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식어버린 밥.. 어떤 방법으로 데우세요??

궁금 조회수 : 2,410
작성일 : 2011-03-25 23:35:38
저는 두가지 중 한가지 방법으로 밥을 해요

가스렌지에 올려놓는 실리트압력솥
or
전기밥솥... 쿠쿠같은 압력밥솥아니구요 그냥 밥(?) 되는 조지루쉬 보온밥솥이예요..

전기밥솥 보온기능하면 편하긴한테 밥맛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다음끼니 정도까지만 보온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 후엔 보온끄고 찬밥되죠...
실리트에 밥하면 당연 다음끼니에 찬밥 생기구요...

저는..
전자레인지 씁니다..
한공기에 1분정도 돌리면 딱 되거든요..
어쩌다 밥량 애매하게 모자라면 비상식 햇반도 돌려주고..

근데 요즘 읽는 책에서 전자레인지에 음식을 데우는 것에 데한 위험성을 새삼~ 지적하면서
이래도 되나 싶은 생각이 갑자기 팍~~~ 들어서요..

다들 밥 식으면 어떻게 데우세요..
베스트 방법 좀 찾고 싶습니다..
IP : 121.167.xxx.209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3.25 11:37 PM (1.176.xxx.186)

    저도 전자렌지에 데워요
    뭐 몸에 안좋니 어쩌니 해도 저같은 사람은 그냥 편한게 좋아서요

  • 2. 이런
    '11.3.25 11:42 PM (175.117.xxx.138)

    전,,무쇠냄비에 망을 깔고 밥을 찝니다..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하면서요,,밥도 촉촉하고.냄새도 안나고..

  • 3. 저도
    '11.3.25 11:43 PM (183.102.xxx.63)

    급하면 전자렌지에 데워요.
    그런데 먹는 사람에게 조금 미안하긴하죠^^

    저는 전기밥솥을 거의 쓰지않으니, 당연히 보온기능도 안쓰구요.
    쿠쿠, 비싼 돈 주고 왜 샀는지 모르겠습니다.

    찬밥.
    1. 스텐압력솥에 밥이 넉넉히 있을 때는, 그대로 뚜껑 닫아 약한 불에 데웁니다.
    이때 누룽지가 반드시 생기는데 누룽지는 끓여먹고
    밥은 밥대로 먹어요.
    2. 밥이 적게 남아있을 때는 스텐볼이나 사기그릇에 넣고
    중탕, 또는 만두 찌듯이 찝니다.
    습기 촉촉하긴한데.. 맛은 별로에요.
    맛은 1번이 더 좋아요.

  • 4. ..
    '11.3.25 11:50 PM (119.71.xxx.154)

    스텐압력솥에 밥하고, 데울땐 그냥 전기밥솥에 한공기넣고
    취사 잠깐 해놓고 먹어요. 전자렌지는 없어요

  • 5. 제경우에는..
    '11.3.26 12:00 AM (121.132.xxx.248)

    전기압력밥솥에 밥을 합니다.....
    밥이 다 되면 전원을 끄고 남은밥을 그대로 밥솥안에 둡니다......
    다시 먹을경우엔....
    보온만 5분~10분 정도 해주고 먹습니다.......

    저도 전자렌지가 찜찜해서 없애고....
    밥솥에 오래 보온된 밥냄새를 싫어해서 이렇게 하는데 나름 괘안아요~~~
    또 남으면 그때 보온만 잠깐해서 먹고.....
    밥솥안에 있는밥은 잘 쉬지도 않고.....^^

  • 6. ..
    '11.3.26 12:03 AM (114.36.xxx.87)

    재가열기능으로 데워먹어요..근데 그리 맛은 없다능..ㅎㅎ

  • 7. 전자렌지
    '11.3.26 12:24 AM (211.176.xxx.112)

    사람은 누구나 죽엇!!!!!...........
    이라는 셜록의 명대사를 곮씹으며...
    걍 전자렌지 돌려서 먹습니다.ㅎㅎㅎ

  • 8. ...
    '11.3.26 12:34 AM (220.88.xxx.219)

    전자렌지님 저도...

  • 9. 밥솥
    '11.3.26 12:48 AM (116.36.xxx.100)

    전자렌지가 없고 전기압력밥솥도 없어요.
    가스압력솥에 밥해서 스텐그릇에 넣어둬요.
    밥먹기 직전에 전기밥솥에 물 조금 붓고 밥이 든 스텐그릇을 넣은후 취사를 눌러요.
    조금 지나면 밥이 될듯이 맹렬하게 물 끓고 좀있다 보온으로 누른후 꺼내면
    금방한 밥같애요. 전 조금씩 해먹어서 그런지 시간도 무척 빨라요..

  • 10. ..
    '11.3.26 12:59 AM (58.233.xxx.111)

    냄비에 찝니다

  • 11. 스텐
    '11.3.26 3:01 AM (125.57.xxx.22)

    넓은 스텐솥에 물 바른 손으로 펴발라서 누룽지도 만들고 밥도 데워요.전자렌기는 노땡큐 !

