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고등수학 수 1 과 미적분과 통계 연관성 있나요?

질문 조회수 : 2,215
작성일 : 2011-05-05 11:10:24
고등 수학 문과 과정이

수학 상,  수학 하  --> 수학 1 --> 미적분과 통계 기본


수학 상,하 를 완전히 공부하고 수학 1을 한번 본 상태인데
본인이 이 과정이 좀 미흡하다고 합니다.
수 1을 다시한번 하고 나서 미적분을 나가야 하는지
아니면 두개를 동시에 나가도 괜찮은지 궁금해서요.

수1과 미적분이 연관성이 많지 않다면 두 개를 동시에 나가도 될것 같은데
고등수학 과정 잘 아시는 분께 질문합니다.
IP : 121.133.xxx.31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지패밀리
    '11.5.5 11:14 AM (58.228.xxx.175)

    고딩과정 모든 수학체계는 서로 연관성이 철철 넘칩니다.
    배우는 과정 확인문제는 내신용이기도 하구요 학교따라 섞어서 나오기도 합니다.
    수학자체가 연관성이 없을수 없죠.
    그리고 수1은 고등수학 상하 보다 더 힘듭니다.
    한번보고 뗄수 잇는 과정이 아닙니다.
    지수로그 수열파트 열심히 하라고 하세요
    특히나 지수로그는 모든 수학과정에서 기본적으로 깔려서 나옵니다.
    수열은 두말하면 잔소리고.
    나중에 고3가면 이것들이 다 종합세트로 한문제를 이룹니다.
    수열파트 안되서 그다음 문제가 안되는거죠
    즉 미분 적분 문제가 미적분만 알면 풀린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는겁니다.
    고등수학은 문제를 풀기 위해 앞에서 배웟던 여러가지 과정들을 다 숙지하고 있어야 풀려요

  • 2. 수학샘
    '11.5.5 11:46 AM (69.250.xxx.162)

    전 수학 전공자인데요 결론만 말하면 "전혀 없습니다."
    고등학교의 수학과 통계는 전혀 별개의 것이라서 통계의 경우는 문이과 같이 배우죠..
    (다른걸 예로들면 문과는 다항식 미적분만 다루고, 이과는 삼각함수와 로그 미적분도 다룹니다..그리고 문과는 벡터도 없고..)
    대체로 고등학교 통계는 평균, 표준편차,그리고 정규분포
    세 개념만 알면 거의 모든 문제를 풀수 있습니다...

  • 3. 그지패밀리
    '11.5.5 11:58 AM (58.228.xxx.175)

    저도 일선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사람인데 전혀 없다고 하는 윗님은 어떤 의도인지 모르겠네요..
    아마도 배우는데 아무문제 없다 이말씀 하려고 하시는건가요?
    그러나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그 앞의 선행과정이 제대로 숙지가 되어야 합니다.
    하다못해 수 1도 앞의 지수로그를 힘들어 하는 애들은 수열문제에서 지수로그가 깔려서 나오면 그거 못해서 수열문제까지 못풉니다.
    아시죠?
    미적분 문제도 이과보다 훨씬 쉽게 난이도가 낮지만 문제자체는 수1의 부분들이 섞여서 나오기도 합니다.
    개념을 이해하는데는 따로따로지만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그앞의 과정들이 숙지가 되어야 하고 원글님 질문하신 내용으로는 수 1 한번 봤다고 하는데 그러면 안되는거죠
    제가 추천하고 싶은 바로는 수1을 조금 더 심층적으로 보는게 훨씬 도움이 많이 되리라 봅닏.
    그이후에 미적이 들어가도 다양한 문제를 조금 더 쉽게 접할수가 있죠.

  • 4. dd
    '11.5.5 12:20 PM (211.187.xxx.104)

    저도 수학 전공.. 수학 가르치는 사람입니다..
    위에 수학샘이라 쓰신 분..
    진짜 수학샘 맞으신지..

    원글님..
    고등 수학 상, 하 다보고, 수1 한 번 봤다 하시면...
    지금 몇 학년인가요?
    고2는 아닌 거 같은데.. 고2라면, 수1 복습하면서, 미적분과 통계 예습 들어가도 되지만,
    고1인가요? 중3인 거 같기도 하고...
    중3, 고1이라면, 고등 수학 상, 하에 더 많이 치중해서 복습하셔요..
    그리고, 수1을 더 다진 후에 미적분과 통계는 좀 천천히 하시구요.

  • 5. ..
    '11.5.5 5:28 PM (1.227.xxx.91)

    수열과 수열의 극한을 수1에서 공부하지않고 어찌 함수의 극한을 이해하며 미적분을 배우나요.
    위 수학샘이라는 분...

