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잘못알고있는자동차상식12가지.유용합니다.

둥이맘 조회수 : 700
작성일 : 2007-08-07 23:50:19
카페에 올라와 있는 유용한 정보예요.. 퍼와써요.

잘못 알고 있는 ‘자동차 상식’ 12가지

‘Car~ 더라’ 속설에 차 수명 단축 ‘꺅~’


잘못된 상식은 잘못된 습관으로 이어진다. 자동차 관리와 운전도 마찬가지다. 차의 수명 단축과 괜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이고 자칫 대형 안전사고를 불러올 수 있는 ‘나쁜 자동차 상식’들을 추려 봤다.



1) 연료를 아끼려면 에어컨을 약하게 튼다





차량 에어컨은 운전을 시작하고 2∼3분이 지난 뒤에 시속 40㎞ 이상 속도에서 켜는 것이 좋다. 이때 연료를 아낀다고 에어컨을 살살 트는 사람들이 있지만 현명한 행동이 아니다. 과감하게 처음부터 4단(최고)부터 틀고 냉기가 차 안에 퍼지면 1단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실험결과 이렇게 해야 연료를 10∼15% 정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컨을 끄고 차창을 여는 것도 애용하는 방법이지만 사실 별 효과가 없다. 배기량 2000㏄ 차를 시속 80㎞로 몰 경우,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1∼2단으로 켜면 평소보다 6% 정도 연료가 더 든다. 하지만 에어컨을 끄고 창문을 열고 달려도 강력한 공기저항 때문에 연료가 5%가량 더 소모된다.



2) 에어백은 모든 충돌사고 때 작동한다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시속 30㎞ 이상에서 정면으로 충돌할 경우에 작동된다. 그러나 ▲후방충돌 ▲측면충돌 ▲차량 전복 ▲전봇대 등 일부분 충돌 ▲앞차의 밑으로 들어가는 사고 등에서는 대개 터지지 않는다. 안전벨트보다 더 믿을 만한 안전장치는 없다.



3) 광폭 타이어를 끼우는 것이 무조건 좋다

광폭 타이어는 일반 도로에서의 코너링, 주행 안전성, 제동력 등은 좋지만 빗길에서는 노면에 닿는 면적이 넓어 ‘수막현상’(물로 인해 얇은 막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시속 70㎞ 이상에서는 주행 안전성과 제동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또 타이어의 폭이 넓기 때문에 엔진출력과 승차감, 조향성 등도 다소 떨어지고 연료 소모도 많아진다. 결론적으로 최초 자동차 출고 때의 타이어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나중에 타이어가 닳아 교체를 할 때에도 먼저 것과 똑같은 것으로 하는 것이 최적의 선택이다.



4) 머플러서 나오는 물은 엔진냉각수가 새는 것이다

기온이 떨어져 엔진이 냉각됐을 때 시동을 걸면 머플러에서 많은 물이 나온다. 연료가 연소되면 탄화수소가 산소와 결합해 물을 생성한다. 연소실이나 머플러가 뜨거울 경우에는 수증기로 변해 증발되지만 냉각된 상태에서는 그대로 물의 형태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머플러에서 물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무조건 냉각수가 새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5) ABS 브레이크는 제동거리를 줄여준다

지금은 보편화된 ABS(Anti-lock Brake System)는 제동 때 각 바퀴에 장착된 센서들이 상태를 감지해 컴퓨터에 정보를 보내고 운전자가 밟은 힘을 골고루 분산 조절함으로써 미끄러짐을 억제하고 직진성과 조향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전자제어 브레이크 장치다. 하지만 ABS는 기본적으로 제동거리를 짧게 하는 장치가 아니라 제동 때의 직진성을 최대한 유지시키고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추돌사고를 방지한다는 게 기본 기능이다. 때문에 ABS에 대한 과신은 절대 금물이다. 눈길·빗길 등 노면 상태가 좋지 않은 도로에서 속도를 낮추고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차분히 운전하는 것 이상의 안전장치는 없는 셈이다. 비슷하게 4륜 구동 차량이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것도 잘못된 상식이다.4륜 구동차는 산악지대나 사막에서의 주행성을 높이기 위해 4개의 바퀴 모두에 힘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지 악천후에서의 제동력까지 통제하는 것은 아니다.



