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드럼 세탁기(건조 가능)을 사는게 나을까요, 건조기를 사는 게 나을까요?

| 조회수 : 2,695 | 추천수 : 0
작성일 : 2006-07-11 16:11:57
안녕하세요, 요즘 이 문제 때문에 고민하다 결국 여러분들의 의견을 구하러 글 씁니다.

한 달 전부터 미국 사는 동생이 돌쟁이 조카애를 데리고 와 지내고 있어요.

그런데 계속 건조기를 사든지, 건조 기능이 있는 세탁기를 사라고 그러네요.

미국은 건조기를 많이들 쓰니까 그냥 물세탁하는 저희 세탁기(통돌이 10kg)가 많이 불편한가 봐요.

그리고 제가 고양이들을 키우는데 아무리 신경써서 빨아도 털이 붙어서 나오니까 눈치도 보이구요.

첨엔 그냥 생각해보자..그랬는데 요즘 햇빛 나는 날이 거의 없으니까 빨래하는 것도, 말리는 것도 큰 일이더군요.

거기다 미국서 가져온 조카애 옷은 건조기를 안 쓰니까 꼭 늘어난 옷처럼 되버려서 옷 입은 품이 웃겨졌어요.

전에 엄마도 동생네 갔다 오셔서 건조기 좋다고 그러시기도 했구..저도 수건이며 이불 빨아서 바로 쓸 수 있고 털이며 섬유 보푸라기 다 떨어져 나온다니까 솔깃하기도 하구요.

건조기에 넣으면 옷이 각이 잡혀 나온다나요. (과연...? ^^ )

그래 이것저것 알아보는데, 건조도 되는 드럼 세탁기를 살까, 도시가스용 가스 건조기를 살까 결정이 어렵네요.

세탁실에 도시가스 밸브가 나와 있어서 가스 건조기만 사자, 그랬다 물빨래 돌렸다 꺼내서 또 건조기 넣기 귀찮은데 한 번에 다 되는 드럼으로 하자, 왔다갔다 합니다.

댁에서 쓰고 계시거나 주위에서 보니 어떻더라, 하는 글 모두 환영입니다.

간단하게나마 리플 많이들 부탁드려요~

태풍 피해 없으시고 좋은 하루들 되세요...
비갠 풍경 (heliconn)

안녕하세요, 전 주부는 아니지만 집안 살림이나 요리,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아요. 예전 통신사 주부동호회들이 활동이 약해지면서 좋은 정보들을 찾기 어려웠..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델리바리
    '06.7.11 4:31 PM

    가스건조기로 사세요., 강력추천합니다.이삼일에 한번씩 건조기 돌리거든요. 가스비 그리 많이 부과되는것도 아니구요. 2천원인가 더 추가되요. 가스배관 공사를 해야하지만. 베란다에 연결되어있으시다면 가스연결료만 추가하면 됩니다. 건조하고 옷 바로 꺼내면 구김도 별로 없구요. 아이키울떈 정말 좋습니다.저희 시댁은 전기드럼세탁기거든요. 건조기능있지만. 일년에 몇번 쓸까말까합니다. 전기료 생각하셔서 잘 쓰지 않으시구요. 저희집에드럼세탁기에도 건조기능있는데. 안쓰게 됩니다. 제발 꼭 사세요.써바야 좋은줄압니다.저도 제주위에 맨날 사라사라하고 노래를 부르지만. 왜 좋은지를 모르세여.
    제가 집안일중에 제일 싫어하는일이 빨래널고 정리하는거였거든요, 그런 스트레스없어졌구요. 정 급할떄 바로바로 빨아 말릴수도 있고 이불빨래까지 다 됩니다.제일좋은건 이불빨래할때랑. 청바지빨때구요.울나라옷들은 좀 줄어드는옷도 있지만. 그거 감안해서 아이들옷도 좀 넉넉한 사이즈로 삽니다.

  • 2. 케로로
    '06.7.11 4:32 PM

    건조기가 나을거에요.저희형님도 미국서 장마철에 나와있을때 아주 괴로워 하더라구요.
    아이들이 많아서 빨래가 장난아닌데 집안에는 더 널어놓을곳도 없을지경이구요.
    결국엔 빨래만해서 저희집와서 말려가고 그랬죠.또 건조기 쓰면 옷이 짱짱하게 돌아오거든요.
    세탁실에 밸브까지 달려있나요?건조기 놓을자리는 있으신지...또 일반 호스관으로는 3미터밖에 안돼요.
    호스연결하는곳이 한쪽으로 치우쳐있어서 저희도 겨우 3미터로 호스만 연결했어요.비용얼마 안들구요.
    또 연통 꺼내놔야하니까 창문쪽으로 연통뺄수있어야하구요.연통이 아주 구불구불하게 길면 설치하기 좀 그렇구요.각잡혀 나오지는 않아요^^ 한번 돌리면 도대체 어디서 먼지가 그렇게 많이나오는지 모르겠어요
    위치잘보시고 공간이 넓어도 애매한곳이 있더라구요.

