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명절 1~2주후 애기 낳으면 명절에 시댁 가야 하나요?

궁금 조회수 : 642
작성일 : 2007-12-05 16:14:52
좀 전에 어떤 글에는 명절 1달쯤전에 애기 낳으면 안가도 된다는 이야기 였는데요....
이후에 애기 낳은 경우는 어떤까요?
제가 그렇거든요~
IP : 211.104.xxx.115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12.5 4:19 PM (218.53.xxx.103)

    시댁이 어디냐에 따라 좀 차이가 있겠죠.
    내 집에서 3~4시간 정도 떨어진 곳이라면 안가는게 아니고 못 가는거구요.
    집이랑 가까운 곳에 있다면 그냥 얼굴 정도 내 보이는게 예의가 아닐까 싶네요.

  • 2. ...
    '07.12.5 4:19 PM (211.228.xxx.181)

    시댁이 한시간정도 걸리는 거리면 다녀오구요
    장거리이면 아무래도 만삭 임산부한테 무리에요
    저라면 시댁에다 명절 며칠전에 전화할것 같아요
    막달이니 장거리는 병원에서 조심하라 했다고.....
    제 입장이라면 전 미리 말씀드리고 안갈것 같은데....

  • 3. ......
    '07.12.5 4:22 PM (210.94.xxx.89)

    제 경우에 큰 애는 명절 1달 전에 낳았었고, 둘째는 명절 2주 후에 예정일이었어요.
    그 글에 답글달았지만, 큰애 낳고 나서 시댁에서는 당연히 제가 못 온다고 생각하셨구요. 둘째때도 제가 못 온다고 생각하셨어요. 예정일은 2주후로 되어 있지만 그래도 그때즈음이면 항상 출산 대기상태라고요. 실제로 명절 기간동안 집에서 쉬었는데도 연휴끝나자마자 갑자기 진통이 와서 바로 아기를 낳았어요.
    친구들보면 이래도 저래도 꼭 오라는 시어머니도 계시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시부모님께 참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제가 이래저래 설명하기 전에 먼저 그렇게 이해해주셨으니까요.

  • 4. ...
    '07.12.5 4:23 PM (210.95.xxx.241)

    명절 2주후가 예정일이라면
    가까우면 다녀올 수 있는 거리입니다.
    충분히요...

    시댁식구들이 상식적인 사람이라면
    만삭의 며느리에게 중노동을 시키지 않겠죠.

    많은 직장여성들도 출산직전까지 회사일도 합니다.
    명절 때 소소한 일 정도는 만삭이어도 충분합니다.

  • 5. 당연
    '07.12.5 4:29 PM (211.176.xxx.126)

    가야 하지 않을까요?

    저는 4시간 거기 친정도 갔었거든요.

    명절때..^^

  • 6. 궁금
    '07.12.5 4:36 PM (211.104.xxx.115)

    원글인데요...
    울 신랑은 당연히 안가는 걸루 알고 있구요...
    전 제 친정에서 명절 연휴 쉴려구 생각중이었는데요...
    아무리 시댁에서 막노동은 안시키더라도 제가 가만히 쉴수 있는 분위기가 아닌듯 해서요....
    전 직장맘인데...사실 직장일이 명절 일(음식장만, 설거지)보다는 쉬운거 같은데...(제기준!전 앉아서 컴퓨터 작업만 하는 디자이너라서요....)

    님들 글 보니 제가 가야하는 분위기구나...다들 가시는구나 싶네요...전 사실 빠질수 있음 빠지고 싶었는데..슬퍼요...^^;;

  • 7. ...
    '07.12.5 4:46 PM (210.95.xxx.231)

    마음 편하게 가지고 다녀오세요.
    저도 남 얘기라고 쉽게 하는게 아니라
    님이랑 같은 상황이었어요.

    저는 그냥 즐거운 맘으로 전 부치고 상 차리고 뭐 다했는걸요.

  • 8. .
    '07.12.5 4:47 PM (218.148.xxx.194)

    같은 시내 안에 있어서 한시간 안에 다녀올 수 있다면 가기 싫지만..
    가야하는 것이 맞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시댁 어른들이 절대 못오게 해주신다면 모르겠는데...

    그렇지 않고 장거리라면 당연히 가지 말아야죠!!!
    언제라도 애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인데...
    그런데... 뭐.. 가기 싫을 수도 있죠.... 저는 아주 시댁이라면 이 갈리는 사람인지라...
    내년 추석에 애 낳고 저 멀고 먼 시댁에 갈 생각하면 벌써부터 머리가 찌근 거리는데요...
    환경이 어찌나 열악한지... 저는 지난 설에 잤다가... 일주일 병원 입원했네요...죽을 뻔 했어요..