6) 자동변속기車 주차 때 핸드브레이크를 채운다

변속레버가 ‘주차(P)’ 위치에 있으면 변속기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으로 기어가 풀리지 않아 더 이상의 안전장치는 필요없다. 겨울에는 브레이크 패드, 디스크, 드럼, 라이닝 등이 얼어붙을 수 있으므로 안 채우는 게 좋다.



7) 새 차에 코팅광택 하면 도장 수명이 오래간다

광택을 내는 것은 도장 표면을 미세하게 벗기는 작업이다. 출고 후 3개월까지는 미미하게나마 도장 면의 건조가 지속되므로 이때 광택작업을 해선 안된다.1년 뒤쯤 찌든 때를 벗겨낼 때 광택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신차일 때에는 세차 후 왁스칠을 해주는 게 도장의 수명을 연장하는 길이다.



8) 새 차는 고속주행으로 달려야 길이 잘 든다

차를 사면 일단 고속도로로 나가 시속 100㎞ 이상으로 달려 주어야 한다는 것은 엔진 재질과 가공기술이 낙후돼 있던 시절의 얘기다. 기술이 첨단화된 요즘은 오히려 차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새 차는 처음 시동을 걸면 실린더와 피스톤 그리고 각종 기계 작동부의 맞물리는 부분들이 탄력을 받으면서 길들여지기 시작한다. 이때 서로 어긋나는 소리를 내며 자리 다듬기를 한다. 이때가 아주 부드러운 주행이 필요한 순간이다. 출고 뒤 주행거리 1000㎞까지는 과속이나 급가속, 급제동을 삼가야 한다. 엔진 회전수도 4000rpm이 넘지 않는 범위에서 운전해야 한다. 주행거리가 5000∼6000㎞에 이를 때까지는 어린아이 다루 듯 조심조심 운행하는 것이 좋다.



9) 새 차의 엔진오일은 1000㎞에 교환해야 한다

과거에는 엔진 가공 기술이 떨어져 가공면의 미세한 쇳가루 때문에 일찍 엔진오일을 교환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기술과 재질이 발달해 일찍 교환하는 것은 경제적인 손실이다.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차 회사에서 추천하는 주행거리별, 기간별 중에서 먼저 오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비포장도로, 산악지역, 혼잡한 시내 주행 등 악조건으로 운행한 차는 이 주기보다 20∼30% 일찍 갈아주어야 한다.



10) 겨울에는 공회전을 길게 해야 한다

요즘 차량은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최적의 연료량·점화시기에 따라 시동이 이루어진다. 여름에는 1분, 겨울에는 2분 정도면 충분하다. 과도한 공회전은 기름을 낭비하고 공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엔진오일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겨울철 차 부품들이 냉각된 상태에서 시동을 걸자마자 가속페달을 밟으면 기계 작동에 무리를 주고 비정상적인 엔진소리가 나게 된다.



11) 운전대에 손잡이를 달면 방향전환이 쉽다

최근 들어 쉽고 빠른 방향전환을 위해 운전대에 작은 공 모양의 액세서리 손잡이를 달기도 한다. 이는 감각을 둔화시키고 순간적인 비상대처 능력을 떨어뜨린다. 급정거 등 사고 때 운전자의 가슴부위를 때리는 무기로 변할 수 있어 위험하다. 또 액세서리 자체 무게로 운전대가 한쪽 방향으로 쏠릴 수도 있다.



