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국이나 찌게 잘하시는분이요?

조회수 : 1,400
작성일 : 2008-09-24 14:39:34
7년차 주부입니다. 반찬은 어디 내 놓아도 솜씨 좋다는 소릴 듣는데..

늘 국, 찌게가 문제입니다..

아무리 해도 맛이 없네요.

집에서 간단한 재료로 맛있게 끊일 수 있는 국, 찌게 뭐가 있을까요??

애 아빠가 아침에는 꼭 국물을 찾아서요..

조언부탁드려요..
IP : 219.255.xxx.8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9.24 2:47 PM (203.229.xxx.253)

    북어국이 최고 아닐까요? 재료도 쉽고, 초보나 전문가나 맛이 그다지 차이없어보이던데요.

  • 2. 찌게
    '08.9.24 2:48 PM (211.202.xxx.144)

    전 반찬좀 잘했으면 ..매운탕 ,된장국 , 고추장좀 넣은 국 , 맑은 국 돌아가면서 해요. 맑은국은 다시마 멸치넣어 국물내면 조미료 필요없이 간만 잘하면 되고요 , 매운탕은 소금간 하지말고 액젖으로 간해요 북어국같은 경우는 들기름에 볶아서 무우넣고 푹 끓이면 정말구수해져요 참고가 되셨으면..

  • 3. 된장 청국장.
    '08.9.24 2:49 PM (220.126.xxx.186)

    장만 맛있음 됩니다.소금간 필요하지 않아요
    된장국 된장찌개 청국장찌개가 최고에요!!!

    더불어,김치찌개까지..이건 김치가 맛있으면 고춧가루 마늘 이런 양념 필요없어요
    김치 돼지고기 볶은다음에 육수붓고 오래 끓여주면 되어요.

  • 4. 흑....
    '08.9.24 2:59 PM (220.71.xxx.235)

    아~ 저는 반찬도 솜씨없고 국도 정말 제로거든요. 저도 너무 부러워요.
    그 육수 라는건 어떻게 하시는건지........ 흑흑.

  • 5. 찌게
    '08.9.24 3:06 PM (211.202.xxx.144)

    아침엔 새우계란탕도 간편스피디하게 할수있어요,, 물, 새우 (냉동도 괜찮음) 청향고추조금, 넣고 끌이다가 소금간하고 계란하나 풀으면 되요 해장국으로도 시원해요

  • 6.
    '08.9.24 3:07 PM (116.43.xxx.9)

    아침엔 늘 된장찌개...
    며칠7개랑 다시마 자른것3~4개 넣고 팔팔 끓이다가
    멸치는 건져내고..
    된장넣고,고춧가루넣고,양파넣고,,버섯넣고,,호박넣고,,두부넣고,,마늘넣고,,
    남편이 맨날 참 잘먹고 가요.
    된장은 제가 해마다 직접 담는 거구요..

    저녁은 늘 김치찌개..

    2주정도에 한번쯤 국 끓입니다..
    한달에 한번쯤 소고기국 한 찜통 끓여서 한 3~4일 먹구요..

  • 7. 저도
    '08.9.24 3:08 PM (125.131.xxx.167)

    항상 2%부족한 느낌이었거든요.
    항상 밍숭한 느낌이랄까..

    근데 간볼때 아! 됐다고 생각하면서 간을 쪼금 더 해줬더니
    밥먹을때 간이 딱 맛더라구요

    그냥 국물먹었을때랑 밥이랑 먹었을때랑은 다르더라구요
    국이나 찌개는 아무리 맛나게 우러나도 간이 싱거우면 닝닝한 느낌이나요
    그러니까 간을 조금만 더 해보시면 어떨지

    저의경우였어요^^

  • 8. ㅠㅠ
    '08.9.24 3:12 PM (59.10.xxx.219)

    음식들도 잘하시고 다들 부러워요..
    전 맞벌이라 주중에는 거의 밖에서 먹구요..
    토,일 이틀만 아점두끼, 저녁한끼, 일욜은 담날피곤하다고 신랑이 나가서 먹자고해요..
    그래서 인지 결혼전엔 요리잘한단 얘기들었었는데 요즘은 실력이 주는건지 맛이없는거같아
    신랑한테 넘 미안하네요..
    근데 찌개나 국은 양이 많을수록 맛난거같아요..

  • 9. 남편을
    '08.9.24 4:39 PM (221.150.xxx.254)

    개조하십쇼.. 적응력 뛰어나야 도태되지 않는다고 꼬셔서 빵도 먹이시고 국없이도 먹이시고..

  • 10. ..
    '08.9.24 5:46 PM (116.126.xxx.97)

    1) 다시물--멸치나 뒤포리 양파 표고 북어머리 무 마른 고추등을
    넣어서 진하게 육수를 끓여 놓으면
    --여기에 가다랭이포를 넣으면 더 진하고요--기호에 따라
    --미역 넣고 새우만 넣어면 미역구
    --된장풀고 넣는 재료만 달리해도 여러가지 된장국---미역, 콩나물 넣어도 맛있어요
    --매운탕에도 기본 국물
    --콩나물국 끓일때도 이 다시물로

    2)육개장도 좋고요

  • 11. 된장찌개에
    '08.9.24 5:53 PM (218.39.xxx.140)

    멸치 + 소고기 넣으신 국물에 끓이시고
    된장을 집된장과 산된장 1:2 비율로 끓이시면 맛나실거예요 ^-^
    우렁이, 말린표고 <-----이건 제가 애용하는 재료예요
    호박, 양파, 매운고추, 마늘 다진거, 감자, 대파
    이 정도만 넣으면 조미료 한톨 안들어가도 구수하고 진한 국물맛 보장해요~~

  • 12.
    '08.9.24 5:55 PM (210.4.xxx.154)

    간단한 거라면 저도 북어국 추천..
    계란국, 콩나물국 이런 것도 간단하죠..

