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물음표
살림살이에 대한 모든 궁금증,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전기세,가스비 어떻게 절약 하시나요?
뭐 다들 아시는 내용이지만..
저희집에 있는 가전제품들을 살펴보니
지펠 686리터 냉장고
트롬 12키로 건조겸용(냉.온수 겸용)세탁기
드롱기 오븐.대우 전자레인지(토스트 겸용으로 무지 커요..)
34인치 아남 텔레비젼(일반 구형 모델이요..그냥 완전평명 아날로그)
공기 청정기 1대
스카리 라이프 위성수신기
17인치 LCD모니터와 컴퓨터
이렇게는 거의 매일 혹은 자주쓰는 전자제품이구요..
가끔(일주일에 한번)테팔 스팀 다리미 한시간 정도 쓰고
세탁기는 한달에 두번정도 건조까지 합니다.
아직 애가 어리고 건조겸용 세탁기의 경우 한달에 한번씩은 써줘야
고장이 없다고 해서요..^^
남들 다 있는 김치냉장고 아직 없구요..
전기밥솥 없습니다. 오로지 가스불로 압력솥에 밥하구요..
지난해 9월부터 지난달까지 평균 전기세가 15000원정도 나오네요.
컴퓨터는 제가 조그만 쇼핑몰을 하는지라 거의 하루 종일 켜놓습니다.
하루에 15시간 컴텨를 켜놓는것 같네요.
작년 이사오면서부터 플러그를 이마트에서 온오프 있는 걸로 죄다 바꿔서
텔레비젼이나 공기청정기 전자렌지 등등..그때그때 쓰는것들은
전원끄면 자동으로 플러그도 off로 해놓구요..
가스 보일러도 낮에 안돌릴때는 아예 꺼놓습니다.
단 제가 어둠을 싫어하는지라..거실과 방엔 무지 밝게 형광등 큼직한거 두개짜리
등을 켜놓구요..
세탁은 일주일에 한두번 몰아서 돌립니다.
용량 큰거 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나름대로 전기세는 쓰는것 만큼 많이 나오는거 같지 않는데
가스비는 엄청 나오네요.
애기때문에 온수를 많이 써서 그런지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세식구에 15만원씩 나옵니다.
그렇다고 온수를 펑펑 쓰는것도 아니고 실내가 따뜻한 것도 아닌데..
아무래도 아파트가 낡아서(14년된 아파트)배관에 문제가 있는것 같기도 하네요.
어떤분들은 온수를 되도록 안쓰면 가스비 덜 나온다고 하는데..
매번 온수 쓸때마다 물을 가스로 뎁혀 쓸수도 없고..
가스비를 효과적으로 절약할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어디서 들은 얘긴데 가스 중간 밸브를 반반 열어놓으면
가스비가 30프로 정도 덜 나온다는데...
그렇게 하면 또 위험하다는 말도 있고, 근거 없다는 말도 있구요
- [리빙데코] 제가 만든 퀼트 핀쿠션.. 11 2012-02-14
- [키친토크] 엄마한테 배운 서울식 .. 12 2006-11-09
- [이런글 저런질문] 둘째때문에 고민이에요... 9 2005-04-07
- [줌인줌아웃] 때순이 민지에요^^ 4 2005-03-11
1. 헤스티아
'05.3.8 12:14 AM헉 저희는 전기 8만원, 난방 6만원 그랬는데.. 전기요금 절약 캠페인중입니다...-.-;;
2. 빠끄미
'05.3.8 12:36 AM저흰..전기요금..기본..60,000원입니다..ㅠㅠ 이유를 모르겠어요...
하루종일 티비랑 컴 켜두는 엄마네도 저희보다 적게나오던데.... 음..냉장고를 의심하고 있습니다...
냉장고가 오래되면 전기값이 많이 나온다죠?만8년됐거든요... 이참에 바꿀까요?^^3. 혁이맘
'05.3.8 12:45 AM헉...그래요...냉장고가 오래되면 그렇데요?
