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1억 재테크
그냥 은행에만 두자니 다시 세군데로 분산 시켜야 하는데
저축은행 말도 많고... 경기도권 소형 아파트 사서 월세 놓을까 어떻게 방법을 모르겠어요.
알듯도 하고 깜깜하기도 하고...
어째야 할까요?
재테크로 남편이 믿는 구석이 있어서 잘 해보고 싶거든요.
혹시 지역도 추천좀 해주시면...~.~
아님 내가 1억 있다면 난 이렇게 할테야 하는것도 부탁 드려요.
집은 저희집은 전세주고 전세 삽니다.ㅡ.ㅡ
전세 처음 사는데 꼭 집을 사서 살지 않아도 되겠다 하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몇제십억을 깔고 앉아 계신 분들 보면 존경스럽기도하공....
부탁드려요..
1. 어느 정도
'11.7.29 3:52 PM (121.165.xxx.14)윤곽을 잡으시고 그부분에 대해 알아보신 다음 글을 올리시면 알토란 같은 정보 많이 올라와요.
원글님 같은 질문에는 답하기가 다들 어려우실껍니다.
자가는 전세주고 전세 사신다는거 보면 부동산 정보도 어느정도 있으신 분같은데2. 어려워
'11.7.29 7:42 PM (14.47.xxx.236)1억이면 적은돈이 아닌데 투자할곳이 마땅하지 않더군요.
얼마전 1억정도로 오피스텔 투자에 관심이있었는데
아직도 실행하지 못하고있네요.
좋은 정보있으면 공유합시다3. ~
'11.7.29 11:09 PM (59.19.xxx.29)아래글은 제가 좋아하는 재테크 고수님 글 중 일부입니다
참조하시라고 올립니다
-----------------------------------------------
기본적으로 1억 2천만원의 투자원금이 필요합니다.(물론 더 많으면 더 빠르게 돈이 모입니다)
이 돈을 한달 단위로 가입합니다. 한달에 매달 동일한 날 (즉 매월 15일정도)
그렇기 때문에 12달, 1천만원씩 1억 2천만원이 필요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비과세 저축을 남아 있기 때문에 제 2금융권
신협이나 단위농협, 단위수협등에는 비과세 3천만원까지 혜택이 있고
전 금융기관에 세금우대 1천만원이 가입 가능합니다.
물론 장애자나 생계형 저축(노인) 추가로 3천만원 비과세가 더 혜택이 있습니다.
매달 비과세로 1천만원씩 3달을 가입하고 세금우대로 1달,
그리고 결혼을 해서 배우자가 있다면
3천만원은 본인 비과세상품(제2 금융권), 1천만원은 (세금우대)
와이프가 있으면 와이프(비과세 3천만원), 1천만원 (세금우대)
일단 8달은 세금없이 예금을 할수 있습니다.
매월 5%이자로 납입하면 세전이자는 50만원이 됩니다.
물론 6달은 비과세이니 50만원 그래로고 2달은 세금우대 4달은 세금띠고 나옵니다.
그리고 매달 예금 가입한 날에 다음해에는 매달 만기일에 맞추어 적금을 가입합니다.
이자가 50만원이면 100만원짜리 적금에 가입합니다.
50만원은 이자로 그리고 나머니 50만원은 자신의 월급이나 수입중 일부를 적금에
가입합니다.
매월 예금에 가입하는 점은 언제 은행에서 특판예금이 나올지 모릅니다.
금리가 또한 상승기에 금리 손해를 볼수 있습니다.
특판예금은 가입할수 있는 시기가 있기에 특판예금이 나오면 다음달, 다다음달
예금에 예적금담보대출을 받아서 일단 가입하고 난후 다음달 다다음달 만기에
예금을 찾아 상환합니다.
(보통 특판예금은 연말에 BIS 맞추기 위해서나 정부의 금융지도, 아니면
금격한 금융위기로 인한 자금경색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상품입니다.)
결국 1년뒤는 적금이 1200만원+ 적금이자 나옵니다.
예금은 만기가 되자 마자 재 예치하고 이자는 적금으로 다시 넣고
하면 년복리를 실현해 나갑니다.
이렇게 적금이 1년이 되면 다시 첫달에 1천만원 재예치시에 1천만원이 아니라 적금
만기금액 1200만원과 이자를 재예치하여 2200만원+적금이자가 재 가입됩니다.
이러면 매년 2200만원과 적금에 복리이자가 발생합니다.
결국 이렇게 귀찮게 하는 것은 매월 이자를 받고 돈을 재예치하면서 돈에 불어나는
즐거움의 맛을 알면 돈의 가치, 시간의 가치을 알고
내가 쉽게 쓰는 돈들이 다시 새끼를 치는 돈이며, 쉬게 낭비하는 돈은 절대로 새끼를
칠수 있는 돈의 상실입을 알게 됩니다.
직장인은 매월 2번의 월급날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사는 것이 더욱 즐겁고
다른 동료보다 매월 50만원의 월급을 더 받고 이자를 내고 있는 직장인보다
더욱 월급을 많이 받고4. 모으자
'11.7.30 11:25 AM (121.167.xxx.204)답글이 별루 없어서 실망 하고 있었는데 윗님께서 올려주신글 눈이 번쩍 뜨이네요.
이런 고수님의 글을 어디가면 볼수있나요?
숫자에 약한 제가 잘 할수 있을까 고민도 되지만 몇번이고 정독해서
숙지해보려구요. 원금을 잃지 않아야 한다,와 참아야 한다...
정말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