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왜 이 사람들이 그대로 일을 하는 거죠?

.... 조회수 : 818
작성일 : 2008-03-20 11:04:08
외환위기에 대한 '원죄'(강만수 장관), 실패한 환율방어에 국고 낭비(최중경 제1차관보)

이 두 사람이 왜 계속 일을 하는 건가요?

-------------------------------------------------------------------------------------------




"新정부 '올드패션' 코리아 디스카운트 재현"

[머니투데이 이승제기자][홍콩 증권전문가 신정부 "무리한 시장개입, 시대역행적" 비판]
#사례1. "포스코를 팔아라."

홍콩 증권가에서 포스코 인기가 갈수록 시들해지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원/달러 환율 급등에 따라 당연히 제품가격을 올려야 하는데, 정부의 눈치를 보며 올리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열연강판(핫코일) 국내 판매가격은 현재 58만원 수준이다. 미국산 철스크랩(고철) 가격은 59만원으로, 완성제품이 최하위 재료값보다 낮은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달러 강세로 원재료값이 폭등하자 해외 주요 철강사들은 일제히 가격에 이를 반영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철강사인 바오산철강의 경우 지난달 말 가격을 20% 가량 올렸다.

포스코는 비록 민영화됐지만 여전히 정부의 눈치를 보고 있다는 게 홍콩 증권가의 시각이다. 원재료 가격은 급등하고, 가격을 올리지 못하는 '이중고'에 빠져 있어 기회 있을 때마다 팔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 포스코의 외국인 비중은 대통령 취임일인 지난달 25일 47.03%에서 최근 46.7%대로 낮아졌다.

#사례2.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커지고 있다."

홍콩 증권가에서는 "앞으로 한국 기업의 실적과 전망을 곧이곧대로 믿기 어려워졌다"는 불평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농심이 라면가격을 개당 100원 인상한다고 했을 때 이명박 대통령은 즉각 "서민생활을 불안케 한다"며 우려를 표명했는데, 이같은 소식이 홍콩 증권가에 전해지며 부정적인 시각이 더욱 커졌다고 한다. 한국의 신 정부가 국내 물가를 잡겠다며 한국전력, 농심 등을 힘으로 누르고 있고, 이같은 정책이 관행으로 굳어질 경우 한국 기업의 실적과 경영에 '인위적인 왜곡현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고 있다.

홍콩 한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는 19일 익명을 전제로 "홍콩 증권가에서 이명박 정부에 대한 초기 평가는 그야말로 '낙제점'에 가깝다"며 "과거 수출 주도의 성장 전략에 '향수'와 '집착'을 갖고 있다는 분석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시장은 홍콩 증권가 입장에서 핵심 시장이라 할 수 있다"며 "그래서 신 정부가 출범하면 정부의 기업 및 자본시장 전략의 변화를 예의주시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포스코의 사례에서 단적으로 나타나듯 향후 정부의 시장 개입은 갈수록 커질 것으로 홍콩 증권가는 보고 있다"며 "이는 한국 경제의 규모와 체질개선 등을 감안할 때 큰 부작용을 낳게 되고, 특히 한국 기업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 보고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가 모든 기업과 금융회사에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기업의 실적을 믿기 어려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뉘앙스의 분석이 나오고 있다는 얘기다.

홍콩 증권가의 전문가들은 특히 과거 70·80년대식 '하면 된다'는 신념이 신 정부의 정책 성향에 스며들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시장 변화를 쫓아가기는 커녕 오히려 역행시키는 폐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대표적인 것으로 지목되는 것이 원/달러 환율 급등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접근이다. 정부 측에서는 원/달러 환율 급등을 우려하면서도 "수출 기업에는 도움이 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 급등이 마냥 나쁜 것만은 아니다"는 '사족'을 달았다.

하지만 이는 과거 한국의 내수시장 규모가 매우 작았던 70·80년대식 발상이라는 게 외국계 금융회사들의 평가다. 한국의 내수시장이 규모나 질적인 측면에서 급성장했고, 이에 따라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 크게 높아졌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라는 해석이다. '환율급등=수출기업 수혜=성장 지속'이란 과거 공식에 연연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홍콩의 한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는 "포스코에 대한 투자비중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더욱 확산될 것"이라며 "시장에서는 '포스코가 결국 총선(4월 9일) 이후에나 가격을 올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 펀드매니저는 또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및 경영투명성 제고, 실적 향상, 경제 및 기업의 펀더멘털 강화 등이 이뤄지며 한국 시장에 대한 매력을 높였지만 신 정부 들어 인위적인 개입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졌고, 따라서 한국시장에 대해 당분간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세"라고 전했다.

