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콩은 중국 남부·인도·동남아시아 열대 지방이 원산지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시대 충청 이남에서 최초로 노지에 재배됐으며 현재 중부 이북에서 시설 재배가 이뤄지고 있다.
이름 그대로 크기가 작은 작두만한 콩으로 꼬투리 길이가 20~30㎝이고, 콩 중에서는 제일 크다.
농촌진흥청과 한국식품연구소에 따르면 건조한 작두콩 100g에는 수분 14.9%, 단백질 27.1g, 지방 0.6g, 탄수화물 53.8g, 섬유질 11.6g, 회분 3.6g, 칼슘 97.9g, 마그네슘 70㎎, 구리 0.5g, 아연 2.0㎎, 망간 1.0㎎이 함유돼 있다. 또 다른 콩에는 대체로 없는 비타민 A·C도 다량 함유돼 있고, 비타민 B군도 다른 콩의 4~5배가량 함유돼 있다.
특히 작두콩에서 분리한 혈구응집소에는 콘카나발린 A라는 단백질이 다량 함유돼 있어 해독 작용·항종양 특성이 있으며, 변형 세포에 대한 강한 분열 억제 작용과 독성 억제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두콩 성분 중 ‘나이아신’으로 불리는 비타민 B3는 혈액 순환 촉진과 혈압 강화 효과 및 콜레스테롤 저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모 기업이 숙취 해소 및 건위 효과와 피부 및 치아 구강 미백·세척제로 특허를 얻기도 했다.
최근 서울대학교 세포주센터로부터 분양받은 자궁경부암세포주(SNU778)·위암세포주(SNU719)·간암세포주(Hep3B) 및 구강암세포주(A253)·혈액암세포주(Jurkat-T)에 대한 실험 결과, 작두콩 추출물은 매우 뛰어난 항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작두콩 추출물이 암세포의 50%를 죽일 수 있는 효능인 IC50은 낮은 농도에서도 저해 활성이 뛰어나 것으로 나타나, 특히 한국 성인 남성의 간암 예방 치료에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콩보다는 현미 또는 보리밥에 여름철에 생산되는 작두콩을 혼식하는 것이 다양한 암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작두콩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같은 분량(1:1)으로 처리했을 경우에도 위에 언급한 다양한 세포주에 대해 동일한 효과를 나타냈다.
보통의 항암제는 위암이나 간암 등 특정한 암에만 효능이 있지만 작두콩은 5종류의 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작두콩을 혼식하면 여러 가지 불특정 암의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간암에 최고 효과 나타낸 작두콩
박현복 조회수 : 668
작성일 : 2007-12-09 23:55:35
IP : 222.102.xxx.2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최고 였어요
'07.12.10 6:55 AM (220.75.xxx.196)저도 그렇게 좋은줄 몰랐는데~~~ 주위 계시는 분이
저 좀 구매 하고 싶습니다. 어찌 하면 구할수 있나요. 수입산은 아니지요?
수입산이 몰려 오긴 오던데 ...지인은 해남 어디에서 구했다고 하던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