저희도 바꿀때가 되었는데 그런가 저희도 한 5만원은 나와요..
좀 많이 나오는가 싶기도 하고..4. 민지맘
'05.3.8 12:52 AM냉장고 확실히 오래되면 전기세 엄청 나와요..
제가 엄마랑 같이 살때 처음 나온 지펠 양문형 656리터가 전력소비가
79키로 와트 정도 됬거든요.
작년 이사오면서 새로 구입한 지펠은 최저 에너지 소비형으로
용량은 엄마것보다 큰데..686리터 전력 소비는 거의 반 수준인
42키로와트입니다..
그러고보니 저희집 전기세가 적게 나오는 이유가 작년 살림나면서
거의다 가전 제품을 새로 갈아서 그런게 아닌가 싶어요..
드럼 세탁기도 예전 모델보다 요즘 나오는것이 훨씬 전기세 덜 나온다고 그러거든요.5. 주니^^
'05.3.8 3:58 AM전기세는 확실히 적게 나오신다.저희집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삼마넌돈나와요....미쳐요..왤케 많이 나오는지.....가스비가 좀 많이 나오시긴해도.....저희도 두식구인데 거의 12만원나오던데요??일단 기본요금이 많이 올랐습니다. 가스고지서 보면 전년동월..이렇게 쓴게 나오는데요..작년보다 덜썼음에도 불구 하고 더 많이 나온다는건..일단 기본요금이 엄청올랐단 거죠....
온수를 많이 쓰면 많이 나오긴 한다는데요.....~~6. 정경숙
'05.3.8 6:28 AM우리집은 전번달에 가스비 50,000원 나왔습니다. 32평이구요.
절약비법은요 잘때도 솜이불 두꺼운것 덮고,거실에서도 파카등 중무장하고
지내죠. 그런데 이방법이 건강에도 좋은가봐요 작년부터 실시했는데 가족들
모두 감기한번 걸리지 않더라구요.
하지만 온수는 풍족하게 사용하는편이구요.
전기요금은 23,000원정도 전기제품은 남들 있는것은 모두 사용하고 있고
아! 저는 세탁기 사용안합니다 탈수만 이용하구요. 그런데 저희 부부가
얼마전부터 상당히 절약하며 생활하거든요. 신기하게도 아이가 화장실에
들어갈때 불을 켜지 않고 사용하더라구요. 전기세 많이 나온다고,소변도
3-4번정도 보아야 물을 내리더라구요.
이렇게 살아서 적게 나오는걸까요..,7. 정빈화이팅
'05.3.8 9:37 AM저는요~ 전번달 전기세 10마넌 나와서 울상입니다..지금 냉장고 보니 지펠 753L에 85키로와트,오래된 식기세척기(6인용 LG ),김치냉장고,구형 드럼세탁기(6.5키로짜리)모두가 의심스럽네요~아휴~세식구에 전기세 10만원이면 심한거죠?? 그래서 일단 식기세척기 사용은 자제합니다만 다른건 어케해야할지...ㅠ.ㅠ
8. thecello
'05.3.8 9:48 AM온수사용할때 미지근한 물이나, 최고로 뜨거운 물이나 가스는 똑같이 들어간다더라구요.
그래서, 최고 뜨거운 물 나오게 틀어 놓고 찬물이랑 섞어 쓰는게 좀 아끼는 방법이라고...9. 하늘아래
'05.3.8 10:04 AM허걱!!O,O:
반송중임미다..ㅠ.ㅠ;
저흰 9~10마넌 훌쩍 넘어서 나와요....전기세가..
여름에 에어컨켤때두 5`6마넌이었는데..
옥매트 세개 틀구 세척기 매일 돌리고 김치냉장고 182L빵빵하게 돌고
676L양문지펠냉장고에 공기청정기 컴텨는 거의 24시간
전기주전자에 테팔찜기 거의 매일쓰죠~~
전자렌지에다가 환풍기 그리고 드라이기/ 티비 /전등 방마다
세탁기 12키로 2일에 한번씩
비데에 /전기 칫솔살균기 /헤어드라이기 그리고 딸때문에 헤어매직기
다리미/유무선 전화기 /튀김기/테팔그릴/.......................
