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펀드 유지냐...

고민녀 조회수 : 1,299
작성일 : 2008-09-18 12:09:01
지금 펀드로 들어간돈이 3000정도입니다

금액확인 안한지 2주정도 되는데....

반타작 이상이라는 생각.........하고있지요....

저같은 경우는 당장 필요한돈이 아닌지라 그대로 유지하는게 나을까 싶은데.

어찌해야한지..경제지식이 얕은사람이라 고민만 계속 하고있습니다.

대출받은것도없고 특별히 목돈 들어가는일이 향후5년안에는 없을듯싶은데.

그대로 놔둘까여??

IP : 211.37.xxx.20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건
    '08.9.18 12:14 PM (211.195.xxx.10)

    누구에게 물어보고 결정할 일이 아니죠.
    본인 스스로 결정을 해야지...

    저도 펀드 들어놓은거 원금에서 -된지 꽤 됐는데
    적립식이고 소액씩 넣는거라 일단 계속 가져가려고요.
    원금이라도 되면 환매하던지 해야지. ㅎㅎ


    손실액이 크지 않다면 환매해서 예금예치로 이자라도 받는게
    나을 듯 싶기도 하고요.

    전 장기로 생각해서 꾸준히 넣으려고 소액 적립식을 했던터라서요.
    그래도 경기가 조금 좋아지면 부분환매 하고 그러려고요.
    그날이 언제 올런지는 몰라도.ㅎㅎ

  • 2. 저랑 비슷한
    '08.9.18 12:28 PM (147.6.xxx.176)

    금액이 들어가 있으시네요.
    저도 원금 2700정도 4개 펀드로 나눠서 들어가 있거든요.
    한 1년 넘게 적립식으로 붓다가 지금은 중단한 상태인데 그나마 초기에 들어갔던터라 어제부터 손실로 돌아섰네요.
    저도 중간에 집을 사면서 빼려다가 놔둔거라 지금 그 돈 만큼 이자 내는 거거든요.
    이럴까 저럴까 고민중이었는데 어차피 늦은거 그냥 두려구요.
    저도 워낙 경제지식 꽝이라 얼마전에 친한 후배한테 조언을 구했더니 이런저런 근거를 대면서 지금은 새로 들어갈 때도 아니지만 뺄 때도 아니라고 못 박더라구요.
    주식이면 빼는게 맞는데 펀드라면 나라 망하지 않는 이상 휴지조각 될 일은 없다고 생각해도 된다면서, 조심스런 관망 시기로 보면 된다는 의견을 전하네요.
    대신 쉽게 회복되지는 않을 것이고 돈의 흐름으로 볼 때 앞으로 최대 3년안에 다시 주식과 펀드로 돈이 돌아온다구요.
    정 환매해야겠으면 중간에 반등이 한번씩 있을 텐데 그 때를 이용하라는 말도 해줬구요.
    저도 잘 모르는지라 들은거 전하는건데(저처럼 워낙 몰라서 답답하실까봐) 참고만 하세요.

  • 3. 미국이
    '08.9.18 12:35 PM (59.19.xxx.201)

    삼성증권에서 미국 2014년까지 불황이라는데,,정말이 아니길,,

  • 4. ..
    '08.9.18 1:54 PM (125.177.xxx.11)

    저도 그냥 두고 있어요
    들은지 얼마 안되서 해약해도 받을것도 없고..
    다달이 넣으면서 장기로 두면 손해는 안볼거라고 하고요

  • 5. 그냥 두고
    '08.9.18 4:01 PM (220.75.xxx.221)

    적립식인데 추불만 막아놓구 그냥 두고 있습니다.
    천만원 정도니 2014년까지 기다릴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3125 현 (급질!!)현재 미국은 mmf를 환매하고 있다고 하는.. 1 MMF 2008/09/18 773
233124 http://www.democracy2.kr/열린날 17 민주주의 2008/09/18 447
233123 넘더워 2 더위 2008/09/18 269
233122 고발정신 2 에버그린 2008/09/18 275
233121 기가 너무 약하다고 하네요.. 18 한의원에서 2008/09/18 1,889
233120 컴퓨터가 안되요 1 부탁 2008/09/18 157
233119 아파트리모델링 질문합니다 6 메이 2008/09/18 706
233118 스마트 파닉스 씨디내용 다운 받을곳? .. 2008/09/18 345
233117 입덧이 넘 심해요ㅜㅜ 8 이제 11주.. 2008/09/18 429
233116 입주아주머니 소개 도우미 2008/09/18 299
233115 저도 드뎌 스텐레스 후라이팬 질렀답니다 7 .. 2008/09/18 898
233114 재취업 어디서 알아보면 될까요 3 재취업 2008/09/18 614
233113 예수의 후손이 살아있다? 5 .... 2008/09/18 1,643
233112 펀드 유지냐... 5 고민녀 2008/09/18 1,299
233111 실제로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시는 분이 많구나 느꼈습니다. 6 전파 2008/09/18 1,686
233110 교회를 옮길까요?(원글 지웠어요) 7 초신자 2008/09/18 583
233109 그깟 냉장고 하나 바꾸는 것도... 12 10년 2008/09/18 1,358
233108 삼청동의 *촌칼국수 최근에 가보신 분 계세요? 3 고민중 2008/09/18 769
233107 참치와 파스 6 포도송이 2008/09/18 413
233106 제왕절개후, 조리원1주있다가, 산모도우미 출퇴근이 좋을까요? 4 산모도우미 2008/09/18 426
233105 시 외곽 시골같은 곳에서 아이 키우면서 사는거요 11 행복이 2008/09/18 1,193
233104 전국 초중고 교원 40만3796명 소속단체 분석해보니 .. 5 .... 2008/09/18 622
233103 옆 스토어에서 파는 비달사순 얼만가요? 2 궁금 2008/09/18 385
233102 브레이크 대신 엑셀을 밟을까봐 노이로제예요 18 병아리 김여.. 2008/09/18 1,695
233101 매실담기 실패 16 매실 2008/09/18 1,336
233100 운전할 때 엑셀은 어떤식으로 밟아주어야 하나요? 4 2008/09/18 985
233099 단독주택 7 어떻게 2008/09/18 1,070
233098 이런계약도 있나요? 4 2008/09/18 502
233097 남편 인물이 더 좋으신 분들 어떠세요. 12 못난이 2008/09/18 2,819
233096 아기가 무슨 장난감도 아니고... 13 아기엄마 2008/09/18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