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가계부 적을 때요.
또 미장원 가서 머리 하는 비용은 잡비인가요?
좀 자세히 나누려고 하니 잘 모르겠어요.
1. 답변
'06.12.5 9:40 AM (203.247.xxx.20)저 같은 경우는요 용돈계정에 기타계정으로 넣어서 어르들 용돈은 기입하구요 과일같은 음식비용은 식비 기타계정으로 잡아요 미용실에서 머리하는건 의류 계정에 미용/화장품으로 해서 하나 잡았구요. 회사처럼 딱 정해진 룰은 없지요 다만 본인이 결산하기 편하기만 하면 되는거니까요 ^^
2. 농협가계부
'06.12.5 9:44 AM (124.111.xxx.247)에 있는 항목인데 참고하셔요.
1. 식비 : 주식, 부식, 외식, 과자, 과일, 음료, 술, 및 기타 기호품비
2. 주거비 : 집세, 월세, 가구, 등 수리비, 수도, 전기, 가스, 연탄 등 수도광열비, 가구집기, 부엌용품,
등 구입비, 아파트관리비, 화재보험료 등 주거에 따른 비용 일체
3. 피복비 : 옷, 침구, 신발, 장신구, 가방 등의 구입, 수선, 세탁비
4. 교육비 : 학비, 교과서, 참고서대, 학용품비, 학원비, 장난감 구입비 등
5. 보건위생비 : 의료, 약품, 목욕, 이발, 미용비, 화장품, 비누 등 구입비
6. 문화생활비 : 신문, 잡지, 서적 등 구입비, tv시청료, 요리, 꽃꽂이 등 학원수강료, 레저, 여행 등
기타 문화생활비 일체
7. 경조, 교제비 : 경조비, 손님접대비, 선물구입비, 각종회비 등
8. 교통, 통신비 : 교통비, 자동차 관련 비용, 전화요금, 우편요금 등
9. 세금, 공과금 : 소득세 등 각종 세금, 의료보험료, 고용보험, 국민연금, 기타 공공부담금
10. 특별비 : 주택 및 내구 소재비 구입, 결혼, 장례비용 등 기타 경상지출로 처리하기에 부적당한 지출
11. 자유설정항목 : 가족용돈 등 가정에서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는 항목
12. 저축, 보험료 : 예.적금 등 저축, 공제 등 보험료,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의 구입
13. 차입금상환 : 대출금 등 각종 차입금(카드. 월부금 등 채무 포함) 상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