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전기오븐레인지는 과연 어떨까요
물론 가격은 많이 차이나지만서두요
근데 점원언니 날이 전기요금이 현재보다 5배정도는 생각해야한다네요
쓰고 계신분들 좀 알려주세요
글구 어떤 제품이 좋은지두요
- [요리물음표] 치킨브로스 2 2006-12-25
- [요리물음표] 막걸리식초 보관 1 2006-08-22
- [뷰티] 이니스프리 7 2006-11-01
- [이런글 저런질문] 아들의 무릎 7 2006-02-15
1. J
'05.9.26 8:21 PM그 점원이 파는 제품이 전기를 몹시 많이 먹는 제품이었던가보네요. ^^
전기렌지에는 상상이상으로 종류가 많답니다.
겉으론 비슷해 보여도 이름도 다르고 방식도 다르고 화력도, 전기료도 다 달라요.
저도 할로겐 렌지 2구 썼더니 월전기료 7만원 더 나오더라는 이야기 들어본 적도 있네요.
할로겐렌지는 화력도 안 좋으면서 전기도 많이 먹는 편이거든요.
제품 자체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지만요.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대체적으로 가격이 높은 제품들이 열효율도 좋고 전기료도 그다지 많이 나가지 않더군요.
다만, 그 높은 가격이 제일 큰 문제점이지만요.^^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어쩔수 없이 가격이 많이 높지요)
그리고, 전기렌지 쓰시려면 전기렌지의 특성과 장단점을 먼저 파악하시는 것이 순서예요.
현재 어떤 조리용기들을 쓰시는지 모르지만... 개중에는 전기렌지에 적합하지 않은 류들도 있고
인덕션 같은 것은 그릇을 정말 심하게 가리거든요 (아마 인덕션은 아닐 것 같습니다만.....)
아직 사용자도 절대적으로 적고, 따라서 사용후기 등도 쉽게 볼 수 없는 제품이니만큼...
좀더 많이 알아보시는 과정이 필요하실거예요.2. 박은희
'05.9.26 8:33 PM제가 지금 전기렌지를 사용하고 있어요. 전기렌지, 전기오븐 사용하기 전 물론 여름철 에어컨 성수기를 제외한 시기를 고려해 볼 때, 대략 275-298kw를 사용하던 저희집이 전기렌지 , 전기오븐 사용하면서 평균 310kw정도 나오더군요. 전기오븐(솔라돔)은 일주일에 두 번 정도 사용하고, 전기렌지는 기존에 쓰던 가스렌지 만큼 사용하고 있어요. 참고로 저는 하이라이트 전기렌지를 사용하죠. 그런데 그 점원이 판매하는 전기렌지가 하이라이트는 아닌 것 같아요, 아니면 300kw이상 전기를 사용하던 집은 전기렌지를 사용하면 전기료가 누진세 적용으로 많이 나온다는 설명 아닐까요? 저도 전기렌지 구입 전 전기료 때문에 고민했지만 건강을 위해서 과감히 투자하기로 했죠, 그리고 지금은 매우 여러가지 면에서 만족하고 있어요
3. J
'05.9.26 10:23 PM인덕션이나 하일라이트 렌지 정도는 가스에 비해서도 화력이 전혀 약하지 않아요.
인덕션의 경우 국산제품은 출력이 좀 약하게 제작해서 그렇지...
2300W급이 가정용으로도 출시되는 중국에서는 웍도 인덕션으로 요리할 정도인걸요(중국요리 엄청 고열에 하는 것 아시죠)
물론, 웍에 사용하는 인덕션은 열판 모양이 웍이 쏙 들어가게끔 생긴 모양이라고 하더군요.
하일라이트렌지는 최대온도가 700도 정도라...튀김요리까지도 무난히 가능합니다.
다만, 제가 느끼는 느낌으로는 다른 요리할 때에는 전혀 화력이 약한 것을 못 느끼고 오히려 세다고까지 느끼는데...
국물을 끓일 때에는 일단 끓기까지의 시간이 가스에비해 조금은 더뎌요.
국물을 많이 끓이는 요리 이외에는 가스보다 약해서 불편한 점은 없어요.
