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엄마표 김치

눈물나 조회수 : 953
작성일 : 2010-01-08 12:10:53
작년 12월에 처음으로 김장김치를 담궈 보았습니다.
엄마가 담궈주시던 김치 받아만 먹다가  처음 시도를 했어요.
나름 재료 꼼꼼히 신경쓰고 기억을 더듬어 잘 한다고 했는데
김치 냉장고에서 처음으로 김치를 꺼내어 먹어보니
눈물 납니다.

왜 엄마김치맛이 안 날까요?
재료와 방법은 거의 동일 했다고 보여지는데 아마도
어설픈 제 솜씨 탓 이겠지요?

이럴줄 알았다면 진작 엄마표 김치 맛을 전수 받을것을
엄마가 안계신 지금에서야 눈물나게 엄마가 생각납니다.
아마 아무리 맛있는 김치를 만난다 해도 엄마표 김치는
이제 없는데...


눈물 나게 생각나는 엄마표 김치
시간이 갈수록 그립고 눈물나게 생각납니다.
나는 이렇게 엄마 손맛을 기억하고 그리워 하지만
우리 아이들은........이런 엄마의 손맛을 나중에
기억이나 해 줄까요?
그런 생각하니 내 나름의 필살기를 살려 우리 아이들에게
우리엄마의 이 음식이 최고야 하고 생각할 그런
추억의 음식을 머리에 콕콕 박아주고 싶네요 ㅋㅋ

왜 한,두가지 쯤은 엄마표 음식들이 머릿 속에 고스란히
저장되어 있잖아요...^^

82회원님들은 엄마표 음식 뭐가 제일이신가요?
전 단연코 엄마표 김치 입니다.
아 눈물난다 ㅠㅠ
IP : 219.251.xxx.24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0.1.8 12:13 PM (121.136.xxx.189)

    그 맘 절절히 동의합니다. 저는 엄마표 추어탕이 가끔 먹고 싶어요.
    칼칼하고 구수하던 엄마표 추어탕...
    이제 다시는 먹을 수 없는 추억의 맛이 되었지요.ㅠ.ㅠ

  • 2. 저도
    '10.1.8 12:30 PM (219.251.xxx.108)

    맞아요. 시간이 갈수록 울컥하는 음식과 그리움이 있어요.
    전 김치찌개요.
    아무 것도 안 넣은 김치찌개요. 얼마전에 자스민님이 올리신 그런 김치찌개인데
    한번 해먹어 봤는데 그 맛이 아니었어요.

    전 큰어머니 김치맛이 그대로 남아있어요.
    예전에 시골 양념 많이 안 들어간 김치
    포기 작아 꼬들꼬들하고 양념 많이 안 들어가 김치냄새나는 그런 김치요.

    한번씩 그런 김치 먹고 싶어요

  • 3. jasmine
    '10.1.8 12:37 PM (110.13.xxx.157)

    윗님,
    메일 주소주세요,. 멸치랑 뜨물만 넣고 지진 김치찜 말씀이시죠?
    제가 조금 만들어 보내드릴게요....주소 꼭 주세요.

  • 4. .....
    '10.1.8 12:45 PM (221.138.xxx.39)

    엄마표 동동주, 쇠머리떡, 겉절이, 추어탕, 팥죽에....너무 많네요.
    뚝딱 쓱쓱 금방 만들어 주시던 그 많은 맛있는 음식들..
    엄마되면 금방 즐겁게 잘 만들 줄 알았었는데..엄마도 음식 하기 싫은 날도 많았을 것 같네요

  • 5. 나물
    '10.1.8 12:54 PM (58.231.xxx.161)

    저는 나물 무침이요.
    묵나물, 취나물, 토란나물, 고사리, 도라지등등등 말린나물 무침이요.
    그리고 별 재료 아닌 무나 배추 시래기 시금치 미나리 무침이요.
    아, 난 요리도 어지간히 하는 편인데도 엄마 맛이 안나요.
    아이들 어릴때 집에오셔서 애들 데리고 산책 하시다가 미나리 뜯어다가
    삶아서 하룻밤 울거내서 쌉싸름한 나물로 무쳐 주시고....
    시장에서 산나물이라고 사왔다고 했더니 반은 따로 골라내시곤 못 먹는다고...
    시장에서 함부로 산나물 사다 먹지 마라 하시고.
    엄마 한테 나물 구별 하는것 배워야지 했는데 이제 가시고 없네요ㅠㅠㅠ

  • 6. 자스민님
    '10.1.8 12:54 PM (116.125.xxx.236)

    띵호와 입니다.. 제가 다 고맙네요..
    그래요 엄마표.... 눈물나지요.. 저도 진즉에 친정엄마 시어머니표 배워둘걸
    한 분은 돌아가시고 한 분은 치매가 조금 있으니 그렇게 부지런하시던 어머니 음식 하는 것도 잊어버리시고 이젠 하실려고도 안 하시고... 뇌혈관에 조금 문제가 있으니
    조금 멍해지시고 단순해지시고... 작은 혈관들이 조금씩 끊기나 봐요.큰 병원에 약을 드시는데
    얼마나 효과있을 지 모르지만 암튼 그리워지는 어머님들 음식입니다..
    진즉 배워둘 걸 에효...