  • 6. 묻어서질문이요
    '11.5.5 7:47 PM (222.106.xxx.34)

    이거와는 상관없지만요 고1이라면 당근 공통수학에 더치중해서 공부해야하겠지요??
    수1선행같은거 학원에서 특강 때리면 그것도 들어야하나요?? 학원에서 수1특강반 모집하는거 같아서요.
    참고로 울 아이 학교는 고2 이과 1학기에 수1하고 기하벡터 같이 나가는거 같던데요.이과갈거구요
    저번 (중3)겨울방학때때 공통수하 하,수1 하느라 공통수학 1학기거 충분히 못했거든요. (이런 이유는 이번 여름방학에는 선행 은 2학기 거만 할라고 해요)
    그래서인지 이번중간고사 세개틀려왓어요. 본인은 실수라고하지만 오답중 10점짜리 서술형이 한개 들어가서 점수가 낮아졌거든요

  • 7. dd
    '11.5.5 10:46 PM (211.187.xxx.104)

    위에 질문하신 분...
    특강 안들어도 됩니다.
    아이에게 필요한 것을 잘 짚고 계신 같아요.. 생각하신 대로 그냥 하신면 될 거 같습니다.
    선행을 언제하느냐.. 보다는 공부할 때,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제일 중요하거든요..
    학기 중에는 학기 중 공부에만 충실하고, 여름 방학 때 2학기 것 공부해서, 2학기에 열심히
    학기 중 공부하고 나서, 2학기 기말 끝나자 마자부터 하루나 이틀 정도만 쉬고 바로, 수1이랑 기하와벡터 선행 들어가면서, 겨울 방학 때 최대한 수학에 집중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이과생에게 가장 중요한 시기가 고1 겨울 방학부터 고2 겨울 방학까지예요..
    이때 수학에 투자하는 시간의 양과 공부의 질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과생은, 1학년 겨울 방학에 수1 들어가면 진도에 치여서 힘들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진도에 치여서 힘든 아이들은, 언제 선행을 해도 마찬가지예요..

  • 8. 수학
    '11.5.5 11:48 PM (114.204.xxx.208)

    <수1>과 <미적분과 통계 기본>은 연관성이 심하게 있습니다.
    수1에서 행렬만 조금 다른 단원이지 나머지는 미적분과 다들 연관있어요.
    그리고 수학에서는 어떤 단원이던지 연결고리가 되거든요.
    문자를 다 풀고 마지막 미지수를 구하는데 근의 공식이 사용된다던지 하면서 말이에요.
    특히나 고등수학(우리가 알고 있는 공통수학)도 너무너무 중요한 단원입니다.
    그 어떤 과목보다도 수학은 예습 보다는 복습이 철저해야 하는 과목이라고 생각해요.
    고3때 인수분해도 잘 안되고 유리함수 무리함수 삼각함수 모르는 애들 많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5123 셀러브리티들의 별명 어떤게 있을까요? 4 기발 2011/03/02 406
625122 남편이 월급통장을 안주네요… 방법 좀… 17 뭐니 2011/03/02 2,272
625121 조용ㄱ ㅣ 목사.... 98 생명줄 2011/03/02 8,549
625120 급해서요..영작 하나 부탁드려요^^ 1 청우 2011/03/02 207
625119 친절한 정형외과 아세요?(광흥창,신촌,마포,공덕,이촌) bb 2011/03/02 450
625118 초등 아이옷 저렴하게 살수있는곳? 5 언니 2011/03/02 779
625117 연애상담) 3번째 데이트에 '만추'보기. 추천? 비추천?? 6 +_+ 2011/03/02 620
625116 과외하면서... 애들이란. 6 그냥... .. 2011/03/02 2,010
625115 일본 거래선 찾는데... 2 일본거래선 2011/03/02 374
625114 고3인 아들이 5살 차이나는 여자랑 사귀고 있다고 고백한다면 18 미성년자 2011/03/02 3,317
625113 남편이 행패를 부려요.. 12 답답해용.... 2011/03/02 1,958
625112 저,,, 돌잔치 너무 성의없는걸까요? 무플절망이예요..ㅠㅠ 17 돌잔치 2011/03/02 1,922
625111 마트 주차장에서 황당한 접촉사고 목격.. 5 ㅡㅡa 2011/03/02 1,514
625110 어린이가구 추천 초딩맘 2011/03/02 259
625109 이불도 삶을 수 있을까요? 3 이불 2011/03/02 545
625108 모네타를 사용하고 있는데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안되요 인터넷 가계.. 2011/03/02 99
625107 인버터에어컨 전기요금? 에어컨 2011/03/02 1,743
625106 학생 실내화를 드라이빙 슈즈로 .. 1 나도 2011/03/02 486
625105 아이가 눈이 너무 나쁜데요, 시력이 너무 나쁘면 시력 교정수술이 불가능 할수도 있나요? 6 걱정만 가득.. 2011/03/02 989
625104 아직 안주무시는 고등학생 학부모님 계신가요? 야자 식사문제요... 5 예비고1 2011/03/02 967
625103 40일된 아기가 울어요.. 10 .. 2011/03/02 987
625102 결국 2 ㅜㅜ 2011/03/02 406
625101 우리애는 왜 이럴까요? 5 왜그럴까요 2011/03/02 1,230
625100 북경 vs 상해, 마음대로 고른다면 어디서 살까요? 15 중국 2011/03/02 1,504
625099 CT촬영사진, 뇌졸증에 관해 6 조언간절 2011/03/02 685
625098 급질)낼 중학교 입학식인데 교복위에 점퍼 생각지도 못했어요 어째요ㅠㅠ 5 소심a형 맘.. 2011/03/02 1,053
625097 해법수학 레벨좀 추천부탁드려요 3 gkrtmq.. 2011/03/02 422
625096 세종대 야리꾸리한 오티 이거 무슨과인지.. 5 .. 2011/03/02 4,812
625095 팬덤............. 4 ㄱㄱ 2011/03/02 528
625094 낼 아이 처음 유치원 보내는 엄마예요..ㅠㅠ 14 엄마 2011/03/02 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