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무염(저염)..식단에 대해 여쭤보아요..

고민.. 조회수 : 374
작성일 : 2008-01-03 07:33:17
저희 아버님께서  당뇨..고혈압으로  고생하시고 계세요..

얼마전에 병원에서 검사 받으셨고..

약은 꾸준히  드시고 계시구요...

근데..문제는  저염식단으로 식사를하셔야하는데요...

도대체 어찌차려드려야하나요??

소금을 덜 넣거나..아예 안 넣는정도로 아는데요...

그럼 도대체 뭘 해드려야하는지요...

일단은 생야채로  샐러드나, 생채 해드리는데...

다른 메뉴는 뭐가 있을까요??
IP : 118.45.xxx.2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잠오나공주
    '08.1.3 7:59 AM (221.145.xxx.30)

    덜 짜게 먹으려면 아무래도 맛이 없죠...
    그러려면 음식이 새콤한 초무침같은 걸 하면 덜 짜도 맛 있구요..
    그리고 국 같은거 끓일 때도 소금간을 나중에 하면 같은 짜기로 소금을 적게 쓸 수 있어요..
    국 끓일 때 중간에 소금 넣으면 짠 맛이 없어 진다고 그러네요..
    그리고 전 같은거나 그런 것도 간을 하지 말고 간장에 찍어 먹는 식으로 하며 소금 섭취를 줄일 수 있어요..

    병원에서 먹으라는 소금양은 정말 적어요.. 아마 티스푼 하나정도인가??

    조림 같은 음식은 안드시는게 좋구요..
    시중에 나트륨 양은 적은 기능성 소금 팔잖아요... 그런 거 이용해도 된답니다..

    당뇨 고혈압이면 아직은 관리하셔서 건강하게 사실 수 있을거예요..

    저희 아버지는 신부전 생기시니까 정말 힘드셨어요..

    우선 환자가 적극적으로 식이요법을 해야겠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집에서 아무래 저염식을 해줘도 밖에서 한 끼만 생각없이 드셔도 나트륨양이 엄청 나거든요..

  • 2. 미서
    '08.1.3 8:31 AM (123.140.xxx.15)

    윗님 말씀처럼 매식은 하시면 안되구여,
    국에는 간을 아예 안한다고 생각하셔야 하여,,,기본적으로 재료에서 나오는 나트륨이 있어서..
    팬솔트나 1/2솔트,,,이런거 사용하세요,,

    많이 힘드실텐데,,,그래도 식이요법이 최고니까...같이 노력해보세요

  • 3. 영양사
    '08.1.3 2:45 PM (59.14.xxx.127)

    무염식에는 김치, 된장을 드시면 안됩니다.
    고춧가루는 피해주시구요, 김치는 물김치나 통닭시키면 오는 무 정도로 드셔야 되세요.

    특히 나트륨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
    김치류, 된장류, 젓갈류, 치즈, 마요네즈, 케찹, 고추장, 알류
    오징어 등등..,. 그리고 무침류는 드시기 직전에 간을 하시고,
    국은 간을 하기 위해 아주 많은 양의 나트륨이 들어가기 때문에
    국은 거의 안드시거나, 윗분처럼 간을 안하고, 드시기 직전에 조금 하셔야 되세요~

    그 외 식품자체내에도 나트륨 성분이 많이 들어가 있는 식품이 있어요.
    예를 들어서 시금치 라던지,,, 이런 음식은 님이 찾아보시고 피해주셔야 되세요~

  • 4. 고혈압엔
    '08.1.3 3:35 PM (121.152.xxx.225)

    윗분들 말씀대로 나트륨 덜 드시는 게 제일 중요하지만
    몸에 들어있는 나트륨을 배출시키는 것도 함께 병행하시면 좋아요.
    <칼륨>이 그런 기능을 하니까 칼륨 함량이 높은 음식들을 자주 드시게 하세요.
    고구마,호박,감자,감(탄닌성분)...이런게 대표적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4533 임신기다리는 중인데 복분자 어디서 구입해야 하는지요? 3 5년째 2008/01/03 305
164532 예단 700이라는 글을보고... 20 결혼 6년차.. 2008/01/03 2,922
164531 마이너스통장 만들고 나서 퇴사하면 은행에서 아나요? 9 지금은직장인.. 2008/01/03 1,339
164530 남편의 접대 1 그라시아 2008/01/03 444
164529 헐렁한남자내복은어디에서사야하나요? 레깅스스탈싫.. 2008/01/03 324
164528 베개 어떤게 좋아요? 목이아파 2008/01/03 110
164527 겨울만 되면 손발이 찬편인데 좋은 음식 뭐가 있을까요? 4 ? 2008/01/03 548
164526 속초나 설악산 근처에 괜찮은 펜션이나 콘도 추천해 주세요 설악 2008/01/03 358
164525 성조숙증 홍삼과도 관련있나요 6 홍삼 2008/01/03 1,046
164524 장염 걸린 진돗개 뭘 먹일까요? 6 무슨 음식?.. 2008/01/03 406
164523 아이 오리털 점퍼 어떤게 나을까요? 3 음매 2008/01/03 380
164522 담주에 워터피아 가려고 하는대요 추울까요? 1 워터피아 2008/01/03 261
164521 애기 감기가 너무 오래가는데 큰 병원 가면 도움이 될까요? 4 .. 2008/01/03 217
164520 베이글에 무엇을 발라먹어야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요? 8 베이글먹자 2008/01/03 1,025
164519 벽걸이형 TV 3 .. 2008/01/03 459
164518 공인중개사공부 학원다녀야지만 할수있는건가여???? 4 공인중개사 2008/01/03 581
164517 집에서 만든 데리야끼소스 고추기름 냉장보관 몇달 가능할까요?? .. 2008/01/03 151
164516 무염(저염)..식단에 대해 여쭤보아요.. 4 고민.. 2008/01/03 374
164515 요즘은 시외가를 중심으로 하는 추세인가요? 9 새댁 2008/01/03 992
164514 코스코에서 파는 이븐플로 유모차에 장착가능한 카시트는 무엇인가요? 신생아카시트.. 2008/01/03 156
164513 휘슬러냄비 하나 더사려는데 고민만해요 ㅠ.ㅠ 2 고민 2008/01/03 412
164512 괌,사이판 다녀와도 되나요?? 미국영주권자.. 2008/01/03 363
164511 출산 후 남편과의 관계 10 부끄럽지만 2008/01/03 2,301
164510 독일음식 잘아시는분... 4 크누들? 2008/01/03 365
164509 재즈댄스 배워볼까하는데요... 1 고민중 2008/01/03 239
164508 키즈클럽있는 호텔이나 리조트(국내, 해외) 4 여헹 2008/01/03 514
164507 이유식 6개월부터 시작하는데요 5 .. 2008/01/03 233
164506 세림 의원 또 쉬나요? 8 짜증나 2008/01/03 853
164505 포항 죽도시장 5 해산물좋아 2008/01/03 619
164504 조정래 태백산맥 사려던 분 계시면 보세요^^ 7 도서할인 2008/01/03 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