  • 7. 나물
    '10.1.8 12:55 PM (58.231.xxx.161)

    위에 미나리 아니고 민들레네요.

  • 8. ㅜㅜ
    '10.1.8 4:30 PM (114.205.xxx.236)

    전 결혼하고 1년 반만에 친정엄마가 돌아가셨거든요.
    이후에 큰 애 임신하고서 극심한 입덧에 시달리며 밥 한술 못먹고 누웠을 때
    엄마의 김장 김치가 어찌나 생각나던지...
    세상에서 제일 맛있었던 그 김치만 있으면 밥 한 그릇 물에 말아
    술술 떠먹을 수 있을 것 같았거든요.

    우리 딸도 나중에 시집가서 행여나 그럴까봐 얼른 김치 솜씨 좀 익혀놔야 할텐데
    결혼 13년이 넘어가도록 아직도 홈쇼핑 김치로 연명하고 있으니...ㅠㅠ
    솜씨 좋은 82님 중, 김치 담그실 때 저 좀 데려가서 비법 전수해 주실 분 안계신가요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815 추노 영상이 참 스타일리쉬하네요. 1 추노 2010/01/08 823
512814 신혼부부들... 장보는데 얼마나 쓰세요? 10 장보기 2010/01/08 1,618
512813 모피조끼..어떤가요 15 모피조끼 2010/01/08 2,107
512812 아이리스보다 추노가 훨씬 재밌어요 20 드라마팬 2010/01/08 2,645
512811 돈아껴쓰는것도 습관인가봐요~ 2 새해결심 2010/01/08 1,325
512810 엄마표 김치 8 눈물나 2010/01/08 953
512809 밥따로 물따로 말이죠..ㅋ 11 따로따로 2010/01/08 1,897
512808 지난번 살돋에 나온 텁트럭스 구매하셨던분들~ 2 낚시도 홍보.. 2010/01/08 1,303
512807 한달 생활비 얼마씩 받으세요? 42 한숨만 2010/01/08 6,846
512806 생강질문입니다 1 . 2010/01/08 326
512805 교대역 부근에 맥도날드 같은 패스트푸드점 있나요? 7 교대 2010/01/08 3,049
512804 중딩이 파마를 9 현수기 2010/01/08 792
512803 녹색어머니회는 몇시부터 몇시까지 하나요? 4 .. 2010/01/08 501
512802 "타이거 우즈, 남자와도 성관계" 13 황제답다황제.. 2010/01/08 8,038
512801 올 보조금 0원… 야학 불 꺼지나 1 세우실 2010/01/08 306
512800 고혈압이신 분들 외출 자제하시나요 8 추워추워 2010/01/08 826
512799 자동차세 선납하실분들~~ 9 절약 2010/01/08 1,383
512798 <급질>미국대학원도 졸업증명서 라는걸 발급해 주나요? 7 급해요 2010/01/08 1,237
512797 온몸이 쑤시고 목도 칼칼하고 머리도 지끈거리는데 3 감기에찍빵 2010/01/08 488
512796 바이올린 현은 어디서 고쳐주나요? 4 ^^ 2010/01/08 454
512795 어머님 제가 속상해요 10 휴우.. 2010/01/08 1,738
512794 부부대화시 이런 말 절대 하지 말자! 1 행복한 사람.. 2010/01/08 808
512793 콘도 회원권은 어떻게 구입하는 거에요? 2 알려주세요 2010/01/08 595
512792 시어른들은 아들집이 은행인줄 아시나... 9 심리 2010/01/08 1,619
512791 젊은 부부 안쓰럽고 예쁘네요 7 인간극장 2010/01/08 1,579
512790 임산부인데 뜨거운물로 매주 탕목욕했는데.. 6 어떡하죠? 2010/01/08 1,684
512789 금호산업 직원들 손해가 막심 8 ㅉㅉㅉ 2010/01/08 1,821
512788 금호, 동아일보 다 호남출신 재벌인데 쥐 고양이 생각하남유? 6 재벌과 평민.. 2010/01/08 1,066
512787 여대생들은 어떤 옷을 선호하나요? 9 패션스타일 2010/01/08 1,433
512786 정몽준이 언제 한나라당 대표가 되었나요? 4 그런데요. 2010/01/08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