오늘 헤아려보니 장난아니게 전기 많이 쓰네요...
그렇다고 줄일수있는게 있는것도 아니고
전 그냥 편한만큼 돈 나간다고 생각해버린답니다10. 김흥임
'05.3.8 10:04 AM - 삭제된댓글저도 어두운건 싫고 ...예비전력소모나 막을 온 오프 플러그나 알아봐야 겠습니다.
그것만 막아도 전자제품 한대당 월 500원 정도 절약 가능 하다던데 말입니다.11. 시아
'05.3.8 10:06 AM저요,, 요번에 가스비 왕창 아꼈죠,, 저희집이 지어진지 오래되긴 했는데 남향이라 낮에는 가스 안때두 따땃하거든요,, 그래두 쌀쌀하면 전기매트 써요,, 올겨울 평균 12시간은 매트꽂고 산것 같네요,, 그랬더니 가스비 25000정도 전기비 30000-35000정도 왔다갔다 해요,, 물론 어린 애기있음 이렇게는 안되죠,, 제작년엔 가스비만 한십만원정도 나왔던것 같아요,, ^^;;,, 매트꽂고 사니까 가스비는 굳는데 전기파는 모르겠네여 --;;,, 참,, 이번겨울엔 감기한번 안걸렸네요,, 울딸두 저두,, 제작년까진 감기달구 살았는데,, 난방을 안해서 실내가 건조해지지 않아서 그럴까요??,, 하여간 겨울 잘나구 있어여..
12. 민지맘
'05.3.8 10:44 AM맞아요...가스 보일러는요 최고로 높이 올리는거하고 온도 낮게 하는거하고 실제로 가스 소모량은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난답니다. 그래서 온수 쓰실때나 난방시 시간으로 맞춰놓고 대신 온도는 가장 높은
온도로 해놓으면 약하게 자주 트는것보다 훨씬 가스비가 절약된다고 합니다.
약간 춥게 지내는게 감기도 안걸리고 좋은것 같아요. 여러분들 경험 들어보면요^^
사실 저희 어릴때는 내복에 또 덧바지에 위에도 조끼까지 입고도 감기 잘 안걸리고 살았는데..13. 쭈니맘
'05.3.8 11:04 AM아이고..저희집도 가스비가 17만원이나 나오는데...
그렇다고 절절 끓는 찜질방도 아니고요...
대체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어요..
보일러 아저씨를 불러봐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시공..
전기세는 대략 5만원에서 5만5천원가략 나오네요...
아끼고 쓴다고 해도..요샌 정말 전기 잡아먹는 놈들이 넘 많아서리이..
다아 내칠 수 도 없고...
지름신이 더이상 오지 못하게 기도하는 방법밖엔 없네요.....14. 벨르
'05.3.8 11:20 AM헠~ 저는 전기세 5만원에 가스비 17만원 냈어요.. 저번달에... 33평 아파트거덩여..
낮에는 하루종일 집 비워두는데.. 왜케 많이 나오죠?
예전에 린나이 였을땐 일케 많이 안나왔는데.. 롯데가스보일러가 주범인거 같아요..
린나이때는 10만원 정도였는뎅..15. 서연맘
'05.3.8 11:45 AM저희집은 전기료가 14,000원 정도 나옵니다. 아파트라 공동 사용료가 4,000원 정도 추가되구요. 집에 있는 가전제품들은 7년 정도 되었구요, 냉장고, 김치냉장고 빼고는 거의 사용할 때만 전원을 켭니다. 평상시에 코드를 아예 뽑아서 예비전력을 사용하지 않아서 그런건지 전기세는 많이 안나오는데, 맨끝집이라 가스비는 많이 나오는 편이에요. 한 달에 8만 원 정도 나오고 최고로 많이 나올 때는 12만 원까지 나와봤습니다. ㅠㅠ 가스 밸브를 반만 해서 한 달 살아봤는데 가스비 차이가 없더군요. 그래서 다시 원상복귀 시켰습니다. 그렇다고 따뜻하게 사는 것도 아닌데... 가스비 너무 많이 나옵니다.