  • 12. 저또한
    '11.3.26 10:01 AM (115.138.xxx.17)

    전자렌지에 데우긴 하는데 좀 걱정이 되긴 해요...그래서 요즘엔 되도록 밥을 좀 부족하다 싶을 만큼만 해서 남기지 않으려고 합니다~

  • 13. 저도
    '11.3.26 11:35 AM (220.86.xxx.233)

    전자렌지에 데워요. 집에서 밥먹는 일이 거의 없고 신혼이라 남편과 저 두식구 뿐이라 냉동시켜뒀다가 데워요.

  • 14. ..
    '11.3.26 12:50 PM (61.79.xxx.71)

    밥 양에 따라 달라요.
    적은 양이면 전자렌지에 돌려요.금방한거처럼 뜨끈하죠.
    또 밥 할때 남은밥이 소량 남았다면 쌀 위에 올려서 같이 밥해서 새밥처럼..
    그리고 보온밥솥 보온 기능에 의지하여 밥 넣고 보온 해두면 따끈하게 되어있죠.

  • 15. 울집은
    '11.3.27 10:03 PM (14.32.xxx.64)

    전자파때문에 전자렌지 좋지 않다고 해서 전자렌지 잘 안쓰공 걍 쿠첸밥솥의 재가열메뉴이용해서 밥 따숩게 해서 먹네요. 재가열로 해서 먹으면 김날정도로 따숩게 데워져서 좋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0951 생리 기간이 아닌데 피가 연하게 종종 비춰요 8 민망한 질문.. 2011/03/26 1,677
630950 잘 알지도 못 하는 사람 나쁜 사람 만들지 맙시다!! 7 한순간에 2011/03/26 1,031
630949 정희주씨 오늘 넘 이쁘더라구요.. 10 깜놀 2011/03/25 2,379
630948 이젠 정말 무서워집니다. 5 이런 2011/03/25 1,814
630947 영어 reading을 잘하는 법좀 알려주세요 7 .. 2011/03/25 1,253
630946 결혼 후 시어머니 첫생신인데요, 어떻게 하셨어요? 9 22 2011/03/25 1,126
630945 전세재계약을 하고 왔어요. 의정부주민 2011/03/25 481
630944 6세 아이... 뭐 하며 올 1년 보내면 보람찰까요~~ 2 6살 2011/03/25 423
630943 도저히 안되겠습니다...쇠고기요 14 그지패밀리 2011/03/25 1,664
630942 아이폰용 82쿡 앱에서 질문이요~~~ 2 궁금 2011/03/25 269
630941 H&M 세일 언제해요? ZARA랑 비슷한 시기에 하나요? 2 세일언제해용.. 2011/03/25 1,474
630940 깨어지고 새는 원전의 생생한 모습 공개! - 동영상 4 참맛 2011/03/25 807
630939 식어버린 밥.. 어떤 방법으로 데우세요?? 17 궁금 2011/03/25 2,410
630938 편의점 진상손님들 진짜 많네요 ㅋ 20 쫘증 2011/03/25 5,766
630937 냉장고 야채칸 야채가 자꾸 어는데.. 3 .. 2011/03/25 462
630936 이웃맘이 조언을 구해요.. 8 질문 2011/03/25 982
630935 이와중에.... 메롱 아직도 자기 사이트에서 버젓이 쿠키랑 파이 팔고 있네요 7 어이상실 2011/03/25 1,403
630934 요즘 러시앤캐쉬 광고 명계남씨 맞나요? 15 러시앤캐쉬 2011/03/25 2,288
630933 유방통증상 겪어보신분중.. 2 멍울은 아닌.. 2011/03/25 700
630932 오늘,,, 백새은은 어떻게 보셨나요? 20 베리떼 2011/03/25 4,716
630931 위대한탄생그리고청강,셰인 8 마음은18살.. 2011/03/25 2,502
630930 영어문장 궁금한것(기초) 8 프린세스 2011/03/25 392
630929 위탄 김윤아 조와 신승훈 조 다 좋았어요 7 탄생 2011/03/25 1,685
630928 위에 부담 적은 빈혈약 좀 추천해주세요 빈혈 2011/03/25 190
630927 엄기영 출생지 논란 하루만에..‘강원도 인제’로 통일 3 세우실 2011/03/25 419
630926 우리 집 김치가 어떤 상태인지 알려주세요.(무플 절망.. 도와주세요.ㅠ.ㅠ;) 3 김장김치 2011/03/25 458
630925 명박씨를 존경하며... 6 긴수염도사 2011/03/25 649
630924 후쿠시마 인근 토양오염이 체르노빌 20배라네요(냉무) 1 90 2011/03/25 408
630923 위탄재밌네요.. 그리고 신승훈씨 35 너무 좋은분.. 2011/03/25 7,075
630922 재태크 하시나요 ㅋㅋ큭 2011/03/25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