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이런글 저런질문 최근 많이 읽은 글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무농약, 유기농,친환경 용어 이해하기.

| 조회수 : 7,170 | 추천수 : 137
작성일 : 2009-11-03 11:13:27
얼마전 장터에서 있었던  일 입니다.
어느 님께서 올리신 유기농절임배추 글에
어느분이 다른 분의 절임배추 글을 링크를 걸어
가격이 비싸다는 댓글을 올리신 것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댓글로 가격비교를 하는 분께서
한가지 간과한 사실이 있는데
그것은 유기농과 친환경을 단순비교 하신 것입니다.
몰른 대부분 분들이
무농약과 유기농
그리고 친환경에 대한 이해를 하고 계신 것으로 알지만
간혹 무농약과 유기농
그리고 친환경으로 재배한 농산물의 차이를 혼동하는 분이 계신 것 같아
농사를 짓는 사람으로서 간혹 곤혹스러운 때가 있어
무농약과 유기농
그리고 친환경 농사에 대한 나름 견해를 써보고자 합니다.
비록 부족하고 모르는 부분이 많지만
그런대로 봐 주시기 바랍니다.


                 1. 무농약 농사

무농약 농사는 말 그대로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농사를 말 합니다.
유기농 농사가 화학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이나 광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고
친환경 농사가 화학농약을 사용하지만
독성이 강한 고독성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독성이 약한 저독성 농약을 사용하며
저독성 농약도 되도록 적게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무농약 농사는 일체의 화학농약은 물론
자연의 추출물도 일체 사용하지 않는 농사를 말 합니다.
무농약 농사가 일체의 농약과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유기농 농사나 친환경 농사와 다르지만
거름으로는 퇴비만 사용하는 사람이 있고
퇴비와 비료를 함께 사용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농사와 다를 수 있습니다.
유기농 농사가 살균과 제초와 해충 퇴치를 위해 자연추출물과 첨가제를 사용하는 대신
무농약은 일체의 추출물이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제초와 해충 퇴치를 사람의 손으로 해결하게 됩니다.
농사 중에서 가장 자연적인 맛을 내는 농사가
무농약 농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2, 유기농 농사

유기농 농사는
화학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자연추출물과 첨가제를 사용하며
거름은 화힉비료 대신 유기질퇴비와 자연추출물을 사용하는 농사입니다.
무농약 농사가 일체의 추출물과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유기농 농사는 자연추출물과 첨가제를 사용해 제초를 하고 방제를  합니다.
무농약 농사가 제초와 방제작업을 사람의 손으로 하는 반면
유기농 농사는 자연추물물과 첨가제를 사용해
농산물의 저장성과 맛을 어느 정도 조절하는 것이
순수한 본래의 맛을 유지하는 무농약 농사와 다릅니다.
또 화학농약과 비료를 사용하는 친환경 농사와도 다른 점 입니다.


                             3. 친환경 농사

흔히들 친환경 하면
무농약과 유기농 하고 혼동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친환경 농사는 무농약 농사와 같이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아니며
유기농 농사와 같이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친환경 농사는 말 그대로 친환경적인 방법의 농사를 말 하는 것으로
가능하면 고독성 농약대신 저독성 농약을 사용하고
일반농사와 다르게 되도록 농약의 사용을 줄이는 농사이지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요즘 대부분의 농촌은 마을마다 친환경농사를 한다는 명목으로
정부의 지원을 받는 농가들이 많지만
친환경농사를 한다는 농가들 가운데
과연 친환경 농사를 하는 농가들이 얼마나 될지 의문입니다.

무농약, 유기농, 친환경 농사법 가운데
가장 어렵고 힘든 농사법이 무농약 농사입니다.
무농약 농사는 모든 일을 사람의 손으로 직접 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사람과 비용을 들여야 합니다.
유기농 농사가 비용은 많이 들지만 기계적인데 비해
무농약 농사는 사람의 손으로 하는 농사이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인건비와 시간이 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무농약 농사와 유기농 농사
그리고 친환경으로 지은 농산문 가격에
차이가 있어야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하며
그럼에도 가격을 단순비교해
비싸니 싸니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사람도 고 어려운 일을 하면 많은 돈을 받고
적고 편한 일을 하면 적은 돈을 받듯이
농사에 들인 수고와 비용이 큰 농산물과 적은 농산물 사이에
가격의 차이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을까요?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susan
    '09.11.3 12:08 PM

    친환경이 무농약에 유기 비료 사용 안하지만, 인증은 받지 않은...
    뭐 그쯤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ㅋㅋ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농부님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2. 큰손사과
    '09.11.3 4:44 PM

    사과의 경우는 유기, 무농약은 거의 힘들다고 볼수있죠....
    사과의 경우 저농약은 이제 너무 흔하고
    그래서 저농약인증이 없어진다고 하는데....