16. 미스마플
'05.3.8 1:04 PM저희는 다른해엔 별로 아낀 기분 안 드는데.. 올해는 확실히 난방이 많이 안 돌아가게 살았어요.
친정손님들이 두달정도 지내다 간 뒤에 애들이 하도 비리비리 아프길래 보니까 집을 너무 덥게 하고 살았었더라구요. 그래서 아예 확 내려 버리고 애들을 내복 입히고 그 위에 겉옷 입히는 식으로 중무장 시켜서 집에서 놀렸어요. 낮에는 글케 하고 밤에 이불 많이 덮고.. 또 낮추고요.
다른해에 비해 히터가 덜 도니까 집도 덜 건조해져서 목이 건조해서 아프다는 사람 없었고, 저도 낮에 옷을 두껍게 못 입는 성격이라서 가만히 있으면 추우니까 한시를 가만히 안 있고 움직여대서 집도 더 치우게 되고, 뭐 많이 해먹고.. 살도 좀 빠지고 .. 두루 두루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겨울에 꼭 난방 너무 과하게 안 하고 좀 추운듯 하게 살까 합니다..
아.. 컴퓨터도 전엔.. 세대가 24시간 풀 가동이었는데.. 한대만 거의 풀가동하고.. 나머지 두대는 쓰는 사람 있을때만 켜는 걸로 바꾸고.. 텔레비젼이랑 비디오, 디비디는 하루에 한시간 이상 사용 안하고..
온수도 너무 높게 온도 설정 안하고 아무리 뜨겁게 틀어도 데지 않을 정도로 맞춰놓고 살아요.
커다란 오븐대신 토스터오븐을 더 쓰고.. 압력밥솥에 무조건 요리해서 요리시간 줄이고.. 연료 아끼고..
집 지붕에 스카이라잇이라고 창이 있어서 집이 늘 환한 편인데도 습관처럼 집안 여기저기 불을 켜고 살았었는데 요즘은 창문 블라인드랑 커튼을 다 올리고 웬만하면 집 불을 다 끄고 삽니다.17. 디키
'05.3.8 1:59 PM저희집은 오랜된 회사사택이거든요.
거실엔 난방 안되구요.방이 세개거든요.저번달 난방비 장난 아니었어요.13만원.기절하는줄 알았답니다.
작년겨울엔 9만원이 최고였는데....
전기세도 이번에 5만원정도 나왔네요.
평균적으로 35,000원정도 나왔거든요. 역시 전기 압력밥솥에 밥을 안하니까 전기세 약간은 절약되더군요.
그래서 이번에 보일러 조금 열어두고 첫물 설겆이땐 따뜻한물 나머진 찬물로 헹구거든요.
이번엔 난방비가 좀 줄어들려나 모르겠네요.
정말 난방비 많이 나오니까 너무 겁나요.18. 령이맘
'05.3.9 2:19 AM답글중에 롯데보일러얘기가 나와서 저두 한마디....
난방이 시원찮으면서 가스비 많이나오는거 보일러에두 문제가 있어서인것 같아요..