  • 9. ......
    '07.12.5 5:09 PM (210.94.xxx.89)

    위에 답글 달았는 데, 님 상황을 중요하겠죠. 다른 사람이 나는 이랬는 데...이것보다 님 스스로의 몸상태와 시댁까지 가는 교통이 더 중요합니다.
    솔직히 제가 안 다녀와서 그래서인지 모르지만, 저도 애들이 자라면 시부모님처럼 명절에 출산 혹은 산후조리로 못오는 것을 이해하지 싶어요. 그 때 명절에 안 간다고 하더라도 그 때 그 명절 한 번이고, 다음 명절은 오고 또 오는 것인데요. 그 다음 명절에 가서 잘 하면 되죠.
    명절에 못 가는 상황을 이해받은 만큼, 다음에 가서는 더 잘 하려는 마음이 저절로 생겨나구요. 이럴 때 서로 이해하면 더 좋은 고부관계가 형성되는 거겠죠. 10년 후 20년 후엔 이런 고민은 고민도 아닌 그런 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 10.
    '07.12.5 5:57 PM (121.131.xxx.127)

    저도 거리 따라 다른 거 같은데요
    36주부터는 다니던 병원에서 한시간 거리 이상은 가지 말라고 하던데요
    가깝다면 가는게 마음 편하겠죠.

  • 11. 제생각
    '07.12.5 10:23 PM (58.148.xxx.133)

    시댁이 멀다면 안가야 할 것 같은데요?
    예정일 한두주 남은거라면 솔직히 언제 나올지 모르는 상황이잖아요.
    명절때는 길도 많이 막히는데 시댁가있다가 갑자기 애나오면
    평소 다니던 병원에서 못낳는건 물론이고 퇴원후 몸조리할 곳으로의 이동등
    모든게 골치아파질것 같은데...
    저도 곧 다가올 설 열흘정도 후가 예정일인데
    시댁은 그래도 가까운 편이라 다녀오려고 하고
    친정은 평소에도 세시간 넘게 걸리는 데라 미리 다녀오든지
    아니면 신정을 친정에서 쇠든지 하려고 생각하고 있답니다.

  • 12. .
    '07.12.6 1:26 AM (222.119.xxx.63)

    애도 어린데안가도 될거 같습니다.
    전화 한통 드리면 되지 않을까요.
    2주쯤 됐으면 사실 걸으면 어지럽고 그렇던걸요.
    저 약지으러갔다가 죽는줄 알았습니다.

  • 13. 글쎄...
    '07.12.6 9:33 AM (155.230.xxx.43)

    명절 2주후라면... 가까운 곳이라면.. 가셔도 무방할듯 합ㄴ다.
    물론 아주 멀거나 하면.. 곤란하겠지만요.

    그리고 시댁에서 가셔서 명절일 하실걸 걱정하셨는데요.. 시댁에서 그 정도 배려는 해 주시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919 부산에서 고대 안암병원을 가요... 2 안암 2007/12/05 145
158918 스트레스땜에 미치겠습니다.. 2 휴. 2007/12/05 339
158917 MB가 대통령이 되면 아파트값 뛸까요? 18 아파트 2007/12/05 2,056
158916 갈비뼈 금이 가면 어느정도 아플까요? 6 아파요 2007/12/05 1,829
158915 세탁기, 청소기 밤 몇시까지 돌려도 될까요? 17 층간소음 글.. 2007/12/05 10,284
158914 저 감기걸렸어요...ㅎㅎㅎ 4 ㅎㅎㅎ 2007/12/05 280
158913 과자중에 꼭 사서 드시는거 뭐 있어요? 52 오리온 2007/12/05 3,562
158912 와인잔형 물잔..사용하시는 분들 계세요? 7 모모 2007/12/05 562
158911 요리 철판구입이요..^^ 2 초보 2007/12/05 236
158910 혼수.. 친정에서 보통 어느 정도 받으셨나요.. ( 정말 몰라서) 21 결혼할때 2007/12/05 1,980
158909 자녀교육(+삶에 관한 고민)에 관한 책 한 권 소개하고 싶어요. 3 명랑아가씨 2007/12/05 602
158908 소파,침대... 서비스 2 궁금 2007/12/05 255
158907 유정현 아나운서의 총선 출마 5 푸하하하 2007/12/05 1,570
158906 기흉 걸려 보신분 있으신가요? 9 기흉 2007/12/05 892
158905 눈 썰매장 눈썰매장 2007/12/05 84
158904 설 기차표 예매 12~13일에 한대요~ 3 귀향길 2007/12/05 235
158903 질문하기가.. 6 질문맘 2007/12/05 551
158902 향이 좋은 원두커피 추천해주세요 7 커피 2007/12/05 887
158901 (어이없네요) 수사발표후 검사와 기자의 문답 중 6 썩찰 2007/12/05 722
158900 친정엄마가 산후조리 해 준다면 9 남들은.. 2007/12/05 531
158899 결혼해서 미국 가는 형님이 계신대요 5 깐돌이 2007/12/05 714
158898 명절 1~2주후 애기 낳으면 명절에 시댁 가야 하나요? 13 궁금 2007/12/05 642
158897 진짜 헉입니다.... 2 예지미인 2007/12/05 1,170
158896 정말..머리아파서..도움좀 주세요..ㅠ 1 가방선택.... 2007/12/05 373
158895 아침프로 이명박 부인 어떻든가요? 정동영부인은 후한점수이던데 32 궁금 2007/12/05 4,356
158894 뚝배기 사려고 하는데요 뚝배기 2007/12/05 303
158893 초등입학전 교육 2 6세맘 2007/12/05 402
158892 거위솜털75%주문했더니25%가 왔어요 2 거위털이불 2007/12/05 399
158891 은평뉴타운이 정말 좋은가요? 6 휴~~ 2007/12/05 1,084
158890 어떤 유혹에도 절대 남편(남친)을 버리지 않을 자신이 있으세요? 13 톨톨 2007/12/05 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