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벽걸이 텔레비젼 여쭤볼께요.
HD텔레비젼이 SD 보다 2배내지는 100만원정도 비싸더군요.
무슨 차이가 나는건가요? (화질의 차이겠죠????)
친구집에 갔을때 대형 티브가 화질이 안좋던데 그게
저희집 텔레비젼 많이 안보는편이라 별로 불편한건 없는데,
인테리어에(???) 지장이 있네요.
10여년이 지난 갑자기 고장난 티비를 버려야 하는데(수리비만 80만원이라네요. 브라운관이 나갔데요)
비워놓기도 좀 그렇네요.
에효 매장에 가서 직접 구매하곤했는데 , 한번 인터넷 주문하기 시작한후로
매장에 가지질 않네요.
자꾸 신세져서 죄송합니다....

- [요리물음표] 적포도주가 오래되면 상.. 2 2006-07-27
- [이런글 저런질문] 우리의 진정한 희망 5 2006-01-06
- [이런글 저런질문] 동대문시장에 갈려고요... 4 2005-06-25
- [건강] 용인 부근,,노인 골절.. 1 2008-04-06
1. 삼식맘
'06.7.14 4:25 PM틴틴경제] SD와 HD 뭐가 다른가요 [중앙일보]
표준화질(SD)이니 고화질(HD)이니 하는 말을 많이 쓰지만 이를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같은 HD급이라도 1080i도 있고 720p도 있습니다. 요즘은 풀HD라는 말도 나오니 갈수록 헷갈립니다. 간단히 정리해 볼까요?
디지털TV는 화소(픽셀) 하나 하나의 정보를 전송해 모자이크처럼 화면을 만듭니다. 화소가 많을수록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겠지요. 화소가 많은 것을 보통 '해상도가 높다'고 표현합니다. 720×480 해상도의 화면을 초당 60번씩 보여주는 것이 SD급입니다. 이를 480p라고 하는데요 DVD가 이 화질입니다. 영화가 1초에 정지사진 24장씩 연속으로 보여줘 움직이는 화면을 만드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HD급은 1920×1080 화면을 초당 30번씩 보여주는 1080i 방식과 720×480 화면을 초당 60번 보여주는 720p 방식이 있습니다. 다만 1080i 방식은 1초에 30번만 보여주면 화면이 깜빡이는 것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에 짝수 줄과 홀수 줄로 나눠 번갈아 화면을 만듭니다. 즉 화면의 절반씩을 바꾸는 대신 초당 60번 화면을 뿌려주는 것입니다. 이를 비월주사(인터레이즈.i) 방식이라 합니다. 전체 화면을 바꿔주는 것은 프로그레시브(p)라고 하지요. 풀HD는 1920×1080 화면을 1초에 60번 보여주는 1080p 방식을 말합니다.
요즘 나오는 HD TV는 보통 1366×768 또는 1024×768 패널을 사용합니다. 1080i 화면이 들어오면 반도체 칩을 통해 720p 신호로 바꿔서 보여주는 것이지요. 풀HD라고 광고하는 TV는 1920×1080 해상도를 갖고 있습니다. 1080i의 HD방송은 물론 1080p의 신호도 바로 표현할 수 있지요. 다만 요즘 나오는 HD 콘텐트는 1080p가 아직 없습니다. 블루레이니 HD DVD니 하는 차세대 저장매체가 나와야 풀HD 화면을 감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아날로그 TV는 해상도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525개의 가로줄을 반반씩 번갈아 초당 60번씩 보여주니 굳이 말하자면 480i 방식과 비슷하다고나 할까요? SD급의 선명도가 아날로그 TV의 두 배라거나 HD급은 SD급보다 네 배 선명하다는 등의 비교는 이 해상도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김창우 기자 [kcwsssk@joongang.co.kr]2. hyun
'06.7.14 5:02 PM감사합니다.
아직 아날로그적 사고고라 검색한다는 생각조차 못했네요,
님 덕분에 검색해보고 ,.무슨의미인지 확실히 알았네요.
세상엔 새로 알아야 되는게 왜이리 많아지는건가요.
다행인건 컴퓨터 검색하면 대충 흐름은 파악된다는거네요.
에구 검색먼저해보구 글 올릴걸 그랬네요.
고맙습니다.3. 삼식맘
'06.7.15 12:10 AM이따금씩 흔히들 올리는 질문 또 올리고 그러면 그건 좀 그렇지만 이렇게 저도 잠깐 알았다가 지나가는 것을 물으면 다시 한번 공부하는 느낌도 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