저희 아파트 롯데보일러인데...온수도 시원찮고 난방도 별루고...절약한다고 하는데도..그런데
가스비는 항상 150,000원나와요..형님네도 롯데보일러인데 저희랑 똑같대요...목욕은 항상 대중
목욕탕가서 하고 난방은 켜나 끄나 똑같다고...그얘기듣고...롯데보일러는 공사 따낼려고 기계
에다 쓸돈 로비자금으로 쓰나...하고생각했답니다....시댁에 보일러 바꿔야 하는데...롯데보일러는
저~얼때 안놓을래요...^^;;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5405 | 장롱과 쇼파를 바꾸고 싶은데...^^* 3 | 해인 | 2005.03.08 | 1,841 | 11 |
5404 | GE 냉장고 혹시 시끄러운가요? 13 | 모닝커피 | 2005.03.08 | 1,603 | 1 |
5403 | 벽에 크레파스로.. 5 | 오잉 | 2005.03.08 | 1,195 | 1 |
5402 | 이스트는 어디에서 사나요? 웍대신 운틴전골냄비를 써도 되나요? 5 | 햇살자리 | 2005.03.08 | 1,571 | 5 |
5401 | 코스트코에서 파는 라이벌(?) 전기오븐이요 1 | 쿠키 | 2005.03.08 | 5,088 | 16 |
5400 | 스텐냄비 질문이요~ 2 | 벨르 | 2005.03.08 | 1,308 | 10 |
5399 | 까르프에서 행사하는 로얄덜튼오븐용기 어떤게 젤 유용할까요? 12 | J.E. | 2005.03.08 | 2,483 | 7 |
5398 | 이런 리모콘 어떤가 봐주세요 3 | 초롱아씨 | 2005.03.08 | 1,287 | 7 |
5397 | 다이모와 브라더... 1 | 러스티 | 2005.03.08 | 1,515 | 21 |
5396 | 고민 고민중 오븐 12 | 들들맘 | 2005.03.08 | 1,761 | 2 |
5395 | 어디서 구입할 수 있나요? 4 | 레몬티 | 2005.03.08 | 1,830 | 1 |
5394 | 살림가전 일괄구입- 어디가 좋을까요? 또 비용은요? 3 | 돈까밀로와뻬뽀네 | 2005.03.08 | 1,335 | 2 |
5393 | 모든 부품이 식기세척기에 들어가는 튀김기 3 | 구지연 | 2005.03.08 | 1,702 | 7 |
5392 | 튀김기를 사려구 하는데, 도와주세요.. 8 | 정문지 | 2005.03.08 | 1,195 | 4 |
5391 | 천장에서 물이 샙니다.. | 참기름 | 2005.03.08 | 1,101 | 2 |
5390 | 도와주세요.. 2 | 페퍼민트 | 2005.03.08 | 984 | 3 |
5389 | 코스트코 커클랜드 가루세제 사용하시는분.. 10 | 토비맘 | 2005.03.08 | 4,826 | 2 |
5388 | 전기세,가스비 어떻게 절약 하시나요? 18 | 민지맘 | 2005.03.08 | 6,362 | 12 |
5387 | 영양제요 1 | 지수맘 | 2005.03.07 | 2,022 | 1 |
5386 | 가죽쇼파 어떻게 관리하세요? 4 | 두근두근 | 2005.03.07 | 1,408 | 3 |
5385 | 운틴 팬 색떄문에요... 7 | 바비공주 | 2005.03.07 | 1,316 | 3 |
5384 | 이런 냄비 못 보셨나요? 1 | 산목련 | 2005.03.07 | 1,704 | 3 |
5383 | 후라이팬 사이즈땜에 고민중인데요.. 2 | 푸르니 | 2005.03.07 | 1,585 | 14 |
5382 | 직원이 만들어준 책장 17 | 팔불출엄마 | 2005.03.07 | 3,361 | 43 |
5381 | [질문]암웨이 스텐냄비세트와 아미쿡... 16 | watchers | 2005.03.07 | 3,416 | 13 |
5380 | 이마트 톰스토리 제품 써보신분? 3 | 크리스 | 2005.03.07 | 1,843 | 2 |
5379 | 샌프란시스코 6 | ami68 | 2005.03.07 | 1,783 | 8 |
5378 | 도배죄송^^;; 가마솥 7인용 7 | 겨울아이 | 2005.03.07 | 1,807 | 6 |
5377 | 운틴가마 전골팬과 후라이팬-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래요 11 | 겨울아이 | 2005.03.07 | 4,862 | 3 |
5376 | 백화점에서 받은 스텐냄비셋트 3 | 초연 | 2005.03.07 | 2,68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