--------------------------------------------------------------------------------------------
그는 이어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최중경 제1차관보 등 경제라인에 대한 평가도 그다지 좋지 않다"며 이들 '낡은 세대'가 글로벌 시장 및 한국 시장의 달라진 흐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을 지 우려하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외환위기에 대한 '원죄'(강만수 장관), 실패한 환율방어에 국고 낭비(최중경 제1차관보)라는 '오명'을 받고 있는 현 경제라인에 대해 그다지 높은 점수를 줄 수 없다는 얘기다.
---------------------------------------------------------------------------------------------
IP : 211.178.xxx.14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비리
    '08.3.20 1:27 PM (220.75.xxx.15)

    엄청나 긁어모은 재산이 뒤로 많아 조용히 살아도 될거뜰이 다 기어나와 한자리하겠다고 있는곳이 ...아녔나요?
    하긴 돈이 돈 맛을 알고 권력맛을 아니 절대 포기 못하겠죠.

  • 2. jk
    '08.3.20 6:20 PM (58.79.xxx.67)

    왜냐면 우리의 지네들만 잘났고 정치인들은 4류라고 착각하시는 그 잘나신 1류 국민들이(ㅋㅋ) imf를 불러온 정당에 표를 왕창 던지셨거든요.

    그러니 imf를 불러온 책임이 있는 사람들이 다시 등장한거죠. 쩝..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7337 이런경우 당해보신 분 계신가요? ㅠ.ㅠ 10 유산 2008/03/20 1,633
377336 왜 이 사람들이 그대로 일을 하는 거죠? 2 .... 2008/03/20 818
377335 학교담임이 성실하게 애들 잘 가르쳐 주나요? 3 초3 2008/03/20 953
377334 내 컴퓨터에 있는 노래를 핸드폰 벨로 바꾸는법. 2 컴맹 2008/03/20 443
377333 베트남 사시는 분들^^ 아이들교육여건은 어떤가요? 1 궁금 2008/03/20 355
377332 잠원동 한신2차 어떤가요? 6 아기맘 2008/03/20 911
377331 전화번호만 가지고 그곳이 어딘지 알수 있을까요? 4 의심녀 2008/03/20 767
377330 전기렌지 5 요금 2008/03/20 631
377329 예슬양 발견 장소 부근에서 또 한구의 시체가 발견 되었다네요. 12 -- 2008/03/20 1,919
377328 매직볼 사용후기 khjkkk.. 2008/03/20 385
377327 어제낮에 부산10남매프로그램 보셨나요? 3 질문 2008/03/20 1,394
377326 다음 주에 비엔나랑 프라하 여행가는데, 날씨가 어때요? 2 레이디 2008/03/20 364
377325 혈색이 좋아지는 법 없나요? 1 혈색.. 2008/03/20 633
377324 취학전 아이 교육은 어떻게? 2 아들맘 2008/03/20 446
377323 평촌쪽 이혼법률사무소 아시는분부탁드려요 2 힘들어요 2008/03/20 547
377322 추억의 여배우, 여배우들... 30 ^^ 2008/03/20 7,333
377321 그냥 답답해서요... 2 ... 2008/03/20 593
377320 비상금 꼭 필요한가요? 9 ??? 2008/03/20 901
377319 <<급질>>수도꼭지 교체시 비용 아시는분...^^ 5 임차인 2008/03/20 802
377318 중국어...종류가 있나요? 7 알려주세요 2008/03/20 2,310
377317 생식 사업은 어때요? 1 창업을 2008/03/20 432
377316 지름신 마저도 귀찮은 경우 있으세요? 5 궁금 2008/03/20 845
377315 등산바지 세탁후 변형되었을때 어떡하나요? 1 갈까요 말까.. 2008/03/20 1,060
377314 밖에서 저녁때 먹을 수 있는 간식 어떤게 있을까요? 3 고1엄마 2008/03/20 843
377313 루이비통 스피디 말고 가벼운 보스톤백 뭐가 좋을까요~? 4 엄마~가방사.. 2008/03/20 2,163
377312 약식레시피 뭐가 틀린걸까요?한번 봐주세요..(실패!) 11 약식 2008/03/20 736
377311 아이가 밥도 안먹고 배가 아프다네요 4 아파요 2008/03/20 353
377310 쌍커풀수술... 1 새인생 2008/03/20 619
377309 임산부 공연장 레이져 괜찮은 가요? 3 궁금 2008/03/20 375
377308 또 다른 예슬이와 혜진이가 없도록.... 1 우리의 책임.. 2008/03/20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