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영돈 피디의 소비자 고발
ㅇㅇ 조회수 : 624
작성일 : 2008-05-31 00:53:53
평소에 잘 보고 매우 좋아라하던 프로인데 말이죠.
1. MM형 유전자가 광우병에 취약한 것은 맞다.
(현재까지 알려진 광우병 환자는 모두 MM형 유전자)
2. 소의 내장과 뼈까지 고아 먹는 식습관이 훨씬 더 위험한 것도 맞다.
3. 미국에서의 광우병 검사가 모든 광우병 소를 걸러내지 못하는 것도 맞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수입 수준이 '거의' 안전하다?
뭐... 그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그러하다면 믿어봅시다.
하지만 10년 후쯤 한국인 광우병 환자가 1명 이상 발생하겠군요.
그것이 친애하옵는 2MG님 이시거나 그 측근이기를 간절히 바라옵나이다.
IP : 122.46.xxx.124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ㅇㅇ
'08.5.31 12:55 AM (122.46.xxx.124)참, 그리고 잊지 말고 다들 병원 가서 우리 가족 유전자가 MM이 아닌지 확인해봐야겠어요.
재수 좋아서 10% 이하의 확률 안에 든다면 좀 안심되잖아요.2. 아 놔~
'08.5.31 12:57 AM (116.43.xxx.42)그거 어떻게 확인하는데요..ㅎㅎ
유전자형이 mm mv vv맞나요
vv형은 50년정도 잠복기를 거친다고 하던데..
이왕이면 vv형이면 좋겠네요..ㅋㅋ3. ㅇㅇ
'08.5.31 12:57 AM (58.234.xxx.117)회장말단 부위만이 아니라 안전하다고 하던 소의 내장도 광우병 위험물질이라고 하더군요.
4. ㅇㅇ
'08.5.31 1:02 AM (122.46.xxx.124)그니까요.
둘째 갖고선 소곱창 그리 먹고 싶더니 아직까지 못먹었는데... ㅠㅠ5. 쩝
'08.5.31 1:13 AM (61.253.xxx.7)지구상에 광우병이라는 병이 출현한 이상 뼈를 고아내고 내장까지 먹어 버리는 우리 식습관을
유지해 간다는게 찜찜해요. 연령하고도 상관없는거 같아요. 광우병 위험확률만 줄어드는 것이고 그것도 0%는 아니잖아요.6. ㅋ
'08.5.31 8:50 AM (116.123.xxx.91)내용이 산으로 갔다 바다로 갔다 하더라고요.
황당했다는..
아,맞아 내장도 전체가 위험물질이라고 나오더라고요.그래놓고 거의 안전하다는 결론은 어찌 나오는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