곤란한 위치에 처할만한 사람들이었다. 특히 가짜 김일성 설의 고전적 문헌인 이북의 '김일성 위조사' 나 오영진의 '하나의증언'이 한국전쟁 시기에 제작 배포되었다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한민국史 2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3. ..
    '10.2.18 7:38 PM (123.214.xxx.60)

    맨 윗님이야말로.....
    초중등때 교과서 말고 다른 역사책은 안 보신 모양이네요.

  • 4. 기억
    '10.2.18 9:00 PM (61.105.xxx.148)

    잉잉ㅠㅠ
    첫댓글이 지워져서...
    ..님 저에게 하신 말씀 아니지요?ㅜ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1293 22개월 아기랑 기싸움..정말 힘들어죽겠습니다. 11 에휴 2010/02/18 2,506
521292 결혼은 안할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18 잔소리 2010/02/18 1,753
521291 이혼했는데 보험관련 문의요 5 2010/02/18 749
521290 쪽지 어떻게 보는건가요? @@ 2 쪽찌 2010/02/18 253
521289 주변에 학습지 교사 잘 하고 계시는 분들 있으세요? 9 괜찮아. 2010/02/18 1,359
521288 세상에 '절대' 라는 건 없어요 4 ... 2010/02/18 1,050
521287 국순당 차례주 청주 맞나요? 1 청주 2010/02/18 516
521286 의사가 되려면.. 8 알려주세요 2010/02/18 1,458
521285 부산에 대해 잘 아시는분 6 (여행) 2010/02/18 640
521284 검사 어디서? 3 기생충 2010/02/18 312
521283 여동생과의 사이가 안좋아요 4 걱정 2010/02/18 923
521282 ***송일국*** 대체 얼굴이 어떻게 된건가요??? 37 jk.j 2010/02/18 13,704
521281 외국어대 통번역학과와 통역대학원에 대해 여쭤봅니다 7 통역대학원 2010/02/18 1,616
521280 노트북 사려고 하는데 인터넷으로 사도 괜찮을까요? 3 ... 2010/02/18 642
521279 영화 해운대에서 엄정화 3 .. 2010/02/18 912
521278 통영에 집을 산다면 어느 동네에 사야 하나요? 2 조언 요망 2010/02/18 633
521277 아주르 다미에 쓰시는 분들 2 루이 2010/02/18 954
521276 보석비빔밥 얘기가 나왔길래 걍 지나가다 웃으시라고 5 저 아래 2010/02/18 1,793
521275 24개월 이전 아이와 일본 여행.. 추천 부탁드려요. 8 초보맘 2010/02/18 2,265
521274 무안 해제면에 땅을 구입할려고.... 7 추돈 2010/02/18 752
521273 재혼후 다시 지내게 될 제사 대해서ㅜㅜ 35 어렵네요 2010/02/18 3,773
521272 남편의 외할머니가 돌아가셨을 경우 3 루피 2010/02/18 1,310
521271 정말로 요즘은 맞벌이를 많이들 하시나요 11 전업주부 2010/02/18 2,301
521270 아이가 몇 살이면 엄마 없어도 잘살까요? 27 무력증 2010/02/18 2,469
521269 잠실 키자니아 몇살까지 재미있어할까요? 2 .. 2010/02/18 824
521268 호칭 3 별가 2010/02/18 225
521267 북한의 김일성이 그 '김일성 장군'이 맞지요? 4 김일성?김성.. 2010/02/18 479
521266 저는 여태껏 LA갈비가 미국 LA에서 생산하는건줄 알았네요. 8 무식이 철철.. 2010/02/18 1,234
521265 일본선수들 유니폼은 비밀병기 였다는데... 12 미치겠다 2010/02/18 2,277
521264 옛날에 여의도에 모니카의집이라고 떡볶이집 아시는분... 4 아시는부운~.. 2010/02/18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