    유기를 위해 노력해 봐야겠네요^^

  • 3. 사과쨈
    '09.11.4 10:36 AM

    네.. 저도 시골에서 자랐는데
    무농약으로 기르는게..손이 많이 가고
    정말 힘들더라구요..
    읽고나니.. 정리가 다시 확 되네요..ㅎㅎ

  • 4. 아라네 농장
    '09.11.4 2:35 PM

    제가 친환경농산물 중 유기농산물을 재배하는 농민으로 댓글을 안달고 갈수가 없네요.
    제가 며칠전에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란??을 복사해 놓은것이 있는데 참고 하셨음 하네요.http://blog.daum.net/arane62/?_top_blogtop=go2myblog

    그리고 친환경 농산물이라고 이름 붙있수 있으려면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친환경농산물에는 저농약농산물,무농약농산물 ,전환기유기농산물,유기농산물 이렇게 구분되어 빕니다.

  • 5. 낮은창
    '09.11.4 4:38 PM

    <무농약과 유기농그리고 친환경 농사에 대한 나름 견해>를 쓰셨다고 했는데
    말씀하신대로 주관적인 견해일 뿐,
    정확한 사실과는 거리가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생협을 이용하고 있고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신뢰합니다.
    정확한 기준에서 인증을 받고 그에 따라 차등된 댓가를 받는 게 옳겠지요.
    그러기위해서는 그 기준이란 것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름의 견해가 아닌 객관적인 사실에 따른 기준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

  • 6. 사라아씨
    '09.11.5 3:21 PM

    ㅎㅎ유익한 정보네영^^

  • 7. 흙과뿌리
    '09.11.15 9:48 AM

    소비자님들에게 왜곡 될 수 있는 내용에 뎃글로 남김니다.
    결론적으로 친환경농산물중 무.농.약.인.증.이 최고의 단계가 아니고 유/기/인/증/이
    최고의 단계임을 말씀드립니다.
    친환경인증의 단계 순서를 말씀드리면...
    저농약(인증제도 없어짐) → 무농약 → 유기농단계(편집자 주: 원글님께서는 이점에서 오해를하시는 것으로 사료됩니다.)로 최고4~5년이상의 농약과 제초제를 사용하지않은 토양임이 확인되여야 비로서 친환경 농산물의 최고이자 마지막 단계인 유기농산물로 인증이 됨니다.
    또한 원글님께서 친환경 농산물이해하기로 올려주신 글내용에 감사드며 소비자님들에게 왜곡될수있는 내용에서 한 말씀 드린점 오해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9747 2012년? 3 큰손사과 2009.11.03 1,329 116
29746 지갑을 주웠는데 어디로 연락해야 할까요? 10 발상의 전환 2009.11.03 3,347 143
29745 수카드 이용한 연산놀이, 곱셈놀이, 구구단표 사랑스런세아이 2009.11.03 2,269 158
29744 무농약, 유기농,친환경 용어 이해하기. 7 해남사는 농부 2009.11.03 7,170 137
29743 옥장판 좋을까요? 1 sm1000 2009.11.03 1,805 251
29742 다용도 테이블을 하나 샀는데 주변에서 비싸게 샀다고 하는데 함 .. 9 핑 크 공 주 2009.11.03 1,772 101
29741 슬픈(?) 만화 도도새 2009.11.03 1,427 193
29740 곰돌이, 엄마를 잃다. 1 곰쥔장 2009.11.03 1,730 145
29739 노정렬,최요한 "법의 정신은 죽었다!" 비온뒤또비 2009.11.02 1,430 154
29738 휴학해보신분? 답변부탁해요 3 쌍캉 2009.11.02 2,012 215
29737 겉은 멀쩡한데 속은 썩어 구더기가 우글거리는 늙은호박 10 해남사는 농부 2009.10.31 11,638 146
29736 달걀알레르기와 백신 접종 6 초록색 2009.10.31 2,247 154
29735 윤유선씨 좋은아침에서 허연주 2009.10.31 3,312 177
29734 서울에 괜찮은 뷔페집 알려주세요 1 수미맘 2009.10.30 2,353 84
29733 바람난 남편 되돌리기 - 1 고정희 2009.10.30 6,458 160
29732 과천경마공원 3 아름다운주방 2009.10.30 2,097 201
29731 신종플루 때문에 손소독제,세정제가 꼭 필요한가여?? 5 달아달아 2009.10.29 2,036 162
29730 부모양육태도검사 신청하세요 코난 2009.10.29 1,834 224
29729 333번째 행운의 주인공~쌀 20키로 ^^ 다섯아이 2009.10.29 1,591 145
29728 가을에 하는 공부 ㅎㅎ 보라 2009.10.29 1,386 153
29727 7살 여아,머리와 배가 아프다는데... 1 꼬꼬마 2009.10.29 1,852 172
29726 안산 보궐선거 당선자 김영환 5 모두가행복한세상 2009.10.29 2,294 146
29725 여기는 양산입니다 3 왼쪽에서본오른쪽 2009.10.28 2,750 293
29724 세타필 사려면 남대문 어디로 가야하나요? 7 냥~냥~=^.^= 2009.10.28 2,561 182
29723 다음 메인화면에.. 3 spoon 2009.10.28 1,515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