  • 3. 낮은창
    '06.7.11 4:39 PM

    저는 건조겸용 트롬쓰는데 요즘 같은 때엔 거의 매일 건조까지 돌리게 됩니다.
    전기세는 별로 신경쓰이지 않을 정도던데요.
    일주일에 평균 3~4, 많을 땐 5~6번은 건조기능을 쓰는데 저희 집 전기 300KW 에 못미칩니다.
    260~280 정도밖에 안 나와요.
    그런데 한가지 감안하셔야할 점은...
    윗분 말씀대로 줄어드는 느낌,
    또 구김과는 다른, 뭔가 어쩐지 뒤틀리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다는 겁니다.
    그래도 전 건조!! 계속 돌리렵니다. 쭈우욱~~~

  • 4. wealex
    '06.7.11 4:56 PM

    저는 가스건조기 쓰고있는데요... 건조기 없인 못살것 같애요~ ^.^
    와이셔츠나 남방 칼라부분 아니면 다림질 안해도 되구요.

    동생네는 건조기능있는 트롬 쓰고있는데. 저희거 보다 건조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고 하더군요. 구김도 많이 가구요.(세탁용량보다 건조용량이 작아서 그런것 같애요)
    또 건조하는 동안엔 세탁기를 못쓰니, 흰옷, 색깔옷 두번 돌리려면 시간 무지 걸린다고... 가스건조기가 더 나은것 같다고 하더군요.

    윗분들 말씀대로 옷은 줄어요. 미국 살적에 샀던 옷들은 안그런데, 한국옷들은 꽤 줄더군요. 그래서 아이옷은 아예 한치수 큰 걸로 사요...
    제가 아는 언니는 약간 덜마른 상태일때 꺼내서 건조대에 널더군요. 그러면 줄지 않는대요. 전 귀찮아서 그냥 줄여입습니다.

    참, 가스건조기는 연통이 따로 있는데요...
    저는 벽을 뚫어서 거기에 아예 꽂아놓고 씁니다.
    빨래 돌릴적마다 건조기도 돌리다 보니(일주일에 4-6번), 베란다 문 열었다 닫았다 하기도 귀찮고, 비오는 날, 추운 겨울엔 열어놓기도 그래서요.

  • 5. 이빠진 동그라미
    '06.7.11 6:43 PM

    가스건조기 왕추천이요.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해본 바로는 가스건조기가 의류 구김이 훨씬 덜 가더라구요.
    그리고 전기세도 걱정되어 에어컨 틀때에는 사용을 못하니 세탁기 틀때에는 에어컨을 끄게 되어
    아무때나 세탁할 수도 없구요.
    가스건조기는 생활비에 부담이 될 정도로 나오진 않더라구요.
    그리고 이불같은 것을 건조시켰을 때 울나라(전 트롬사용하고 있어요)것은 조금 축축한 느낌이
    나는데, 가스건조기는 아주 부숭부숭...햇빛이 쨍쨍한날 말린듯한 그런 느낌이 나더군요.
    의류 수축은 양쪽 모두 있구요.

  • 6. 순덕이
    '06.7.12 12:14 AM

    저도 가스건조기 생각하며 알아보고 있는데요 린나이랑 월풀이랑 어느 것이 좋을까요.위에 분들 제품명도 추천해 주세요.

  • 7. 승수맘
    '06.7.12 2:08 AM

    저는 린** 쓰고 있어요. 10년째 고장없이 쓰고 았어요. 위에 쓰신 분들 이야기 다 맞아요.한국옷은 줄어들어요. 이태원이나 동대문 보세만 되어도 잘안줄어요. 저희 거는 용량이 작아서 드럼세탁기 위에 설치 가능해서 공간활용에 아주 좋아요. 저는 이불을 차렵이불까지만 넣고 건조해요.겨울이불은 커버만 벗겨서 빠니까 용량이 작아서 이불을 못말리신다는분 어떤 이불을 말씀하시는 건지 궁금해요. 참고로 저는 예전에 미국에서 아파트 공동 월*건조기 써보았는데 용량이 커서 좋은만큼 자리도 많이 차지 해요. 한국 가정에는 린**도 꽤 좋은것 같아요.

