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20대 중반의 여자가 들만한 보험? 그리고 펀드 가입하려면 증권사에 꼭 나가야 되는건가요?

보험 조회수 : 540
작성일 : 2006-08-16 12:57:21

26세의 사회 초년생입니다.
아직 아팠던 적은 없고 특별히 잔병치레 안하고 건강한 편이지만 보험 하나 정도 드는 게 좋을 것 같아 알아 보는데 뭐가 뭔지 잘 모르겠네요.
막연히 종신보험은 한 살이라도 어릴 때 드는 게 좋단 말을 듣고 그거 들려고 알아 봤더니 이건 한 마디로 사망 후에 가족들에게 돌아가는 거네요.
중간에 아팠을 땐 별 효력이 없는 거고 20년 납입하면 죽지 않는 이상 돈을 못 받는건가요???

암이나 각종 질병 관련 보험을 드는 게 더 이득이 될 것 같긴 한데 어느 회사의 어느 상품이 실속 있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매 달 납입액이 넘 낮지도 높지도 않은 걸로 들고 싶어요.

그리고 미래에셋에서 하는 디스커버리 펀드 가입할까 하는데 해당 펀드를 파는 증권사로 꼭 방문을 해야되는거죠?
평일에 직장을 나가니 시간 내기가 여의치가 않네요.
IP : 61.80.xxx.2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6.8.16 1:15 PM (211.227.xxx.200)

    보험은 잘 모르겠구요
    펀드는 방문 하셔야 가능해요
    아님 .직원이 ods 나와서도 가능한데요...
    혹시 지역이 서울이시면..멜주소좀 알려주세요. 궁금한내용 알려드릴께요

  • 2. 너꿀
    '06.8.16 1:35 PM (124.49.xxx.207)

    사회 초년생이라는 말에...저도 그랬던 기억이 있어 답글 씁니다.^^

    종신보험 생각하신거 보니, 약간 여유가 있으신 듯 합니다.(아닌가요?^^;)
    종신보험은 원글님께서 말한 것이 맞구요, 그외 특약으로 건강기능을 추가할 수 있지요.

    사망시 보장을 제외하곤 정기보험이 그와 유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외 여성건강보험이나, 요즘 tv에서 선전 많이 하는 월 얼마얼마로 모든 보장이 이런 보험들도 있지요.

    전 개인적으로 종신보험에 가입했지만
    개개인마다 생각이 다르므로 굳이 권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보험은 외국계 회사로 추천하고 싶습니다.
    주위에 가입한 사람에게 보험설계사 연락처를 부탁하거나 해서 한번씩 만나보세요.
    물론 그분들은 강력히 가입을 권하시겠지만, 원글님께 중요한 것은 '정보'를 모으는 것입니다.
    설계를 다 해주셔서 제시하니까 꼼꼼히 비교하시구요.


    펀드는 본인이 가입할 것만 정하면 그것을 다루는 은행은 많습니다.
    특히 미래에셋 대표펀드들은 웬만한 은행에서는 가입 가능합니다.
    말씀하신 디스커버리는 국민은행 등에서도 하고 있구요.

    펀드는 정말 종류가 많지요?
    그래서 그냥 많이 들어본 미래에셋의 디스커버리를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물론 미래에셋은 괜찮은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한 회사에서도 운용스타일에 따라 많은 성격의 펀드가 있습니다.

    디스커버리는 공격적인 성향의 펀드라, 상승장에서 수익율이 다른 것보다 높지만
    반대로 하락장에서 떨어지는 것도 다른 것보다 높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수익율이 좋고 위험이 적은' 금융상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세요.
    '고위험 고수익'은 어디서나 통하는 말입니다.


    전, 이런 금융설계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신념"이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그냥 주위에서 뭐가 좋더라...이렇게는 절대절대 가입하지 마세요.
    그랬다가 이득을 보면 다행인데 손해를 보면 그걸 어쩌실려구요.
    자기 생각으로 가입해야, 움직이는 추이도 예상이 되고, 대처도 가능한 것입니다.

