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울 1학년 아들 수준 좀 봐주세요

답답 조회수 : 973
작성일 : 2006-11-26 07:54:33
1학년 울 아들 이 수학 익힘 책에 쓴 내용 입니다.
11+13=  24  (이건 쉬움)
다음 문제
24가 되는 이유는 무었인가?
원 답 :  10묶음이 2개고 낱개가 4개 니까
울 아들답 : 그냥


이런식의 문제가 5개 정도 나오는데 모두 답은 그냥 입니다..

건데 이문제가 보기 문제로 똑같이 나와있고 숫자만 바꾼게 5문제 거든요
이렇게 응용력이 없어도 되나요?


IP : 211.33.xxx.156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요..
    '06.11.26 7:57 AM (68.147.xxx.10)

    원글님은 답안 보시기 전에 그 문제 답 생각 나셨어요?
    저도 봤지만 모르겠더군요.
    그게 무슨 의미가 되고,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문제인지...

  • 2.
    '06.11.26 8:06 AM (61.98.xxx.155)

    그런 문제는 못풀어도 됩니다.
    저 1학년 같은 저학년만 가르쳐 봤는데요...
    이런 문제는 수학문제푸는 스킬만 요구할 뿐이죠.
    그냥이란 답이 이상하신 가요?
    전 아주 귀엽게 느껴지는데요? ^^
    지금 1학년은 아무도 모르는 잠재력을 가진 나이죠.
    나중에 3,4학년에 올라가서도 '그냥'이란 답이 나온다면 그건 상담이 될만하지만 지금은 기냥 엄마가 이래이래서 답이 이런거라더라~하고 설명만 해주세요.

  • 3. miniwoni
    '06.11.26 8:30 AM (220.88.xxx.111)

    넘 귀여워요.
    제 친구 아들, 2학년 수학시험 문제 중 경우의 수 문제였는데,
    문제 : " ~ 몇가지인가요 ? "
    답 : 여러가지 .
    배꼽잡고 웃었는데... 고학년이 된 지금 공부 잘해요. 걱정하지 마세요 ^^

  • 4. 초등교사
    '06.11.26 9:09 AM (58.141.xxx.42)

    귀엽네요^^
    저런 답이 일반적인게 사실이랍니다.
    사실 원답과 같이 논리적으로 답변하는건 어른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죠.

    하지만 '왜 그렇습니까?'는 고학년이 되도록 계속 되풀이 되고 반복되는 질문이에요.
    수학적 사고력과 논리력을 기르게 하기 위해서죠.
    당장은 "왜" 그렇냐는 시험문제가 나오지는 않지만..
    수학 교과를 통해 기르고자 하는 능력이 단순한 연산능력이 아닌 '무엇이 왜 그렇게 되는가'라는 수학적 사고력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니까요.
    어른들은 저런 답을 보고 의아해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런답을 누가 할 수 있겠냐!!라고 하실 수도 있겠죠..
    실제로 저런 답은 그 전 교과과정에 바탕을 두고 있답니다.
    1학년 교과과정에 의하면 두 자리수의 덧셈을 배우면서
    먼저 산가지(나뭇가지)를 가지고 답을 산출하는 과정을 배웠을 겁니다.
    수학의 기본은 11+13=24가 되는 단순한 연산이 아니라
    나뭇가지를 가지고 10을 묶고 그 묶음을 직접세보는 활동을 통해 두 자리수의 덧셈의 '원리'를
    먼저 가르치는거지요.
    예를들면 11+13은 10묶음 하나와 한 개의 산가지와 10묶음 하나와 세 개의 산가지를 합쳐서 세 보니까
    10묶음 두 개와 네 개의 산가지가 나오더라 라고 가르치는게 두 자리수 덧셈의 '원리'랍니다.
    그 '원리'를 물어보는 문제이지요.

    학교교육의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학원에서는 연산능력 개발을 통해 11+13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반복연습을 통해 실수하지 않도록해서 더 많은 문제를 정확히 맞추고 점수를 높이는 방법을 가르치고
    학교 교육은 '활동'을 통해서 '원리'를 가르치는 것이 목적이죠.

