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파트 보일러 어떤게 좋을까요

보일러 조회수 : 819
작성일 : 2008-04-02 15:01:36
24평 아파트 보일러 바꾸려는데 어떤 브랜드가 좋을까요?
경동보일러 신제품이라는 콘덴싱 디럭스를 생각중인데 가격은 70~80정도더라구요.
지금 보일러가 7년 되었는데 시원치가 않고 더운물 틀면 처음에 녹물이 나오서
아예 바꾸려해요. 보일러라는 제품 자체가 살면서 자주 바꿔는 제품이 아니라 제품 선택에 고민이 되네요.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살면서 더운물 쓰는데 불편없고
가스비도 낭비되지 않는 제품을 찾고 있어요.

린나이도 좋다는데 부품값이 월등하게 비싸다는 말이 있네요.
그리고 보일러 바꾸면서 배관 녹슨거 청소해 주는게 있다는데
문의해보니 새로 달때 어느정도는 공짜로 청소해 준다더군요.
정식으로 돈을 내고 청소하는것과 많이 다를까요?
경험해 보신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59.6.xxx.4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4.2 3:59 PM (211.108.xxx.179)

    저흰 단독 주택에 친정은 린*이 시댁은 귀*라미인데요.....
    둘다 사용 연수는 비슷한데.....잔고장은 귀*라미가 많네요...ㅠ.ㅠ
    제가 보일러 다시 놓는다고 하면 전 린*이로 하겠어여....
    작동법도 간단하고 잔고장도 없구요,.,...^^
    그럼 좋은 선택 하세요...

  • 2. .
    '08.4.2 7:22 PM (58.226.xxx.229)

    보일러 새로 시공하실거면.. 회사는 모두 고만 고만합니다.
    가능하면 용량을 큰것으로 하는게 가장 좋아요.
    초기 투자비만 몇만원 정도 더 들여서
    두고 두고 편하게 사용하는게 전문가적 입장에서 더 현명한 선택입니다.

    용량이 크다는 의미는 평균 평수에 나오는 용량보다 더 큰것으로
    예전에는 뜨거운 물을 요즘처럼 많이 사용하지 않아서
    보일러 평균 용량이 온수가 작아요.
    그리고 용량이 크다고 가스비가 더 많이 나오는것도 아닙니다.
    가스비는 사용한 만큼 나옵니다.
    쉽게 생각해서 작은 주전자로 물을 사용하려고 계속 물 부어가며 끓이는것과
    큰 주전자로 몇번에 나눠서 끓이느냐의 차이..
    꼭.. 큰 용량의 보일러를 선택하길 권하구요
    가스 회사의 차이는 고만 고만하니.. 편하게 a/s 받을수 있는것과
    메뉴얼이 간단한 것으로 하세요.

  • 3. ..
    '08.4.2 11:54 PM (124.53.xxx.11)

    근데 녹물 나오는건 보일러보단 배관이 문제 아닌가요?
    제가 이사오기전 집이 온수쪽이 녹물이 나오는데 보일러는 바꾼지 3년이 안됐더군요.

  • 4. 원글
    '08.4.3 10:38 AM (59.6.xxx.49)

    녹물이 더운물 틀때만 처음에 잠시 나오고 마는데
    그건 보일러쪽 온수 코일이 잘못되었을 확율이 높다고 하네요.
    아파트 전체 배관도 녹슬지 않는 파이트로 되어 있고 세대별 들어오는 배관도
    인테리어 공사하면서 배관을 바꾸지 않는 이상 문제가 없다네요.
    저희는 배관을 만지지 않았거든요.
    가끔 개수대 위치 바꾸면서 배관을 스테링레스나 녹슬지
    않는 배관을 쓰지 않아 그부분에 녹이 생기는 경우도 있었데요.
    코일만 교환할 수도 있지만 원래 보일러 성능도 마음에 들지 않았던터라 바꿀려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2113 나무 받아왔어요.. 1 삼순이 2008/04/02 495
182112 이슬인지 하혈인지 모르겠어요!!!!!!!!! 8 급질문!!!.. 2008/04/02 713
182111 기능성쌀 드셔보신 분 계세요? 1 궁금이 2008/04/02 288
182110 아이가 유치원에서 멍이 들어왔는데요.. 4 유치원 2008/04/02 640
182109 계란흰자가 모두 빨간색이예요 10 ^*^ 2008/04/02 2,718
182108 안면도, 무창포...근처에는 기름 유출 피해 없나요? 3 안면도 2008/04/02 701
182107 오렌지 세척법.. 7 6 2008/04/02 1,615
182106 영작부탁드려요. (죄송~) 2 급한맘에. 2008/04/02 343
182105 저축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3 초년생 2008/04/02 745
182104 통일교를 위해서 일하면 안되는건가요? 8 본의아니게 2008/04/02 1,599
182103 아파트 보일러 어떤게 좋을까요 4 보일러 2008/04/02 819
182102 환승때마다 정상적으로 처리되는지 확인하세요. 1 교통카드 2008/04/02 1,013
182101 급질- 컴터가 cd를 잘 못읽네요? 헬프미 2008/04/02 226
182100 택배비--묶음관련 문의입니다 11 정말궁금함 2008/04/02 1,263
182099 시어른들 드실 코스트코 과자나 식품추천 6 코슷코 과자.. 2008/04/02 1,625
182098 도배 바르기 전에 벽에 하는 숯칠?????? 6 공사중 2008/04/02 537
182097 답글 부탁드려요.. 가정어린이집 1 어린이집 2008/04/02 454
182096 시외할아버지 오늘 돌아가셨는데요~ 9 -.- 2008/04/02 1,983
182095 복숭아 구할 수 없나요? 9 급구 2008/04/02 885
182094 제과 제빵 국비로... 5 날날마눌 2008/04/02 1,085
182093 초3인데 아발론 너무 힘들까요? 8 엄마는갈등중.. 2008/04/02 2,159
182092 양주 덕계역 아파트 살기 어떤가요? 4 도와주세요 2008/04/02 724
182091 세상 무서워요.. 어찌 딸들을 키우나요.. 8 어이구..후.. 2008/04/02 1,516
182090 돼지 갈비 가격이 너무 싸요..T_T 10 새댁 2008/04/02 2,453
182089 식구가 4명인 집에서 쌀소비량은..어떠세요? 5 대략4인 2008/04/02 948
182088 야콘이 당뇨환자에게 좋은 식품인가요? 2 효능 2008/04/02 708
182087 족저근막 7 아파요.. 2008/04/02 676
182086 [질문] KTX 역에서 가까운 골프장? 골프부킹 2008/04/02 275
182085 정말 이런일이 있었다니... 혹시 다른분들도 들어보신적 있나요??? 15 황당... 2008/04/02 7,678
182084 6번이 무슨당인가요? 친박, 평화통일가정당? 4 긍정의 힘 2008/04/02 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