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빌트인 삼성냉장고 사야 할까요?
주방가전을 며칠 내로 빌트인 시킬지를 옵션선택해야 하는데...
빌트인 냉장고는 삼성 하우젠이더라구요. 스텐으로 된 신모델인 것 같은데.. 690 쯤 되는 용량인데
가격이 329만원으로 책정되었네요.. (그것도 엄청 싸게 한 거라고 하데요...ㅠㅠ) 디스펜서 없는 기본모델인데 자동제빙 기능이 있다는 건 냉동실 내부로는 자동으로 얼음이 얼려 나오는 건가요??? 그런 걸 안 써 봐서리...ㅠㅠ
옆에 삼성스마트 전기오븐이 빌트인 될 예정이라 같이 넣으면 뽀대는 날 것 같은데 가격이 빌트인이라 그런지 많이 비싼 것 같아요. 검색해보니 월풀 스텐냉장고 디스펜서 있는 모델도 300만원 이하로 살 수 있던데..
이 삼성 빌트인 냉장고 디스펜서형은 입주자 공구가격이 거의 500만원 가까이 합니다.. (허걱..언제부터 국산 냉장고가 이렇게 비싸진건지..)
빌트인 냉장고 써 보신 분 용량이 너무 작거나 너무 속이 얕지는 않은지..지금은 월풀 700리터쯤 되는 구형 디스펜서 모델을 13년 째 쓰고 있는데요..색깔은 아이보리색으로 구형이지만 멀쩡한데.. 얘를 보조주방으로 내 보내고 새 냉장고를 빌트인 시키는 건 너무 낭비겠죠??? 김치냉장고도 따로 가지고 있습니다..
오로지 새 아파트에 뽀대나는 주방을 가질까 말까...하는 욕심인데.. (저희 지금 냉장고는 기능만 멀쩡하고 사실 심하게 때타고 헐어보입니다.. 냉장고 깨끗하게 싸악 닦는 방법은 없을까요..)
에고..돈 쓸 데는 많은데 이런 걸로 몇 날 며칠을 고민하다니....
1. 전
'09.10.9 8:54 PM (193.51.xxx.203)샘쑹 불매................
2. 비싸요
'09.10.9 10:03 PM (122.35.xxx.37)삼슝 가전은 해외에서도 별로 평이 안좋아요.
게다가 디스펜서 있는 모델도 미쿡에선 1000-1400불 하거든요. 스텐도어 비슷한 용량으로요.
빌트인의 장점도 있지만 금액이 과도하네요.
저는 빌트인 하나 엘지 하나 쓰는데 빌트인 외관만 좀 깔끔할 뿐 별로 안좋아요.
부엌에 손님 자주 오는 것도 아니고 내 눈에는 2-3일이면 차이 없을걸요...
http://www.nextag.com/serv/main/buyer/OutPDir.jsp?psort=1&mfr=Samsung&node=27...3. jk
'09.10.9 10:05 PM (115.138.xxx.245)몇달전에 냉장고 바꿀때 알아본 것인데
빌트인이 비싼 이유가 용량은 거의 그대로인데 크기가 작습니다.
냉장고 폭(손잡이에서 뒷면까지)이 약 90센티 정도로 정해져있는데
빌트인 제품은 그게 70정도밖에 안된답니다. 그 크기를 줄이는 부분에서 돈이 많이 든다는거죠.
들어가는 내부 면적은 동일하면서 냉장고 크기를 줄이는데 그만큼 돈이 든다는거죠.
보통 빌트인 타입의 제품은 최소 가격대가 150정도이구요
200정도라면 뽀대를 위해서 참을수 있겠지만 300은 글쎄요..
사실 저도 자동제빙도 생각해봤는데 막상 여름을 앞둔 4-5월이면 모를까
안그래도 추운데 제빙기를 거의 쓸일이 없죠..
님 말마따나 디스펜서 있는 모델이라면 그 가격을 참겠지만..
세트를 맞추기 위해서 그 가격은 좀 망설여지겠군요.4. ...
'09.10.9 10:53 PM (61.74.xxx.78)반포래미안 모델하우스에 하우젠 냉장고 빌트인 되어있는 걸 보고 침 뚝뚝 흘린 기억이 나네요. 너무 멋지죠... 빈틈 하나도 없이 스텐레스 외장으로 깔끔 그 자체더군요. 그게 그렇게 비싼 건지는 몰랐습니다. 그 집에서 10년 넘게 사실거면 그냥 새 집으로 이사가시는 김에 돈 좀 쓰시는 것도 괜찮을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