12) 배터리는 한번 방전되면 못 쓴다

배터리는 한번 방전되면 사용하지 못한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배터리는 반영구적인 부품이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면 수명은 크게 떨어지지만 7.5v 정도의 기본 잔류전압만 유지되면 재충전으로 정상 기능을 되찾을 수 있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최소 2년 정도의 수명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는 잦은 방전에 주의하고 배터리액의 수위를 정상으로 유지한다면 이보다 훨씬 오래 쓸 수 있다. 방전됐더라도 나중에 배터리가 제 기능을 낸다면 굳이 배터리를 바꿔야 한다는 정비업소의 말을 들을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IP : 222.237.xxx.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8.8 12:54 AM (116.34.xxx.156)

    8년된 차의 밧데리는 한번쯤 바꿔줘야 한다는데...맞는 말일까요?
    8년동안 저는 밧데리 한번도 안바꿨는데 ....

  • 2. ^^
    '07.8.8 1:50 PM (124.51.xxx.43)

    <내차 요모조모 돌보기>란 책 선물받았는데요.
    한번 읽어보면 기본개념이 잡힙니다.
    에세이처럼 재미있게 넘어갑니다.
    여성운전자들도 차에 대해 좀 알면 좋을듯..

    그전에 저도 와셔액 넣을때 빼곤 본넷 한번 열어본 적 없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6285 잘못알고있는자동차상식12가지.유용합니다. 2 둥이맘 2007/08/07 700
136284 "탈레반, 인질들에게 이슬람 개종 권고" 11 아리쏭 2007/08/07 1,759
136283 이번주나 다음주에 코스코 갈려고 해요 14 코스코 2007/08/07 1,098
136282 좌측 많이 읽은 글 목록은 없었으면 좋겠어요.. 9 82게시판 2007/08/07 648
136281 정신과에서 부부상담 받았는데 그럼 보험 지급 안되는거에요? 4 .. 2007/08/07 915
136280 맛있는 원두커피 추천좀 해주세요.. 12 추천 2007/08/07 1,030
136279 비오는 휴가에 뭘하고 보내야할지요? 메모광 2007/08/07 176
136278 동료여직원 칭찬하고 기타.. 5 .. 2007/08/07 937
136277 집중이 안되네요.. 언제쯤 적응되려나.. 6 바뀐 82... 2007/08/07 576
136276 뻐하하.. 커프 보셨어요~~~? 4 환하게 2007/08/07 1,390
136275 공유 얼굴이 바뀌지 않았나요? 12 돌맞을까? 2007/08/07 2,373
136274 비오는날 계곡가면 많이 위험할까요... 16 dd 2007/08/07 4,508
136273 쫀득쫀득(?)한 립글로스 추천좀.. 7 입술... 2007/08/07 813
136272 얼마전에 본 케이블요리프로에서.. 1 잭라이언 2007/08/07 502
136271 그....가수아이와 아저씨라는 사람이랑 있었던 일이란? 7 커피프린스 2007/08/07 2,685
136270 코스트코에 휴대용유모차 있나여? 1 대니맘 2007/08/07 391
136269 하숙집 소개해주세요 하숙고민 2007/08/07 144
136268 전자피아노 추천해주세요... 3 딸딸맘 2007/08/07 413
136267 코스트코 상품권으로 입장하고,,,,,, 2 ,, 2007/08/07 708
136266 이창하 러브스토리... 19 참,,,, 2007/08/07 6,687
136265 변명도 석여 있지만, 청소는 어디까지라는 글을 읽고... 9 청소 2007/08/07 1,445
136264 루펜 15만원대에 살수 있음 괜찮은건가요? 2 루펜 2007/08/07 393
136263 예쁜 애기이름 여쭤봅니다~(성이 [주]) 18 예비맘 2007/08/07 1,922
136262 미닫이문을 없애고 자바라를 설치해도 될까요 12 도와주세요 2007/08/07 768
136261 안돼용 1 공유짱 2007/08/07 408
136260 애니멀퍼레이드 이런경우 먹어도 되나요? 1 알찬 하루 2007/08/07 148
136259 주민등록번호알면 은행에서 어디까지 알수있는건지 궁금해요. 6 궁금 2007/08/07 1,141
136258 아이가 후쿠오카에 가는데요.. 2 소나기 2007/08/07 217
136257 보증금2000만원에 월60만원 월세 복비 얼마인가요? 2 복비 2007/08/07 860
136256 가사도우미 아줌마 구하려는데 힘들어 2007/08/07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