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파트 9층과 22층 중 어디로?

몇층으로 조회수 : 1,890
작성일 : 2005-11-03 15:57:08
올케언니가 미분양 아파트를 하나 사려고 합니다.   비슷한 조건에 2개의 물건이 맘에 드는데 9층과 22층 어디로 해야 좋을지 고민을 하더군요.(총 30층입니다.)

앞동이 트인것이 아니라 아파트가 있구요 1호라인이구요

사람들 말로는 요새는 높을수록 로얄층이라고 20층이상도 괜찮다고 하는데
저는 오히려 너무 높으니까 웬지 부웅 뜬것같아서 안정이 안되고 또 요새는 아파트 조경을 잘 해놓으니까
저층도 1-2층만 아니라면 오히려 나무들도 보이고 괜찮을 것 같거든요..

같은 조건에 9층과 22층이라면 여러분은 몇층으로 가실래요?
IP : 219.255.xxx.238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당근
    '05.11.3 3:59 PM (211.108.xxx.183)

    22층입니다...

  • 2. 저라면
    '05.11.3 3:59 PM (210.91.xxx.97)

    22층요
    20층 아파트 19층에 사는데 하늘 가깝구..잘려고 누우면 하늘이고 고개만 들면 하늘이고 해서
    전 무지 좋거든요

  • 3. 저라면..
    '05.11.3 4:00 PM (211.177.xxx.12)

    전 22층이 마음이 듭니다.
    30층 아파트의 9층은 사실 낮은 느낌이거든요.
    앞 동에 가려서 폭 꺼진 느낌이 듭니다.
    (거실에 앉으면 특히 그런 느낌이 강해요)
    저의 집에 비슷한 처지라서 늘 폭 꺼진 듯한 느낌으로 살고 있어요.
    저 같음 높은 집으로 선택할 듯 합니다.

  • 4. ..
    '05.11.3 4:05 PM (210.104.xxx.253)

    일단 한번 가 보시고 결정하시면 어떨까요? 전에 20층아파트 꼭대기에 살다가 지금 4층에 삽니다. 전에는 전망이 좋아서였고 지금은 전망과 상관 없는 곳이라 4층에 사니까 화단에 있는 나무들이라도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볼 거 없는 아파트 고층 삭막하지 않나요? 가능하기만 하다면 저는 오히려 화단의 나무라도 볼 수 있는 곳으로 더 내려오시는 게 더 좋을 것 같은데요.

  • 5. 엉뚱하지만
    '05.11.3 4:08 PM (222.101.xxx.113)

    10층이상 되면 대기권 순환이 안되서 공기가 더 안 좋다는 말을 들었어요...

  • 6. 저라면
    '05.11.3 4:09 PM (210.96.xxx.37)

    로얄층이라면 당근 22층이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높은 곳은 부담스럽더군요.
    친구가 20층 아파트의 17층에서 사는데 올라가면 왠지 붕 떠있는 느낌도 들고 귀가 윙윙거리더라구요.
    살면 익숙해진다고 하지만... 아무튼 고민되시겠네요.

  • 7.
    '05.11.3 4:18 PM (163.152.xxx.45)

    9층. 땅에서 멀어질수록 병원가는 확률이 늘어난다고 해서.
    아파트 가게된다면 5층 이하에서 살고파요. 높으면 무서워서리

  • 8. 저도
    '05.11.3 5:10 PM (211.41.xxx.129)

    9층 너무 높으면 건강상 안 좋대요. 식물이 자라는 최대높이까지가 사람이 살기도 좋다고 그러더라구요.(그러니까 거의 한 5층정도) 그 이상은 장류도 발효가 잘 안된다고 하던데.. 책에 그렇게 나오더라구요.

    전망상 22층이 좋아도 전 엘리베이터 점검일등 요런 상황이 넘 싫더군요.

  • 9. ..
    '05.11.3 5:14 PM (58.143.xxx.62)

    집값이 일년 지나면 차이 납니다.

