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어린이집에 자잘한 돈보낼때도 봉투에 넣어보냅니다.

... 조회수 : 1,887
작성일 : 2011-03-01 22:30:58
과외를 해봤어요.

정말 여러집을 다녔는데
봉투에 넣어서 주시면서 선생님 수고하셨습니다 하시는
부모님의 아이들은 대체적으로 예의바르고 공부도 잘했어요..


반면..날짜가 지나서 몇번 얘기해야 주시고 바로 앞에서 지갑열어 한손으로 꺼내
세어보세요 하고 건네는 집 아이들은 좀....

여튼 저의 경우는 그랬구요..

그래서 아이 어린이집에 보내는 자잘한 경비도 꼭 봉투에 넣어서 보내게 되더라구요.
여러의미가 있어요..
예의도 있고..나 이렇게 정확한 엄마다..깔끔하게 보낸다..내아이 잘부탁한다..뭐이런..




IP : 182.211.xxx.196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3.1 10:33 PM (59.27.xxx.211)

    봉투논란이 되나요?
    우리나라가 겉치례를 중시해서그런것같아요.

    뭐 서양 따라한다고 다 좋은건 아니지만 서양에선 튜터비 봉투에 넣어주면 왜넣어주냐면서 그 자리에서 꺼내서 확인하거든요.
    돈 액수때문이기도 하고, 실리적으로 사는 그네들 습성이기도하고.
    따지고보면 그 봉투 하나도 다 나무로 만드는거잖아요
    어떤 경우에는 쓸데없는 낭비 같기도 하고그래요.. 전..
    (근데 정작 저는 뒷말 도는거 무서워서 일주일마다 드리는 레슨비에도 봉투에 넣어서 드립니다..)

  • 2. .
    '11.3.1 10:34 PM (61.102.xxx.73)

    내 아이 잘 부탁한다... 까지는 아니었지만
    책값 천원을 드리더라도 봉투부터 챙기게 되기는 해요.^^

  • 3. .
    '11.3.1 10:34 PM (59.27.xxx.211)

    아 첫댓글인데 원글님이 겉치례만 중시한다고 하는 의미는 절대 아닙니다!!!
    오해마셔요 원글님 ^^
    우리나라 성향이 그렇다는거지..

  • 4. 그래서
    '11.3.1 10:36 PM (121.138.xxx.123)

    인터넷뱅킹 편하게 이용해요...
    봉투에 넣을필요도 없구요..

  • 5. ^^
    '11.3.1 10:38 PM (121.88.xxx.170)

    저도 봉투에 넣어서 보내지만 그냥 습관적이지
    내 아이 잘 부탁한다..그렇게 깊게는 생각 안해봤네요..;;

  • 6. ..
    '11.3.1 10:38 PM (58.141.xxx.204)

    저는 작은 사이즈 지퍼백에 넣어 보내요
    일부러 겉에서 보이게 투명 지퍼백에요
    이름을 써서 보내면
    선생님이 다시 가방에 넣어 되보내주시곤 하셨답니다.

  • 7. 아하~
    '11.3.1 10:39 PM (121.88.xxx.170)

    윗분 아이디어 참 좋네요^^

  • 8. 일종의 존중
    '11.3.1 10:40 PM (114.207.xxx.160)

    전 모든 종류의 허례허식을 싫어하지만, 돈은 통투에 넣어서 드립니다.
    허례허식차원이 아니라 존중인거 같아요.
    말은 입으로만 하는게 아닌 거 같아요, 얼마나 많은 비언어적 언어가 존재하는데요.
    그런 사소한 존중들이 상대의 마음에 얼마나 잔잔한 감동을 주는지,
    요즘엔 '리스펙트'란 책까지 나왔겠어요.

