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넛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동이
육십 리라고 해서 파랗게 보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던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동이 작은 홍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 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 가는 집 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랫목싸움 자리 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서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로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사슴』 , 백석, 열린책들, 2004년, 17~19쪽
※ 여우난골족 : 여우가 나오는 마을(여우난골) 부근에 사는 일가친척들
※ 진할아버지 진할머니 : 친할아버지와 친할머니 (저희는 예전에 ‘진’이라는 말을 붙이면 할머니 쪽 친척을 말했습니다. 예) 진증조할머니 : 할머니의 어머니)
※ 별자국 : 천연두의 증상으로 남은 다발성 흉터. 곰보자국
※ 포족족 : 빛깔이 고르지 않고 푸른 기운이 돎
※ 매감탕 : 엿을 고아 내거나 메주를 쑤어 낸 솥에 남은 진한 갈색의 물
※ 오리치 : 평북 지역에서 오리를 잡는 데 쓰는 올가미
※ 반디젓 : 밴댕이젓
※ 삼촌 엄매 : 숙모(삼춘의 엄마, 다시 말해서 할머니가 아니랍니다)
※ 숨굴막질 : 숨바꼭질
※ 아르간 : 아랫간, 온돌방에서 아궁이 쪽이 가까운 부분
※ 조아질 : 공기놀이
※ 쌈방이 : 주사위
※ 바리깨돌림, 호박떼기, 제비손이구손이 : 아이들 놀이의 일종
※ 화디 : 등잔을 얹는 기구
※ 사기방등 : 사기로 만든 방에 쓰는 등
※ 홍게닭 : 토종닭
※ 텅납새 : 처마의 안쪽 지붕, 다른 말로 추녀
※ 무이징게국 : 새우에 무를 썰어 넣어 끓인 국
국어 교과서에 실린 시란다
아이들이 듁고 싶겠고나
허나, 어쩌랴
나는 저 시를 읽으니, 외갓집이 생각이 난다
밖에서 뛰놀수 있었던 여름방학말고,
골방에 가둬 놓고 일 나가야 했던 겨울방학이면
우리 남매는 하동으로 청춘이던 이모 삼촌의 손을 잡고
가도 가도 끝이 없던 밤 기차를 여덟시간쯤 매고 갔다.
그곳은 저랬다
새털 같이 무수했던 서사들도 저랬고..
큰 재너머 진고모할매
그 진고모할매 남편이 애를 못 낳아서
의심도 많고..
깔치를 쪼리면, 즈그 마누라 한 점 묵을까
깔치를 잘라서 못 쪼리게 했단다
허리띠 감듯 뱅뱅 돌리가
딱 냄비안에 다 넣고 쪼리야지
안 그라믄 난리 난단다
남자가 애를 당연히 못 낳는 거 아닌가?
임신 못하는 거와 의심이랑 뭔 상관?
그럼 즈그 마누라는 반찬은 뭐 먹지?
어린 마음에 갸웃뚱했는데, 물어 본 기억이 없다.
그곳에선 무엇이든 물어 본 기억이 없다
그곳에선 무엇이든 자체로 이해가 되었다.
좁은 냄비 안에 뱅뱅 또아리를 트고,
뱀처럼 누워서 조려졌을 깔치가 눈에 선해서..
깔깔거리고 웃었더랬는데
그 깔치 처지 못지 않던 우리 진고모할매 생애
내 기억에서 벌써 반세기째 조려지고 있다
* 사진위는 시인의 시, 사진 아래는 쑥언늬 사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