  • 10. ~~
    '05.11.3 5:40 PM (218.54.xxx.130)

    둘중에 하나 고르라면 9층..
    하지만 저라면 더 낮은 층을 고르겠어요..
    최고 6층이상은 안넘게요.. ^^

  • 11. 투자용
    '05.11.3 5:46 PM (210.217.xxx.22)

    이시면 당연 22층.
    저도 왜인지 이해는 안 가지만, ..님 말씀처럼 나중에 값차이 꽤 나죠.
    그리고, 강이나, 숲, 심지어는 골프장 그린이라도 조망할 게 하나라도 있으면 그 정도가 더 심해집니다.

  • 12. 공인중계사
    '05.11.3 6:05 PM (218.148.xxx.51)

    22층 권합니다.지은지10년넘은 아파트도아니고 앞동도 있는조건이라면 고층을 권합니다.
    30층이 탑이면 15층이상이 로얄층입니다.

  • 13.
    '05.11.3 6:36 PM (61.32.xxx.33)

    헉.. 윗댓글님 공인중'개'사가 아닐까요? ^^;;

    저희 친정, 26층 아파트 중 19층에 당첨 되었었는데 그것조차 너무 낮다고 하셨어요..
    요새는 워낙에 사람들이 고층을 선호하고, 가격도 차이가 많이 나거든요..
    친정 집이 시가로 12억인데 층수따라 최고 2억까지 차이가 나요.
    다른 조건이 같다면 층수가 높을수록 가격이 올라가는 모양새입니다.
    하여간 19층인데 통풍 잘되고 탁트이고 시원하고 파리 모기도 잘 없어요..
    한강이 보이는데, 또 높을수록 전망도 좋아서 야경보며 저녁 식사 할때마다 너무 기분 좋아요..

    저는 아파트 9층 살거든요. 오래된 동네가 아파트 바로 앞의 나무가 무진장 커서 나무를 타고 모기가 많고 거미며 이름모를 풍뎅이스러운 벌레까지 종종 들어옵니다.

    꼭 이 이유 때문만은 아니지만 저라면 주저함없이 22층 선택하겠어요..

    사실 높다고 붕떠있거나 삭막한거.. 저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겠거든요..
    원래 외국 아파트들 펜트하우스도 높은 층수에 위치해 있지 않나요? ^^

  • 14. 저층도 저층나름..
    '05.11.3 7:41 PM (58.140.xxx.126)

    저도 사람들이 5층이하에 살아야 한다고 해서..5층에 사는데요..
    정말 겨울에 햇빛 못보고 삽니다..(반지하가 따로 없죠...)
    앞동이 없고 트였다면 저층이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절대! 저층 반대입니다...

  • 15. 고층으로 가지마셈
    '05.11.3 9:21 PM (222.108.xxx.203)

    고층 갔다가 허구헌날 병원 다니는 아짐 여기 있슴다....
    결사 반대..9층 강추!!!

  • 16. 저두
    '05.11.3 9:58 PM (58.73.xxx.45)

    높은층보단 9층이 좋을거 같네요.. 17층에 16층 살아보고 지금은 6층에 살고 있습니다.
    고층은 건강한사람은 못느끼겠지만.. 저처럼 골골하거나 호흡기가 약한 사람들은 확실히 감기 달고 살더군요..

  • 17. @..
    '05.11.3 11:09 PM (211.208.xxx.204)

    4층 살다 10층으로 이사와서 살고 있는데 (더 넓은 집으로)
    수시로 산소가 모자란다는 말이 입에서 툭 튀어 나오네요.
    허약 체질이라면 9층 강추!