  • 9. ..
    '11.3.1 10:43 PM (121.186.xxx.219)

    봉투에 당연히 넣고
    바로 확인해보라고 얘기합니다
    그래야 서로 확실하지요
    보통은 계좌이체하지만요

  • 10. 봉투
    '11.3.1 10:43 PM (211.204.xxx.86)

    저도 누구에게든 봉투에 넣어서 드려요.
    도저히...돈을 그대로 남에게 줄 수 는 없답니다...저는 그래요...

  • 11. ...
    '11.3.1 10:46 PM (61.74.xxx.67)

    아..지퍼백도 있군요. ㅎㅎ 그 생각 못했네요.
    저도.. 어린이집에 보내는 사진값 같은 자잘한 것도 봉투에 넣어 보냅니다.
    당연한거죠. 하물며 어른들이 손주들 세뱃돈 줄때도 봉투에 넣어주지 않나요?
    내게 귀한 돈 남한테 줄때도 귀하게 보내야 받는 쪽에서도 감사히 받지 않을까요? 뭐든간에
    상대뿐 아니라 나 자신도 존중하고 배려하는 차원인것같아요.

  • 12. 초보사장
    '11.3.1 10:48 PM (121.137.xxx.136)

    그건...기본적인 예의지요...^^

  • 13. 저도
    '11.3.1 10:50 PM (121.134.xxx.59)

    생각해 보니 택배 아저씨랑 음식 배달 아저씨 뻬고는 다 봉투에 넣어서 드리네요
    그분들은 바로 돈을 세셔야 하니까...
    엄마집 일하러 오시는 아줌마는 부엌에 백화점 상품권 봉투가 있어요 일종의 지정 봉투죠
    여러 번써서 좀 헐은 것 같으면 바꾸시고 그 봉투는 재활용통으로 고고~
    저는 친구들과도 같이 돈 쓴 거 돌려주거나 받을 때도 미리 준비해 둔 돈일경우는 늘 봉투에 주게 되네요.. 그냥 습관이...

  • 14. 아무래도
    '11.3.1 10:58 PM (121.166.xxx.188)

    돈은 배달음식이나 택배처럼 바로 확인하는거 아니면 봉투에 담는데 아무래도 좋지요,
    그러나,,그게 아니라고 무식하고 못배워먹은건 아니에요,
    함부로 남한테 그런말을 할 자격은 그 어느 누구한테도 없어요,

  • 15. 저도 지퍼백^^
    '11.3.1 11:05 PM (218.48.xxx.191)

    저도 어린이집에 보내는 돈은 사진값등으로 동전이 많아서 지퍼백이용해요.
    겉에 네임펜으로 **반 아무개 라고 써서 보내지요 ^^
    동전이 빠지지 않아서 좋아요.

  • 16.
    '11.3.1 11:15 PM (121.139.xxx.252)

    어린이집에 돈 보낼때는 당연히 봉투 같은 걸 사용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어린아이가 무슨 지갑이 있는 것도 아니고 돈 간수를 잘 하는 것도 아니고,
    잃어버리지 않게 선생님께 잘 갖다 드려야 하니 당연히 봉투에 넣어 들려 보내죠.

    봉투에 넣어 드리는 걸 예의라고 생각하는 분위기기에 따르긴 하지만,
    사실 안 넣어 줘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고, 너무 지나치게 이런 걸로 따지는 사람들 융통성 없어 보입니다.

  • 17. 당연
    '11.3.1 11:40 PM (59.12.xxx.128)

    유치원에 사진 값이나 우유값 보낼때 당연히 봉투에 넣어보내요.
    봉투에 반 이름 어떤 돈인지 얼마인지
    다 적어서 입구 봉해서 아이 가방에 넣어주면 아이가 선생님 드려요.

