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에 제게 주신 제이제이님 글 관련 답신입니다.
키보드 고장에 주말에 몸이 아파서 회사 출근해서 답신합니다.
저는 제 글에서 촛불집회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 없습니다.
지금 주부들의 행동이 어떻다는 이야기도 안했습니다.
제이제이님께서 논리적인 이야기를 원하신다기에, 논리를 이야기한 것 뿐입니다.
그런데 제이제이님께서는 불리하면 지금의 시위 문화는 사람들이 부화뇌동하는 거다
수돗물의 위험성, 담배의 위험성 등 다른 위험성도 많다
등을 들먹이시네요.
Risk 관리는 전혀 다른 위험이 존재할 때 하나를 위해 다른 걸 포기하는 걸 의미하지 않습니다.
님께서는 순수 과학 전공이라 그런 쪽 관심은 없으신 모양입니다.
무지한 자가 독선적인 건 죄입니다.
왜 본인이 독선인지 궁금하신가요?
님께서는 제 논리에 논리로 반박한 적이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가 맞는지 틀리는지 고뇌하지도 않습니다.
본인의 논리가 최고이고, 그 논리에 맞지 않는 의견은 반론해야 하는 대상일 뿐입니다.
논리적이셨다고요?
제 논리는 처음부터 하나였습니다. Risk 관리 차원에서 이번 협상은 잘못된 거란 거죠.
그런데 님께서는, 세상에는 다른 위험이 더 심각하다는 이야기를 몇 번이나 다른 방법으로 언급하셨죠.
GMO로 키운 한우가 더 위험하다는 이야기를 하시면서도,
그걸 검증하는 데이터는 끝내 제시 못하시더군요.
그렇게 독선적이고 비논리적인 억지를 펴신 후
이제는 또 다른 글로 '논리적으로 내게 반박해라'는 말을 하시니 어처구니 없을 따름입니다.
솔직히 전 님의 논리의 태반이 참 우스워요.
그렇지만 이제는 님 글에 관심 갖지 않으렵니다.
저와의 논쟁을 통해 님의 속성을 아주 잘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님께서는 단지 자신의 주장에 취해 있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반론하고 반발하는 것에 재미를 느끼며
'자, 나 좀 봐. 나 이렇게 잘 났어'란 마음만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곳 게시판에는 논리적은 분들도,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을 겁니다.
저는 지금의 모든 행동이 옳다, 그르다는 판단은 하지 않겠어요.
하지만, 이곳에서 열심히 활동하시는 모든 분들은 자신의 판단이 옳다는 확신을 가지셨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확신에 따라 사는 분들이기에 존경합니다.
제이제이님은 그렇지 않습니다. 말 뿐입니다. 하는 건 아무 것도 없죠.
입만 산 지식인의 표상입니다.
그 입도 제대로 살았다면 괜찮을 텐데, 참 어설프게 살아 있습니다.
부족한 논리와 지성을 독선과 아집으로 채우셨군요.
님께서 얼마나 똑똑하고 대단한 분인지 모르겠지만
자기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다 시류에 부화뇌동하는 사람으로 매도할 자격은 없습니다.
표현이 님보다 어눌한 분이더라도, 세상을 보는 시각은 님보다 깨끗한 분들 많습니다.
이건 제가 제이제이님께 보내는 마지막 글입니다.
이후로 님의 글을 읽거나 답글을 다는 일은 없을 겁니다.
비뚤어진 인생을 사는 사람의 글을 일부러 챙겨 읽을 정도로 한가한 사람은 아니거든요.
저를 아끼는 가족을 위해서라도 제 정신 관리는 스스로 하려 합니다.
머나먼 중국 땅에서 건강하게 잘 계십시오.
님께서 사시는 곳이 중국이고, 저와의 접점이 없을 듯 하여 참 다행입니다.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제이제이님. 답신입니다.
. 조회수 : 828
작성일 : 2008-06-16 13:10:42
IP : 165.243.xxx.8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조중동폐간
'08.6.16 1:13 PM (118.45.xxx.153)님...너무 맘쓰지 마세요..저두 제이제이의 글 보니깐..딱....조선스탈인 느낌을 받았어요..
논리도 없고.,...자기가 아는 지식이...전부인마냥....절대적인 진리마냥....얘기해대는통에..
어이없었어요..2. 제이제이
'08.6.16 1:26 PM (123.189.xxx.120)"Risk 관리 차원에서 이번 협상은 잘못된 거란 거죠" 에 동의 합니다.
아마 동의 한다는 의미의 말씀을 드린 것 같은데요... 정리 하면, 이렇습니다. 님의 말은 그 말 자체로는 맞는 말입니다.
님과 상관없이, 현재 촛불집회에서 주장하는 "높은 수준의 광우병 위험은 거짓말이다." 가 제 주장 이었습니다.
서로 동의한 내용에 대해서 더 이야기 할 것이 있나요 ?
그리고, 참 리스크 관리란 훨씬 더 리스크 한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것이 효율적이고 옳은 것이다라는 제의견도 말씀 드렸던 것 같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