단점은 그게 아니라... 갑자기 불을 줄이는 것이 사실상 안되기 때문에... 냄비를 들거나 옆으로 밀었다 제제자리에 놓았다 하면서 써야 한다는 점 정도예요.
하지만...그것도 삼발이 위에서가 아니라...평평한 면 위에서기 때문에 별로 불편할 것은 없지만요.
잠깐 가스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우리가 보통 쓰는 가스렌지 불꽃의 온도가 800-1200도이지만, 사실 1200도까지 매번 온도를 올려 쓸 필요는 없고
(고열, 고압은 음식의 본래 맛과 영양을 많이 빼앗아가니까 너무 센 불은 좋지 않아요)
그렇게 센 불로 주로 요리한다면... 불완전연소되는 가스가 집안 공기를 오염시키는 아주 큰 부작용이 있다는 것도 나쁜 점이지요.
다만, 같은 전기렌지중에서도 핫플레이트나 할로겐은 최고온도가 300-500도 정도밖에 되지 않아 성질급한 사람은 정말 못 쓰죠.
이쁜주니님께서 써보신 건 아나 할로겐이나...그보다 조금 나은 패스트라이트 정도가 아니었을까 해요.
할로겐에는 라면 하나만 끓이려 해도 꽤 많은 인내심을(^^;;) 요하거든요.
뭐, 그보다도 화력이 약한 핫 플레이트는 말할 것도 없지만요.4. 꾸미
'05.9.26 10:25 PM어떤걸 사시려는지 모르겠지만 미국에서 살 때 거긴 다 전원이 전기더군요. 화력도 우리나라 가스렌지보다 세고 온도 조절도 더 쉽고 편하기는 한데 우리나라 요리법이 웬만한건 은근히 끓이는게 많잖아요. 지금 사시는 곳이 한국이라면 전기료 만만치 많을겁니다. 아주 커다란 티비, 냉장고, 김치냉장고 시판중인 용량중 제일 큰거라서 그런지 매달 300w넘고 이번달은 522w네요. 지난달 에어콘때문인지...
이건 사족인데 잡지 같은데 생활의 지혜랍시고 찻물은 음식조리한 뒤 그 예열로 뎁히라고 나와있잖아요. 우리나라 가스렌지로 아무리 장시간 사골국물을 우려도 그 예열로 찻물뎁혀지지 않잖아요. 그게 뭔말인가 했더니 전기로 된건 예열로 차마실 물이 뎁혀지더라구요.
전기스토브 쓰는 외국 기사를 드대로 옮긴거더군요.5. 한광자
'05.9.26 11:14 PM정말 여러가지 의견 고맙습니다
그래두 망설여지네요 저는 하이라이트를 보았거든요
근데 냄비를 얾겨야한다니 그겅 또 고려 대상인데요6. 한광자
'05.9.26 11:18 PM그리구 죄송한데요 상판의 긁힘 같은건 괜찬은가요
또 둑배기 같은것두 올려놔두 괜찬은지요 좀 고가라 많이 알아보구 싶어요
맘은 이미 많이 기울었지만서두요7. J
'05.9.26 11:27 PM냄비를 옮긴다는 게...가스렌지 위에서처럼 생각하시면 안되고요.... ^^
그냥 스윽 가볍게 옆으로 잠시 밀어두었다가..다시 제자리로 당겼다가.....하는 식으로 요령껏 사용하실 수 있다는 거예요.
매번 꼭 그러셔야 한다는 뜻도 아니고요.... (무슨 뜻인지 제가 이해하시기 어렵게 썼는지... ^^;;)
즉, 가스렌지 불꽃을 줄이듯이 갑자기 열판시 확 식을 수가 없기 때문에... (꺼도 여열이 20분 정도는 가거든요)
대신에 그릇을 열원으로부터 잠시 떨어뜨려주는 동작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뜻이랍니다.
그냥 놔 두어도 상관 없지만...음식이 넘거나 타거나...할 수 있지요.
(글로만 설명드리려니 좀 답답하네요. ^^ 암튼, 가스렌지보다 불편하다는 뜻 아닙니다.