    요즘 재테크 사이트 -모네타-나 기본적인 정보를 쉽게 설명한 책이 넘쳐나므로 찬찬히 잘 공부해 보시구요
    그 다음에 자신의 목적에 맞는 상품에 가입하면 됩니다.
    3개월 목표로 먼저 연구해 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말그대로 초년생이니 서두르지 마시고,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원글
    '06.8.16 1:59 PM (61.80.xxx.28)

    옹..그런 거였군요.
    모네타는 두어 번 들락거려봤는데 펀드 종류도 엄청 많고 쫙 나열해놓고 보면 그게 그거인 것 같고 아무튼 판단이 아직 잘 안서더라구요.
    그래서 재테크 관련 책 한 권 사서 볼까해요.
    그리고 음님..멜 주소 irisblu9@naver.com 이에요.

  • 4. 맞아요
    '06.8.16 4:09 PM (59.5.xxx.131)

    자신의 신념이 무엇보다도 중요한게 재테크입니다.
    작은 이익을 바라보고 섣불리 움직이지도 마시구요,
    잘 살펴 보면서 계획을 세우셔요.
    보험은, 제 생각에는, 그냥 전반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종신보험을 하나 들고
    (사망후 보장액을 최소한으로 낮추고), 원글님이 원하는 쪽의 보장이 잘 되어 있는
    건강보험을 추가로 하나 드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6843 방학중 아이들 뭐하고 지내나요? 3 짝퉁맹모 2006/08/16 713
316842 조언을 구합니다.... 7 세레나 2006/08/16 1,321
316841 시누가 돈모아서 시댁물건을 사드리자고 자주 제의해요 13 선물 2006/08/16 2,261
316840 별거라도 해 줬으면 2 정말 싫은데.. 2006/08/16 1,255
316839 결혼후 약 5년빼고는 지금껏 10년을 참 힘들게 살며 달려왔습니다 3 바다엄마 2006/08/16 1,364
316838 적금일을 4달이나 연체시키면 찾을때 그날에 못찾는거죠? 2 ... 2006/08/16 575
316837 친정아버지 돈 해 줘야하나요?? 9 답답해 2006/08/16 1,159
316836 모유수유 중에 맥주 절대 마시면 안되나요? 8 맥주 2006/08/16 1,211
316835 시아버님 간병은 누가, 어떻게??? 14 며느리 2006/08/16 2,164
316834 하나님 정말 계실까요? 18 날라리신자 2006/08/16 1,965
316833 급 도와주세요 2 캐시 2006/08/16 613
316832 그리 멀지않고 쉴만한데 없을까요? 6 휴가가고파 2006/08/16 810
316831 세금이 얼마나 나올까요? 양도세? 2006/08/16 268
316830 아시는 분 계실까요? 4 궁금해서 2006/08/16 546
316829 양산신도시 살기 어떤가요? 4 이사예정 2006/08/16 526
316828 이 중 어떤 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1 대출.. 2006/08/16 221
316827 조카 결혼 축의금에 대해서 4 저도 2006/08/16 714
316826 겁많고 잘 놀래는 편인데 래프팅 가능할까요? 8 동강 2006/08/16 473
316825 반나절 도우미아줌마가 쓰레기도 버려주시나요? 4 궁금이 2006/08/16 1,149
316824 출산할때 진통시간이 비정상이래요 13 비정상 2006/08/16 1,158
316823 ㅠ결혼1년차, 살림은 어려워ㅠ 3 베개 2006/08/16 788
316822 조의금 & 축의금 8 질문 2006/08/16 1,015
316821 빌트인 된 식기세척기 뺐을때 어떡하죠? 7 싱크대 2006/08/16 906
316820 20대 중반의 여자가 들만한 보험? 그리고 펀드 가입하려면 증권사에 꼭 나가야 되는건가요?.. 4 보험 2006/08/16 540
316819 전 영국의 외교정책이 궁금해요... 4 .. 2006/08/16 424
316818 이상한 동네 3 .. 2006/08/16 1,129
316817 4-6세용 유명한 단행본책들 중고로 구입할 수 있는곳이 어디인가요? 1 .. 2006/08/16 259
316816 미국에 시집간 친구 1 한국친구 2006/08/16 997
316815 아이들(6,7세) 책좀 많이 읽히고 싶은데요... 빌릴곳... 3 초보맘..... 2006/08/16 332
316814 제가 모르는 2가지 .. 야스쿠니와 전교조.... 9 이제는 알자.. 2006/08/16 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