  • 8. 달구네
    '06.7.12 8:49 AM

    그런데, 옷이 주는 정도가 어느정도 인가요? 예를 들어 청바지나 면티 같은거, 다시 못입을 정도로 준다면 좀 곤란하잖아요.. 저는 미국서 사온 옷이 하나두 없구.. 다 한국서 산거라... 면으로 된건 몽땅 줄면 어쩌나 해서요.. 글고 면으로 된 속옷도 주나요?? 팬티 줄면 안되는디..*^^*

  • 9. 승수맘
    '06.7.12 10:19 AM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아이들팬티는 2치수 큰 거 사도 되요. 면이 얇아서 더 잘 주는 것 같구요. 청바지도 자꾸 건조 하다보면 주는거지 한번에 왕창 줄지는 않아요.수건도 양 끝에 줄같은 거 있는부분이 조금 줄지만 제 생각엔 이런 부분은 쓰면서 조율이 가능하구 아이들 키우는 분들 꼭 사시라고 권하고 싶어요. 겨울에는 건조기에서 먼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집안에 굴러다니는 먼지도 없어져요. 제가 써보니 아이들 팬티가 가장 많이 줄은것 같아요.

  • 10.
    '06.7.12 8:59 PM

    가스건조기 강추. 겸용은 하나고장나면 둘다못씀. 가장 많이 줄어드는건 양말인듯,
    그러나 못신을 정도는 아님니다.

  • 11. 샬라라공주
    '06.7.12 9:32 PM

    월풀건조기 정말 강추인거 있쪄~??
    저 친정서 3일동안 사용했는데 너무 좋더라고여..
    가스라서인지 부담도 없고 옷감도 안상하고 여유만 있음 정말 지르고 싶었답니다.

  • 12. 비갠 풍경
    '06.7.15 4:07 PM

    친절하고 상세한 답글들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어요. 가스 건조기로 사야겠어요. 국산 5kg 짜리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즐거운 주말, 연휴 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7481 스팀 싸이킹 2 초보주부 2006.07.12 804 0
17480 제빵기 쓰기 편하고 1 아이사랑 2006.07.12 1,117 10
17479 베비로즈님 출연한 ebs프로그램 1,2부를 다시보고 싶은데 3 황정옥 2006.07.12 2,316 42
17478 웍 어디것이 쓰기 좋나요? 3 요리잘하고픈 2006.07.12 1,275 0
17477 흰색 쫄나시티가 누래졌어요.. 3 봄날 2006.07.12 1,724 72
17476 아 돌겠습니다. 1 나도석류를좋아해 2006.07.12 1,046 0
17475 타파 쌀통말인데요~~ 8 모찌엄마 2006.07.12 2,839 1
17474 바닥이 올록볼록한 후라이팬과 매끈한 후라이팬 5 jlife7201 2006.07.12 1,867 0
17473 후라이팬 사이즈 및 4 jlife7201 2006.07.12 2,707 10
17472 씽크대 물때 청소 어케? 3 가을바람 2006.07.11 2,247 21
17471 가스건조기 질문요.... 5 도들이 2006.07.11 1,711 0
17470 극세사침구 어디서 사나요? 7 이상옥 2006.07.11 1,155 0
17469 이사청소업체, 레브릭 소파청소업체 정하기가 넘 어렵네요. 그린그린 2006.07.11 1,153 3
17468 제주도에서 전통바느질(미싱)으로 배우는곳 없을까요? 1 피노키오 2006.07.11 1,587 4
17467 누래진 흰색 옷 다시 하얗게 하려면? 3 여의주 2006.07.11 6,954 0
17466 압력솥고무패킹 1 지니맘 2006.07.11 1,596 37
17465 무쇠솥 길들이기 대행해주는 곳 있나요?ㅠㅜ 5 영아야 2006.07.11 2,479 2
17464 드럼 세탁기(건조 가능)을 사는게 나을까요, 건조기를 사는 게 나을까요? 12 비갠 풍경 2006.07.11 2,695 0
17463 개수대 아래 씽크공가 활용 하시나요? 5 창균맘 2006.07.11 1,480 1
17462 에어컨 구입 도와주세요~ 휘센? 하우젠?? 4 2% 2006.07.11 1,883 37
17461 씽크대 거름망 청소는 어떻게해요? 8 쿨핑크 2006.07.11 2,275 0
17460 서랍안에 놓는 칼꽂이 1 유나seven 2006.07.11 1,195 0
17459 베란다 조립식 마루 문의 3 주씨 2006.07.11 2,059 11
17458 롯데백화점 할인쿠폰은 어디서 출력하나요? 3 오렌지 2006.07.11 2,094 4
17457 독일에서 오는 남동생에게 뭘 사오라 시킬까요? 49 망구 2006.07.11 1,292 0
17456 중고로 가전 사신 분들 배송은 어찌하셨나요...? (특히 식기세척기요) 3 가가멜 2006.07.11 1,458 0
17455 식기세척기 냄새 4 realolivia 2006.07.11 3,883 0
17454 크룹스 토스터기 어떤가요? 3 빨강물고기 2006.07.11 1,137 0
17453 알려주세요. 1 아리스 2006.07.11 758 48
17452 순면침구...구김 많이 가나요? 이뿌징^^ 2006.07.11 947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