  • 18. ㅎㅎ
    '05.11.3 11:52 PM (221.138.xxx.175)

    아파트 승강기 점검 내지 고장일경우 22층까지 걸어올라가보세요. 22층 살고 싶다는 말이 쏙 들어가지요

  • 19. 22층 강추
    '05.11.4 9:06 AM (211.61.xxx.62)

    저 20층 삽니다. 전망 죽이고 서향인데도 해 잘 듭니다. 공기? 좋은데요. 모기 못 올라오구요. 저층보다 집값 차이 많이 납니다. 건강하시면 22층 사세요.

  • 20. Ich Bin Ich
    '05.11.4 5:00 PM (218.53.xxx.39)

    앞이 확 트여 있는 23층에21층 삽니다.
    집 바로 뒷쪽에 큰 산이 있어서 그런지 공기 끝내줍니다.
    해돋이도 베란다에서 하고
    달이 어떻게 뜨고 지는지 관찰도 하고 저는 좋던데...^^

  • 21. 원글
    '05.11.4 7:02 PM (219.255.xxx.238)

    요글 고대로 카피떠서 올케언니 보냈습니다.
    여러 의견주신 분들께 감사드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025 신랑이 일본출장을 갑니다 1 궁금 2005/11/03 250
42024 건강검진센타 문의... 4 희맘 2005/11/03 523
42023 아파트 9층과 22층 중 어디로? 21 몇층으로 2005/11/03 1,890
42022 마법천자문이냐, 학습지 한자냐의 기로예요 5 aka 2005/11/03 411
42021 2004님 고구마 사신 분들께 15 조심조심 2005/11/03 1,306
42020 전세가 안빠지면 월세놓구가도 될까요? 1 이사가고파 2005/11/03 277
42019 어린이 치아요.. 3 남매맘 2005/11/03 174
42018 좀있음 생일인데요^^;; 1 새댁 2005/11/03 155
42017 난방기구 어떤게 좋을까요?... 4 난방이필요해.. 2005/11/03 367
42016 내가 이상한지는 모르겠지만 13 소심녀 2005/11/03 1,476
42015 버디버디가 어떤거에요? 5 궁금. 2005/11/03 581
42014 먹는 무좀 약 많이 독한가요? 10 고민 2005/11/03 780
42013 안 보여주는 집 사려면(급해요) 4 집사려고 2005/11/03 862
42012 한약값이나 치과진료비 보상해주는 어린이보험 있을까요? 1 aka 2005/11/03 345
42011 남자 영어이름이요... 7 영어이름 2005/11/03 1,253
42010 시댁에 매주 가시나요?(같은 서울) 16 ... 2005/11/03 1,030
42009 제발...기생충김치 얘기좀 그만!!!!(비위약한 임산부 ㅠㅠ) 5 괴로워 2005/11/03 506
42008 연하남친 이야기 두번째.. 13 아파서 2005/11/03 1,246
42007 혹시 이 만화 보신본 계신가요? 5 비디오 테잎.. 2005/11/03 646
42006 제주간고등어 어디것이 맛나나요? 3 며느리 2005/11/03 364
42005 올리브님 호박고구마는 참 맛있었어요! 1 호박고구마 2005/11/03 487
42004 남대문 시장에 털실파는곳있나요? 2 궁금 2005/11/03 690
42003 2004님 호박고구마 사신분들 12 조심스럽게 2005/11/03 1,360
42002 오빠가3개월째머무르네요 13 가줘...... 2005/11/03 1,541
42001 시 좀 해석해주세요. 3 도와주세요 2005/11/03 149
42000 어떤 치과의사가 그랬다는데.... 미국 사시는 분 말씀 좀 해주셔요. 5 임플란트??.. 2005/11/03 1,157
41999 형수님이라고 부르지 않는 시동생... 15 인사 2005/11/03 1,447
41998 이삿짐 장기 콘테이너보관 해보신분... 5 이삿짐 2005/11/03 293
41997 휘슬러 파킹 할인한다고 디엠 왔는데요~ 1 휘슬러 2005/11/03 250
41996 밑에 도련님 결혼때문에 글 쓴 사람인데요 11 ㅠ.ㅠ 2005/11/03 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