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직장에 다녀야할까요?

전업주부 조회수 : 1,425
작성일 : 2007-02-24 14:36:56
결혼 15년차의 전업주부입니다.
남편은 직장에서 어느정도 대우를 받고, 애들도 초등고학년과 중학교로 스스로 알아서 하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크게 쪼들리거나 하진 않지만 40중반에 들어서니 주위에서 심심찮게 퇴직소리가 들리네요.
학원도 하나만 다니고 살림도 최소한으로 한다고 했지만 겨우 집하나 있을뿐
퇴직후나 노후준비는 몇개있는 보험을 제하고는 전혀 없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어른들 재산은 놀부같은 형님네가 있어 꿈도 못꿉니다.
한숨을 쉬면 남편은 집에서 할수있는 것을 알아보라하지만 그것이 그리 쉽나요?
학벌이 아무리 좋아도 40대에 들어선 아줌마가 할수 있는 것은 창업이 아니면 식당일이나 아기돌보기뿐이더군요.

아름아름 알아보니 소규모의 회사에서는 이나이에도 경리직을 할수있다기에 아는 친구들을 통해서 회계공부를 하다가 아주 작은 회사에 견습으로 나가게 되었습니다.
차비와 식비 수준이지만 일을 배우다가 다른곳을 알아봐준다기에 힘들어도 열심히 하고 있는데
남편이 계속 화를 냅니다. 적게 먹고 작게 살면 되지 뭘 그리 억척을 떠냐면서..
집안으로나, 사회적으로나 대우도 못받고 월급도 거의 최저임금이다보니 당장 그만두라 난리네요.
애들이 조금 아파도, 성적이 떨어져도, 하다못해 찬이 좀 부실하거나 간이 안맞아도 화부터 내네요.

15년만의 첫직장이라 스트레스도 상당한데 내색도 못하고 있습니다.
생각같아선 그만두고 싶지만 이제까지 들인 노력도 아깝고 이기회를 노치면 정말 창업외엔 일을 구할수가 없을것 같아서 망설이고만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IP : 221.138.xxx.19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7.2.24 2:47 PM (125.132.xxx.22)

    저하고 비슷한 연배이신것 같은데, 저같으면 그만두겠어요.
    직장이 스트레스가 있더라도 비젼이 있다든지. 일하는 보람이 있다든지. 경제적인 도움이 된다든지.
    힘들지만 직장생활을 하는것에 가족들이 이해를 한다든지. 특히 남편도 인정안하는 상황이시잖아요.
    객관적으로 직장생활하실 이유가 하나도 없는듯.. 어떤일이 되었든 가족의 지지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괜시리 나중에 아이들 좀만 잘못되도, 다 직장나간 님 탓 할 수있다고 봐요.

  • 2. ....
    '07.2.24 3:03 PM (221.151.xxx.8)

    잃는게 얻는것보다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저라도 그만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노력은 아까울 수 있지만 경리직으로 지금 신입이시라면..
    아마 길어야 4-5년 후 그만둘 상황이실 가능성이 많습니다
    본인도 일한다라는 자기만족외에 크게 도움될 부분이 보이지 않구요
    고생만 하다가 끝날 확률이 높지만.. 잘 생각하실 부분입니다
    사촌언니는 형부가 치과의사인데 보험을 시작해서 엄청나게 성공했어요
    연봉으로 치면 거의 9천만원..
    누구에게는 힘든일이 누구에게는 정말 쉬운걸 봐서 일이란 여기저기 많으니
    너무 무리수를 두실 필요는 없을까 합니다

  • 3. 저는..
    '07.2.24 3:14 PM (125.177.xxx.31)

    요즘 수명이 길어져서 퇴직후에도 살아가야 할 세월이 길다고 합니다.

    처음 시작이시라서 모든 것이 힘시드겠지만, 직장생활은 경력이 쌓일 수록 더 쉬워지실 거구요, 급여도 올라가게 됩니다. 주변의 반대 또한 있으시겠지만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어렵겠지만) 사회생활을 해내는 엄마/아내가 자랑스러울 것 같은데요..

    회계는 어느 회사에서나 필요한 직종이므로 혹시 집에서 사업을 시작하시더라도 도움을 드릴 수 있으므로 익숙해질때까지라도 직장생활해보시는게 어떨까요??

  • 4. ...
    '07.2.24 4:08 PM (203.165.xxx.244)

    돈보다 자생력을 기르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세요
    저는 지금 남편 직장 때문에 해외에 있어서 맞벌이를 관 두었거든요
    저 다시 한국 가면 시간당 3000원을 받는 일이라도 할 계획입니다.
    저 대학원 나오고 대기업 다녔지만 그거는 다 과거지요.
    재테크도 성공해서 창업을 할 여력은 되지만 덜컥 창업은 하는지 새상 돌아가는 거
    체험해 보고 창업 할려고 합니다.
    보다 더 큰일을 위해 지금 조금 고생한다고 생각하세요
    돈벌면 좋아요.ㅎㅎ

  • 5. 요새는
    '07.2.24 4:23 PM (125.177.xxx.134)

    "돈 못버는 것이 창피한 것이지 청소일해서 돈 버는 것이 창피한 것이 아니다.."
    저희 건물에 청소하시는 분이 하신 말씀이세요..
    이분도 평생 전업주부 하시다가 자식들 다 키워놓으시고 자식 신세 지기 싫어 시작하셨는데 일하니까 너무 좋다고 하시네요...

  • 6. 좀 더
    '07.2.24 4:51 PM (61.102.xxx.51)

    다녀보신 후에 결정하셔도 늦지 않을 거 같아요. 좀 더 다니신 후에 전망이나 수입의 규모 등 기타 사항을 보시고 결정하세요.