삼발이 같은 것이 없고 표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엄처 편하죠. 닦기도 정말 쉽고요)
상판은 대부분 세라빅 글라스라서 웬만한 충격에는 잘 긁히지 않아요.
쇠수세미로 박박 닦아도 반짝반짝할 정도로 내구성이 아주 좋지요...
하지만 그것도 다 사용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가정용으로 조심조심 나 혼자 사용하는 렌지는 깨끗한데.....
공용으로 마구 다루는 곳을 가 보면... 그 강하고 이쁜 상판이 아주 엉망이더라고요.....
전 세라믹 상판은 흠집이 전혀 안 생기는 줄 알았는데 그걸 보고... 쓰기 나름이라는 것 알았어요.
그리고...뚝배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실 수 없어요.
그릇 바닥에 요철이 있으면 열효율이 몹시 떨어지기 때문에....
바닥이 매우 평평하여 밀착이 잘 되는 냄비나 팬을 사용하셔야 한답니다.
뚝배기 중에 전기렌지용으로 일부터 바닥을 매끈하고 평평하게 만든 것이 있다면 모를까.... 일반적으로 뚝배기는 전기렌지용으로 적합하지 않답니다.
마찬가지 이야기로...직화를 써야 하는 삼겹살판이나 불고기판 등의 도구도 사용할 수 없답니다.
그릇의 재질은 불에만 견딜 수 있다면 가리지 않지만...바닥 모양이 관건인 것이죠.
또... 윗면은 넓고 바닥이 좁은 웍 모양의 그릇이 가스렌지에서보다는 열효율이 떨어지는 것도 미리 알아두세요.
전기렌지에서 쓰기에 적합한 냄비는 바닥지름이 전기렌지 발열부분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에,
윗쪽으로 벌어지지 않는 모양일 때가 가장 좋답니다. ^^8. J
'05.9.26 11:34 PM그리고, 보신 제품이 하일라이트 렌지였는데 그게 전기를 5배 더 먹는다고 판매원이 말했다면.... ^^
둘 중 하납니다.
하일라이트가 아닌데 하일라이트라고 거짓말 한 것이거나...(이런 경우 실제로 있다고 하네요)
아니면...그 판매원이 제품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이거나요.(교육의 부족일 수도.......)
하일라이트는 웬만해서는 전기가 더 나오는 것 표나는 집 거의 없는 것으로 알거든요.
뭐..... 오븐 일체형인 경우 오븐을 매일 몇 시간씩 돌린다면야....전기료 꽤 나오겠죠.
하지만...쿡탑사용만으로는 전기료 변동되는것 아마 크게 못 느끼실거예요.
쿡탑은 조리하는 내내(스튀치를 켜 둔 내내) 전기를 먹지 않거든요.
잘 관찰하면...실제로 전기를 먹는 시간은 전체 조리시간의 3분의 1도 채 안된답니다.
쿡탑을 주로 사용하실 거라면 전기료 거의 신경 안 쓰셔도 되고요...... (굳이 따진다면 만원 내외)
하루도 쉼 없이 매일매일 모든 요리를 오븐으로 하실 정도로 오븐 사용이 많다면 아무래도 전기료 20000-30000원 내외는 더 내실 생각 하시는 것이 맞을 거예요.9. 한광자
'05.9.26 11:46 PMJ님 정말 고마워요 전기료는 걱정 안할래요
그럼요 ^^* 그냥 질문인데요 어떤 제품을 쓰고 계시나요 참고하게요
백화점에는 헬러나 엘바 정도가 있더라구요 근데 아는 분이 이태리 직수입이라구 좀 쎄긴한데 그걸 사라네요 그래두 괜찮을지요 혹 a/s땜에요10. 한결
'05.9.27 4:48 PM저 seppelfricke 오븐만 전기- 쓰는데 a/s골치죠
11. 캔디
'05.9.27 10:18 PM헬* 쓰고 있거든요.전기료 신경쓰일 정도는 아니구요. 생선 굽는게 바삭하게 궈지지않아서(찜처럼 보여서..) 고민중!! 님들은 어찌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