    학교에서 선생님이 교과과정대로 잘 가르치셨으면 아이도 아마 답을 쓰는 방법을 배웠을겁니다.
    하지만 배우지 않았다면 아이 입장에서도 엄마 입장에서도 저런 문제는 너무 어렵죠?^^

  • 5. **
    '06.11.26 9:58 AM (59.17.xxx.93)

    저도 이유를 말하라고 하면 참 난감하겠어요.
    이 아이 입장에선 그냥 당연히 계산이 되는 건데,
    그걸 굳이 이유를 대라고 하니 아이가 얼마나 난감하겠어요.
    제 아이도 1학년인데 꼭 이문제는 아니지만
    이런류의 문제를 보면 이유에 꼭 황당한 대답을 하곤해요.
    그래도 별 걱정안해요.
    그러면서 배우는 거죠.

  • 6. 초등교사님쵝오
    '06.11.26 10:06 AM (222.117.xxx.232)

    **^^**어른인 저도 몰랐던 사실을 배웠네요**^^**

  • 7. 원글 맘
    '06.11.26 2:09 PM (211.33.xxx.168)

    답글 주신 분들 고마워요..
    초등샘 말씀은 많은 도움이 되네요..
    경우의수 여러가지도 우리 아들과 비슷한 ㅋㅋ
    좀 심각했는데 지금 생각하니 귀엽네요.
    건데 웃기는건 다른 아이들은 다들 정답을 잘 쓰는거 있죠..역시 반복된 학습으로 인한건지 ..사실 저도 정답지 안보면 이런문제 잘 몰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91945 조그만한 제주도가 흔들... 조울증 2006/11/26 810
91944 결혼기념일... 9 다공이 2006/11/26 763
91943 (급질)유두보호 크림 효과있나요? 3 산모 2006/11/26 369
91942 다 지웠습니다 9 뼈속까지 2006/11/26 1,837
91941 구몬 끊을 때요.. 마직막 달 학습지 한 번도 안받았다면... 3 잠오나공주 2006/11/26 784
91940 친구 결혼식 축가부를 때 의상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추천요~ 2006/11/26 1,379
91939 학력이 뭐길래... 28 그냥... 2006/11/26 3,306
91938 원장님이 수업에 들어 오십니다. 10 강사 2006/11/26 1,531
91937 인터넷중독 치료할수 있을까요? 3 ..ㅠㅠ 2006/11/26 458
91936 요즘장터나 살돋에 2 나도 2006/11/26 974
91935 free size유감 8 통통66 2006/11/26 1,154
91934 지금82쿡잘되나요? 1 겨울비 2006/11/26 402
91933 크리스탈컵 3 옥영애 2006/11/26 398
91932 남의 집 아이 야단 치시나요? 17 아직도 넘 .. 2006/11/26 1,969
91931 ~융모막 검사~ 5 검사 2006/11/26 532
91930 도포하는 불소 1 치아에 2006/11/26 220
91929 트라우마 2 부모 2006/11/26 795
91928 '라이드'가 3 이런~ 2006/11/26 682
91927 장터질문.. 3 장터질문. 2006/11/26 610
91926 FC 2 컨설팅 2006/11/26 424
91925 남자란 동물에 그본능 14 .... 2006/11/26 2,854
91924 부모에게 상처받은 아이들의 호소문 8 필독 2006/11/26 1,624
91923 겨울동안 계획이예요 8 문화센터 2006/11/26 889
91922 재무상담은 어디서 받나요? .. 2006/11/26 196
91921 요즘애들왜그러나요? 세상에참.. 18 dfs 2006/11/26 2,826
91920 한쪽 눈이 풀려있어요. 1 얼굴 2006/11/26 513
91919 한일고 답글주신분 중에 조카가다님으로 답글주신분에게 1 한일고 2006/11/26 681
91918 유치원 두 군데 중 하나만 골라주세요. 2 유치원 2006/11/26 331
91917 울 1학년 아들 수준 좀 봐주세요 7 답답 2006/11/26 973
91916 결혼하고나니 허무하다고 생각하는건 저뿐인가요?.. 5 헤나 2006/11/26 1,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