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유기농설탕은 왜 색깔이 황설탕색인가요? 매실도
사탕수수를 철판에 끓여서 설탕성분이 노랗게 타서 그런가요?
혹시 아시는분?
1. 백설탕으로
'09.7.13 4:45 PM (61.98.xxx.183)담아도 같은 색깔 나오지않나요?? 아닌가^^;
2. ...
'09.7.13 4:47 PM (141.223.xxx.189)백색 설탕이 정제하는 과정에서 탈색해서 하얗게 된 거예요...
원당은 짙은 갈색이지요~
http://www.labortoday.co.kr/image/2008/8/11/s_%EB%B0%B1%EA%B4%913.jpg3. ...
'09.7.13 4:47 PM (141.223.xxx.189)사진 뒤쪽에 산처럼 쌓인게 원당이랍니다.
4. 경제
'09.7.13 4:48 PM (59.18.xxx.33)허걱?
탈색요?
뭘 어떻게 탈색한다는건지...5. 지나다가
'09.7.13 4:56 PM (124.243.xxx.16)에궁 오늘 바쁜데 괜히 여기 들러 이야기 할것이 남네요.... 그래도 대답은 해야 것지요
너무 재미 있어서 그냥 웃었습니다. 먼저 제조 과정은 나중에 이야기 하구여 넘 잼있네요
철판에 끊여서 ...... 빵 빵 터집니다. 죄송요
아실줄 모르겠지만 설탕은 사탕수수에서 원액을 추출해서 정제를 합니다. 정제과정을 보면
사탕수수-->원액 추출--> 정제(수증기 증발작업)-요게 원료당 ---> 가공(원심분리, 결정추출) ---> 설탕 이 되는데요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원료는 정제전의 원료당입니다. 원래 이 원료당의 색깔이 황갈색입니다.
제일 제당 같은곳에서 원료당을 가공처리 하는 과정에서 정백당(흰색)을 만들어 냅니다(아주 복잡한 공정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간단히 이야기 하면 사탕수수 원액에서 추출되어 원료당 추출을 만들어 낼때 색깔이 황갈색 이고, 이후 이걸 여러번의 정제 과정을 거치고 결정을 추출하면 흰색의 설탕이 된답니다
보통 유기농 설탕은 이런 정제 과정을 덜거치고 만들어 낸답니다. 이렇게 되면 좋지만, 수율이 많이 나와 가격 잘 맞니 않아 정제당을 많이 만들어 낸답니다.6. 경제
'09.7.13 5:31 PM (59.18.xxx.33)제말은 필리핀농가에서 하는 전통적 설탕제조방법을 말한건데요?
생협에서 파는 마스코바도 설탕인가 하는거요.
사탕수수 재배부터 제초제나 농약안쓰고
설탕도 전통적 방식으로 만들어 판다는 그 유기농설탕요,7. --
'09.7.13 5:43 PM (221.163.xxx.144)유기농 설탕 디게 비싸지 않아요? 저는 그나마 황설탕 먹는데..
대딩때 식품 전공할때 간단하게 기억나는게 원당에서 황설탕..황설탕에서 백설탕으로 정제 할때 화학물질 써서 거진 흰색으로 벗겨낸다고 배웠어요..그러니 당근 흰색으로 갈수록 몸이 안좋겠죠? 헌데 흑설탕은 원당은 아니고 카라멜 들어가서 까만거라고 들었어요8. 경제
'09.7.13 6:09 PM (59.18.xxx.33)아 철판이 아니고 사탕수수즙을 철로된 통에 넣고 끓이네요.
9. 생협
'09.7.14 1:16 AM (118.38.xxx.219)얼마전에 마스코바도 생산자분 강연회가 있어서 갔다왔는데 설탕색깔은 사탕수수에 따라 다르게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생산자분들도 어떤 색깔이 나올지 모른다고 하던데요.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설탕은 색이 짙고 또 다른나라에 수출하는 설탕은 색이 옅다고 합니다.10. 음
'09.7.14 9:36 AM (125.186.xxx.14)저도 바쁜데 지나가다님처럼 알고있는게 죄라 글을 남겨요
원당자체 색깔이 두번째 댓글에 링크된거 그 색처럼 진한건 아니예요
그 사진은 밤에 찍은거라 너무 진하게 나왔네요
원당은 모래와 흡사한 누런색이예요
ㅡㅡ님의 댓글보면 흰색으로 갈수록 몸에 안좋을거란 내용이 있는데요...
설탕에 관해서는 선무당이 사람잡는다고 왜곡된 내용이 오히려 사실처럼 굳어져있지요
설탕의 정제공정분야에서 근무하는 사람들...
누런설탕 먹지말라고 합니다. 그 사람들 흰설탕 먹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