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허균 최후의 19일을 읽다가 만난 화가들

| 조회수 : 1,879 | 추천수 : 29
작성일 : 2005-02-17 14:50:36
오늘은 서양사 시간에 중세 음악과 무용에 관한

글을 읽는 날이었습니다.

너나 없이 잘 모르는 분야를 읽는 바람에

서로 모르는 이야기를 해야 하니

(더구나 성당다니는 골수분자?가 결석한 바람에 )

황당하긴 했지만

그래도 한 번 이렇게 읽고 나면

다음에 어딘가에서 만나면 좀 더 이해가 되겠지싶은 마음으로


끝까지 읽고 나서

오늘 따라 빵과 떡이 풍성한 자리에서 점심으로 먹으면서

이야기꽃을 피우고

천천히 집까지 걸어왔습니다.

요즘 거의 개그맨 수준으로 놀고 있는 아들이

뒤에서 중얼거리면서 수학 숙제를 하는 바람에

저는 첼로 곡 하나 틀어놓고

(아들이 있는 곳에서 소설을 읽거나 집중하는 일을 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라서)

조선 중기 그림을 보고 있는 중이지요.

지난 번에는 방각본 살인 사건덕분에 조선 후기 그림을 보았는데

그저께 부터는 허균 최후의 19일을 보는 중

두 명의 화가가 나오네요.

이정과 이징인데

이정은 허균과 깊은 우정을 나눈

그림의 천재이자 요절한 화가로 나오고

이징은 이정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열등감에 시달리다가 이정이 죽고 나서는

당대의 화가로 주목받았지만

이정의 그림자에 시달리는 인물로 나옵니다.



이 그림은 이정의 문월(달에게 묻는다)이란 그림입니다.

그는 조선 최고의 묵죽화가라고 칭송받았다고 하더군요.

우리 그림을 찾을 때마다 아쉬운 것은 서양화를 찾을 때처럼

제대로 화가에 대한 그림 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인데요

누군가가 이 작업을 하면 일반인들이 우리 그림에 대한

애정을 조금이라도 더 키울 수 있는 바탕이 될텐데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묵죽화를 검색하니 조선 시대 삼대 묵죽화가라고

이정외에도 신위와 유덕장이 소개가 되네요.



이 그림은 신위의 묵죽화입니다.






이 두 묵죽도 역시 신위의 작품인데요

위의 그림은 조선시대의 색상이라고 보기엔 상당한

파격이지요?








이 두 그림은 이정의 작품입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이상좌이고

아버지,작은 아버지도 화가이며 그 자신도 화가이니

3대가 화가집안인 셈이로군요.



이 그림은 이징의 작품입니다.

그는 보수적인 세계관을 그대로 지키면서

작품 활동을 했고

무시무시한 노력을 그림에 쏟은 화가라고도 합니다.




이 그림은 이정의 작은 아버지인 이흥효의 그림이네요.

그는 형이 일찍 죽자 조카를 데려다가 키우면서

그림을 가르쳤다고 합니다.



이 그림은 황집중의 포도 그림입니다.



어몽룡의 매화,황집중의 포도

그리고 이정의 대나무

이렇게 세 사람의 그림을 묶어서 소개하는 글이 많고

그래서 세 사람이 조선중기의 3절이라고 불렸다고 하는군요.




이징의 이금산수도입니다.




이상좌의 송하보월도를 찾았습니다.

이 그림은 미술책에도 자주 나오는 작품이지요.

수학숙제를 끝낸 아들이

이제는 티브이를 크게 틀어놓고

취미생활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음이 산만하여 더 이상 그림 보는 일을 하기가 어렵네요.

외부상황에 관계없이 마음이 평정을 유지할 수 있는

그런 날이 가능할까 한숨이 나오는군요.

인터넷을 닫기 전에 유적장의 묵죽을 찾아보려고

검색을 하니 유덕장의 그림은 못 찾았지만

다른 그림을 상당히 많이 확보해서 올려놓은 싸이트를 만났습니다.




정선의 탁족도로군요.




드디어 찾았습니다.

유적장의 설죽도인데요 느낌이 사뭇 강렬한 그림이네요.




이경윤의 송하취면도입니다.

그림속으로 빨려들어가 저도 한잠 자고 싶군요.

