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이사관련 궁금사항 몇자 적어봅니다. 답변 꼭 부탁 드릴께염~~~
제가 결혼하기 전까지 한집에서 쭈욱 한 30년 산 관계로
이사에 대해서 젬병입니다.
그래서 너무나도 어이없는 질문을 했을수도 있겠지만
넓으신 마음으로 이해해주시고 답 좀 부탁드립니다.
1. 제가 이사를 오전에 할거구요 지금 있는곳에 살 사람이 오후에 들어옵니다
이때 전세값을 어떻게 받나요? 그니까..전세금을 들어오는 사람한테 받는게 맞나요?
아니면 주인한테 이야길 해서 물어봐야 되나요? 우리가 들어가는 곳은 전날 이사를 가고
저희 이사가는날 전세금을 이체 받는걸로 알고 있는데..그렇다면은 우리집도 뒤에 오는 사람이
돈을 줘야 앞사람에 줄 수 있나요? 주인에게 물어보는거 실롄 아니겠죠?
2. 저희부부가 맞벌인 관계로 청소할 시간이 없어여. 그래서인데.. 포장이사를 하면은 뒷마무리는
해 준다고 들었어요. 씽크대라던가 거실쪽은 이사후 먼지를 청소해준다는 이야길 들었는데요..
들어갈 집에 전반적으로 청소를 하고자 한다면 언제쯤 청소업체를 불러서 해야 하는지요?
이사 가기전 청소를 말끔히 한 후 이삿짐을 넣는게 맞는지 아니면 이사후 물건들을 대충정리하고
청소를 싹하는게 맞는지 것두 궁금해요
3. 공과금을 정산하고 가야 될거 같은데..아파트 관리비(전기세)등은 관리실에 얘기해서 정산하면 될거 같고, 가스는 미리 예약을 하면 된다고 들었고요. 상하수도 요금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상수도 사업본부에 미리 얘기해서 우리 이사가는 날 얘기해주고 그날까지 계산해서 이사할 주소 알려주고 고지서 날리라고 하면 되나요?
4.그리고 마지막은요..이사 할려면 2주정도 남았는데요..뭘 정리하는게 효율적인가요? 제가 게으른 관계로 계절별로 옷정리도 못해놨네요 ^^;; 어떤걸 정리하고 준비하는게 좋은지요? 사실 이사래봤자 같은 아파트 단지에 다른 동으로 갈 뿐인데..짐도 안 많고요..그래도 이사 간다고 생각하니 뭐부터 해야할지 엄두나 안나고 그러네요
이사 고수님들 명쾌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육아&교육] 전집대여 3 2012-12-27
- [식당에가보니] 행주산성 오복탕으로 유.. 2012-08-17
- [요리물음표] 돼지고기 수육 맛나게 .. 10 2012-07-13
- [건강] 7살 남자아이 배가 아.. 5 2012-05-14
1. 도야엄마
'08.5.27 12:36 PM저하고 같은 상황이시네요~^^ 그래서 더 반갑다는...ㅎㅎㅎ
전, 1층에서 8층으로 이사가요~ 담주부터 공사 시작해서 담달에 이사간답니다~^^
1. 전세금은 들어오는 분한테 받는게 맞다네요. 저도 집주인한테 먼저 좀 줬으면 했는데, 부동산에서 뒤에 들어올 세입자한테 받는게 맞다고 했어요. 저희도 매매잔금 치뤄야해서 은행도움 먼저받고, 들어오는 세입자한테 받는대로 대출정리하려구요... 집주인께 물어본다고 실롄 아녜요~ 여유 있으시면 먼저 주시는분들도 있다고 들었으니깐요. ^^
2. 저도 청소 때문에 많이 알아봤어요~ 이사전에 청소해놓고 들어가는게 낫다고들 해서요. 일 잘하시는 아주머니 구해서 같이 청소하려구요. 저 혼자는 힘들고, 아주머니 몇분 쓰는것도 맘이 놓이질 않아서 제가 같이 하면 아무래도 낫지 않겠어요..?
3. 아파트면 상하수도 요금 관리비에 포함되어 나오지 않나요? 전 그렇게 알고 있는데.. 관리실에 문의해보세요~^^ 젤 정확할거에요~
4. 결혼한지 2년도 채 안 됐는데, 6개월 접어든 딸래미에, 뭐든 놓기만하면 제자리인 신랑때문에 정리할것도 너무 많아서 엄두가 안 나네요~^^ 틈틈이 창고며 선반들 정리합니다. 버려야 할것들 좀 정리하고, 아깝지만 안 쓰는것들도 나눠주고 그래요~ 신랑이 너무 무리한다며 이사갈때 한번에 버리라고 해서 그냥 모른척 놔둔 녀석들도 많네요~ㅎㅎ
이사간다고 생각하니, 맘이 붕~떠서, 집안일이 손에 잡히질 않아요~
냉장고 벌써부터 비운다고 장도 보기싫고, 청소도 대충대충~ 보이는데만 반짝반짝 윤 나네요~ㅋ
전, 이사고수는 아녜요..^^ 그저 반가운 맘에.. 이렇게...^^
이사 잘 하시구요, 저보다 먼저하시니 나중에 요령 알려주세용~~~2. 살림초보
'08.5.27 1:49 PM도야맘님 고맙습니다..정말 도움 많이 됐어요~~~
3. 아이스라떼
'08.5.27 5:22 PM첨 이사에 저도 어리벙벙 했던 기억이 ^^
1. 이사 들어올 사람에게 받는 것이 맞는데, 아마도 부동산에 주인이 앉아 있고 삼자 대면에서 주고 받고, 부동산에서 영수증 써주고.. 이렇게 해줄껍니다.
2. 청소를 미리 해놓고 가는 것이 훨~~씬 수월하죠. 미리 청소하거나 도배하기 위해 들어갈 집 보다 하루 늦게 들어가려고 돈 이리저리 땡겨서 전세금 처리하기도 해요.들어갈 집이 전날 나가면 님께선 훨씬 잘 되었네요. 그 전날 사람 불러서 미리 청소하세요. 가구 들어냈던 자리... 가전 들어낸 자리... 집 보러 갔을 때랑 비어있는 집은 많이 달라요.. 그리고 유리창도 미리 하시면 좋아요..
3. 상수도 요금이 관리비에 정산이 안되고 따로 고지서가 나오면(저희는 그랬어요) 상수도국 전화해서 해결하면 됩니다.
4. 요즘은 냉장고..가구 들어내면 위에 앉은 먼지 닦아주시구요(아주 먼지하나 없진 않지만)
냉장고는 아주머니가 선반 다 들어내서 주방세제로 닦아서 옮겼습니다.
서랍 정리(요건... 이사할 때 아님 잘 안하게 되서..)
버릴 것 철저하게 버리는 것만 하심 될 거 같아요.
이사 잘 하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