  • 13. 이라이자
    '08.9.24 7:35 PM (125.186.xxx.44)

    전 주로 아침엔 시금치국,아욱국,배추국,근대국,무국,콩나물국등으로 돌아가믄서 끓여요..
    그냥 멸치 다시내서 된장,마늘풀고,,한소금 끓인후에 체에 걸러서 맑게 만든담에
    야채 넣어서 국 끓여요...좀 싱거우믄 다시마좀 넣고 끓이다가 먹기 전에 건져내구요..
    저녁엔 찌게류로,,,
    첨엔 밍밍한 음식이 별로라고 남편이 투덜거렸는데
    요즘은 느끼히지 않아서 좋다내요..
    윗분처럼,,개조가 젤 편해요..ㅋㅋ

  • 14. ...
    '08.9.24 10:28 PM (118.222.xxx.30)

    국은 육수와 장맛입니다.
    전 직장을 다니고, 남편은 국이 있어야 밥을 즐겁게 먹는 관계로 꼭 주말에 육수를 만들어 놓습니다.
    멸치, 다시마, 양배추, 새우, 표고버섯, 무우, 호박, 브로컬리 대, ... 등등 집에 있는 것들 넣고 끓여서 만들어 놓구요. 냉장보관합니다. 야채가 많은 날은 많이 끓여서 냉동보관도 합니다.
    육수 넣고 된장 풀고 아욱 넣으면 아욱국, 근대 넣으면 근대국이지요. *바지락이나 새우 있으면 넣어 주세요.
    콩나물국은 육수를 조금 넣고 물을 넣어 소금으로 간하구요. 국에는 파와 마늘은 거의 기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 미역국에는 파 넣지 마시구요. 위에 어느분 말씀대로 조미료 쓰지 않고도 맛이 좋습니다. 성공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4925 한국에서 일본어를 잘하면 어떤 곳에 취직할수 있을까요? 13 jp 2008/09/24 2,979
234924 중고피아노 어떻게 사나요? 7 2008/09/24 491
234923 지방을 자주 다녀야 할거같은데..무선인터넷이요.. 2 무선인터넷 2008/09/24 275
234922 빚갚는 중인데 쇼핑충동이 생겨요.. 8 참을인 2008/09/24 1,120
234921 아~~~괴롭다~시누이는 왜 그럴까~ 6 ㅡ,.ㅡ 2008/09/24 1,020
234920 저희집 재정상태좀 봐주세요.. 8 질문 2008/09/24 1,350
234919 베이비쿡 사용해보신분 계신가요? 1 아기엄마 2008/09/24 149
234918 소금 어떤걸로 드세요? 8 궁금 2008/09/24 888
234917 대출 가능한가요?? 2 8억다세대 .. 2008/09/24 309
234916 변액펀드와 적립식 편드 차이는 뭐죠? 3 펀드 2008/09/24 439
234915 카드로 내려고 하는데 6 재산세요 2008/09/24 423
234914 아기 보는거 어디에 맡겨야 할까요 14 직장맘 2008/09/24 611
234913 생수 3 궁금한 아줌.. 2008/09/24 260
234912 불륜이란......합의이혼 직후 동거해도 불륜이 아닌건지.. 14 인터뷰~ 2008/09/24 2,166
234911 우산 고치는곳 보신적 있으세요? 13 요즘 2008/09/24 1,328
234910 ‘강동순 녹취록’의 언론장악 10대 예언 ① 2 으시시해 2008/09/24 282
234909 해외구매시 세금은? 2 세금 2008/09/24 210
234908 윤선생 영어 파닉스요 교재만 구입해도 될까요? 4 초2맘 2008/09/24 558
234907 직접 담은게 아니고 샀다고 하면 그 김치가 더 맛없게 느껴지는 선입견이 있을까요? 3 요상 2008/09/24 473
234906 저도 퇴직관련... 4 답답이 2008/09/24 502
234905 국이나 찌게 잘하시는분이요? 14 2008/09/24 1,400
234904 브리치즈 어떻게 먹을까요? 9 애플맘 2008/09/24 779
234903 주말에 일하고 주중에 하루 쉬는 분들 계세요? 4 내인생의봄날.. 2008/09/24 559
234902 시어머님 생신상 메뉴를 정했는데요 궁금한게 있어서요.. 3 초보주부 2008/09/24 459
234901 [데일리서프]스티븐슨 신임 주한 미대사 “촛불시위, 한국 민주주의의 꽃” 5 신임 주한 .. 2008/09/24 419
234900 버스에서 기대 자는 사람들 난감해요.. 마니피카 2008/09/24 365
234899 금융권 종사하시는분들 자격증에 대해 질문드려요. 6 .. 2008/09/24 455
234898 인간극장...아무리봐도 이해할수 없네요 8 kbs정말실.. 2008/09/24 2,062
234897 88뷰티존-들어보신분 혹시 2008/09/24 114
234896 꿈 해몽 좀 해주세요 4 아기 기다려.. 2008/09/24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