여유 있을 때 이 곳에 다시 들어와

한 점 한 점 구경을 해야 할 모양입니다.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민호마미
    '05.2.17 2:53 PM

    참 그림들이 너무너무 멋스럽습니다...
    구경 너무 잘하고가요~~~^^

  • 2. intotheself
    '05.2.17 2:53 PM

    이정의 그림이라고 생각해서 찾은 묵죽도의 이정은

    허균이 사귀던 그 이정이 아니고

    탄은 이정이로군요.정정합니다.

    그런데 왜 이정의 묵죽도는 쉽게 찾을 수 없는 것일까요?

  • 3. 능단
    '05.2.20 1:54 PM

    그럼 정말 좋네요 . 이징 이면 제가 지금 읽고있는 정민선생의 '미쳐야미친다' 거기 언급이 되어있는 화가인거 같은데요 . 그림 그리는 걸 아버지에게 들켜 매를 맞자 눈물로 찍어 '새'를 그렸다....고 되어있네요 .

  • 4. intotheself
    '05.2.20 8:17 PM

    능단님

    정민 선생의 미쳐야 미친다를 읽고 있다니

    반갑습니다.

    저는 그 저자를 좋아해서 여러 권 읽었는데요

    그 책도 좋고 책 읽는 소리도 좋았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한시이야기도 좋았고요.

    미쳐야 미친다가 마음에 들었다면

    방각본 살인 사건이란 소설도 권할 만 하고

    그리고 제가 지금 읽고 있는 불멸의 이순신에도 배에 미친 사람

    나대용이 나오거든요.

    한 가지 길에서 자신의 전부를 바칠 수 있는 사람들의 존재로 인해

    사람살이의 결이 훨씬 좋아지는 것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 5. 능단
    '05.2.21 8:20 PM

    예 ..잘 읽고있긴 한데 돌쟁이 아가땜에 쉽지가 않네요 책읽기가요 ,,,
    언급하신 책도 읽어보고 싶어요
    예전에는 책한권 하루이틀에도 읽고 했는데 이젠 꿈같은 얘기가 되어버렸네요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005 다시 소설의 세계로 빠져들다 4 intotheself 2005.02.14 1,651 8
2004 발렌타인데이... 5 미정이 2005.02.14 1,054 25
2003 문자를 주고 받을때. 3 경빈마마 2005.02.14 1,735 8
2002 호빵걸 울딸입니다.. 9 포포얌 2005.02.13 1,716 41
2001 강원도 여행 2 4 이윤미 2005.02.13 1,687 52
2000 강원도 여행 1 이윤미 2005.02.13 1,624 72
1999 울산 정자항 3 알콩달콩 2005.02.13 1,317 9
1998 다시,까이으보트의 그림을 보다 1 intotheself 2005.02.13 1,214 20
1997 아빠! 화이링~~ 6 브라운아이즈 2005.02.12 1,527 9
1996 자일리톨 333 카피라이터에 응모했더니.... 3 나비 2005.02.12 2,125 34
1995 허니와 스탠후라이팬~ 10 러브체인 2005.02.12 3,897 54
1994 새벽에 깨어 그림을 보다 2 intotheself 2005.02.12 1,195 17
1993 부모님과 함께한 짧은 나들이 1 경이맘 2005.02.11 1,446 11
1992 행복하여라,새로운 소설가를 만난 날 2 intotheself 2005.02.11 1,536 16
1991 울 쌍둥이 절 받으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3 huhoo 2005.02.10 1,716 12
1990 만트람,성스러운 이름 2 intotheself 2005.02.10 2,129 16
1989 설빔과 두 얼굴(?) 7 cherry22 2005.02.10 2,278 12
1988 맨발에 한복 입고..^^ 17 champlain 2005.02.09 2,606 11
1987 터너와 함께 하는 새해 첫 날 3 intotheself 2005.02.09 1,508 20
1986 떡국 많이 드세요. 8 경빈마마 2005.02.08 2,471 92
1985 이스탄불에서 돌아오는 날 2 intotheself 2005.02.08 1,497 8
1984 넉넉한 마음으로 터너를 보는 시간 5 intotheself 2005.02.08 1,339 10
1983 절올립니다................2탄... 21 박하맘 2005.02.08 1,927 12
1982 마음에 불을 지피는 한 권의 책-겅호 1 intotheself 2005.02.07 1,271 23
1981 우체통 2 우리는 2005.02.07 1,2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