  • 18. 맞아요..
    '11.3.2 7:13 AM (182.209.xxx.77)

    어린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예의도 예의지만,
    봉투에 안넣으시면 돈 흘리더라구요.
    지퍼백에 이름 써서 주시는 어머니 센스있어 보이시던데요. ^^

  • 19. ,,,
    '11.3.2 11:46 PM (61.101.xxx.62)

    지퍼백아이디어 좋네요.일단 여러번 사용가능하니.
    환경 문제를 생각해서라도 이제 꼭 필요한 경우 아닌 다음에는 봉투에 넣어야만 예의있는거다 이런식의 생각은 서로서로 양해하면서 좀 바뀌어야하지 않을까요?
    비닐 봉지 없애기 위해서 장바구니도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마당에.
    예의 챙기기위해 내가 사용하는 일년 십여장의 봉투는 별거 아니지만 그런식으로 너도 나도 사용하는 수없이 많은 봉투 만들기 위해서 베어나가는 나무도 엄청 날것 같은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9131 신사복 LG계열 상표가 무엇인가요? 4 브랜드 2010/10/25 477
589130 간장 돌게장....3살 아이가 먹어도 될까요? 6 간장게장 2010/10/25 1,599
589129 오늘 목욕탕에서.. 8 애혀... 2010/10/25 1,451
589128 세종시 분양때문에 갈등입니다. 4 행복하고파 2010/10/25 1,589
589127 주로 보온으로 사용할 밥솥 추천해주세요. 보온밥솥 2010/10/25 177
589126 기미.. 옅어지는 방법 없을까요? 4 우울 2010/10/25 1,402
589125 1억 집담보 융자.. 2 감사후에 기.. 2010/10/25 800
589124 서유럽 다녀오신 분들 환전 어떻게? 2 서유럽 2010/10/25 417
589123 저 오늘 날잡고 신랑한테 한소리 하려구요... 8 2010/10/25 1,178
589122 원룸에서는 밥상으로 어떤걸 사용하나요? 2 다과상? 2010/10/25 473
589121 존박첫광고...하나팔아줘야겠죠? 57 주책 2010/10/25 7,463
589120 가이타이너 압력솥 쓰시는 분들 정말 괜찮나요? 3 압력솥 2010/10/25 1,581
589119 요즘나오는 같은 23평이라도 아파트마다 크기가 다른가요? 5 친구네집들이.. 2010/10/25 1,217
589118 지금 밖에날씨 추운가요? 1 서울 2010/10/25 448
589117 급체를 한거 같은데 죽겠어요..살려주세요~ 14 살려주세요~.. 2010/10/25 1,316
589116 일요일밤에 mbc에서 하는 단막드라마요. 5 드라마 2010/10/25 603
589115 지겨워져요, 우희진이 홍과장 물고 늘어지는것, 김해숙씨 너무 설쳐대는것 22 인생은 아름.. 2010/10/25 2,435
589114 돌침대의 명품 귀족돌침대가 총판, 대리점, 판매점 사업자를 모집합니다 김선곤 2010/10/25 180
589113 미국에 계신 예비 시부모님께 뭘 보내드리면 좋아하실까요? 5 밍밍 2010/10/25 309
589112 욕망의 불꽃 재밌나요? 생각보다 화제네요..다시보고싶네요. 5 이민자 2010/10/25 1,298
589111 동향집 어떤가요? 7 이사 2010/10/25 1,801
589110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께 침대 놓아드리려는데..어떤게 좋을까요? 4 할머니 2010/10/25 405
589109 안방 변기에서 똑똑똑 하고 물떨어지는 소리가 들리는데 누수인가요?? 4 누수?? 2010/10/25 710
589108 남편이 저더러 살림잘한대요.. 그런데... 6 ** 2010/10/25 2,112
589107 등산화 추천 부탁드려요.. 8 운동부족녀 2010/10/25 730
589106 방 한쪽 벽만 도배... 7 도배 2010/10/25 979
589105 아파트 1층 승강기유지비.. @.@?? 16 엘리베이터 2010/10/25 2,096
589104 골반염에 대해서 아세요? 3 아파요 2010/10/25 855
589103 막스마라 롯데 본점이나 영등포 신세계에 입점되어 있나요? 1 코트고민 2010/10/25 619
589102 개인명의 말고는 통장을 못만들까요? 2 문의 합니다.. 2010/10/25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