  • 7. .....
    '07.2.24 6:53 PM (121.133.xxx.132)

    어떤 일도 챙피한 건 없지만 득실을 따져야 할거같아요.
    최저임금에 스트레스도 받고 가족의 지지도 없고 보람된 일도 아니고,
    비젼이 있는 일도 아니고 저라면 안할거 같은데요.
    애들이 다 컸다고 하셨는데 그나이 애들 아직 엄마가 필요할 때에요.
    계속 일을 하셔서 애들이 단련된 것이 아니니까요.
    전 이번에 고등학교 올라가는 큰애와 중3되는 딸이 있는데,
    몇달전에 일 그만두고 세끼 밥 차려주고 학원 챙겨주고 있어요.
    사춘기 진하게 오고 학원만 왔다갔다 하는거 참다참다 못해 결정했지요.
    흘러가는 시간보다 더 비싼게 없다 생각하고...
    맞벌이하는 집도 독립심 강하고 스스로 잘하는 애들이 많지만,
    불행하게도 제애들은 아니네요.
    그렇다고 집에 있다고 뭐가 확 달라진 건 아직 없지만,
    좀 집안이 따뜻해지고 안정감이 있다는 건 확실해요.

  • 8. 경험
    '07.2.24 9:56 PM (211.215.xxx.72)

    수입이 있으면 물론 여유가 있으니 좋긴 하지만
    일하시는 목적이 가족의 행복아닐까요
    특히 남편이 원하지 않으신다면 하지 않는것이 좋더군요
    작은것 때문에 큰것을 희생할수 있어요

  • 9. ,,
    '07.2.25 8:43 AM (58.120.xxx.226)

    남편보다 아이들에게 소홀해진다면 반대요
    아이들 커도 주부의 할일은 많지요
    직장 다니다보면 본인이 힘들어지니 아무래도 집안일에 영향이 가요
    경리일이 참고 견디면 전문적인 경력이 쌓여서 월급이 엄청 많이지는것은 아닌것 같고
    남편 은퇴에 대비한다면 차라리 창업족으로 경험을 쌓는편이 나을것 같아요
    나이 들어갈수록 아이잘 돌보고 집안 든든히 지키는게 돈버는거다 이런 생각이 자주드네요

  • 10. ㅋㅋ
    '07.2.25 1:34 PM (218.144.xxx.137)

    부인이 50만원 벌때..남편의 반응"관도라..그거 아니어도 먹고 사는데 지장 없다"
    80~90만원.."오늘 저녁은 라면이라도 괜챦다"
    100만원이상-오늘 저녁 애들은 내가 먹일께...
    그 이상 수입이 많을때-"회식하느라 늦어도 괜챦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06719 사용 불가능한 홈씨어터 김채연 2007/02/24 217
106718 (급)물 800cc이면 500ml 인건가요? 2 환산 2007/02/24 1,927
106717 아이통장을 만들었는데.... 봄이 2007/02/24 309
106716 혹시 독일 사시거나 해외에 사시는 주부님들,.도움 좀 주세요.*^^* 14 독일.. 2007/02/24 3,261
106715 직장에 다녀야할까요? 10 전업주부 2007/02/24 1,425
106714 <급> 맵쌀가루 불리기 4 쌀가루 2007/02/24 436
106713 컬러링 했던거 그냥 다시 기본 전화벨소리로 바꾸려면 2 . 2007/02/24 396
106712 컴퓨터 잘 아시는분!!! 1 큐플레이어 2007/02/24 209
106711 체스에 관하여... 2 급!!! 2007/02/24 220
106710 모기지론과 주택담보대출... 차이점이 뭔가요? 3 잘몰라서 2007/02/24 446
106709 저가의 미니오디어 구입할까 하는데.. 4 어떨까요.?.. 2007/02/24 572
106708 설에 먹고 남은 고구마전 활용해보세요~ 1 고구마 2007/02/24 817
106707 검찰청출도하라는 전화 3 검찰 2007/02/24 987
106706 청소대행업체 써비스 1 ... 2007/02/24 249
106705 인터넷으로 신문연재소설 볼 수 있나요? 1 질문 2007/02/24 173
106704 노후자금 2 강남 2007/02/24 673
106703 보이차 질문이요~~(꼭 답주세요 ~~~) 4 얌야미~ 2007/02/24 803
106702 봄맞이 우리집 꾸며볼려구요~~~ 3 식탁보 2007/02/24 729
106701 캐나다에서도 초유, 프로폴리스가 있을까요? 5 궁금 2007/02/24 404
106700 Gianni Versace 지아니 베르사체 선글라스를 팔려고 하는데... 1 ... 2007/02/24 278
106699 말끝마다 등치값하라는 소리. 12 짜증 2007/02/24 1,721
106698 전세 재계약시 2 복비 2007/02/24 352
106697 도시가스비 얼마나 나오나요? 11 궁금 2007/02/24 951
106696 노리다케 질문이요~ 큐티 2007/02/24 209
106695 뮤지컬 초대권이 생겼는데 친척 어르신께 갖다 드리면 싫어할까요? 3 공짜 2007/02/24 337
106694 임신일까요 3 .. 2007/02/24 447
106693 (급)일본 주소를 영문으로 표기할 때 궁금한게 있는데요 4 영문주소 2007/02/24 164
106692 1월에 받았던 취학통지서.. 3 문의 2007/02/24 527
106691 삼익 콜렌캠블 후회없을까요?~ 1 피아노.. 2007/02/24 392
106690 그릇 얼마나 가지고 계세요? 12 궁금해서요 2007/02/24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