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자식에 대한 기대와 객관성

조회수 : 3,069
작성일 : 2025-11-25 16:28:44

자기 자식은 다 영재같고 천재같고

머리가 좋아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해낼 애라고 생각하는 엄마들 많은 건 알거든요.
근데 저희 부부는 냉정하게

아이가 성실하고 FM 성향이긴 하지만

뛰어나다는 생각은 전혀 없어요.

머리는 평범하면서 스스로 공부하는 초6이예요.

저희는 그 정도에 감사하고 격려해주는 정도입니다.

근데 저보고 자식한테 어쩜 그렇게 기대가 없냐고

친엄마 맞냐고 신기하다는 사람들이 있네요.

영재가 아닌데 영재교 커리큘럼을 왜 따라야 하냐고 물었더니 그렇게해서 다 영재교 과학고 보낸다네요?

학원설명회 좀 다니라고 구박 받았는데

기대가 없다는 말은 좀 억울하네요.

없는 역량을 있다고 믿는게 기대는 아니지 않나요..

 

 

IP : 218.155.xxx.132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25.11.25 4:31 PM (221.138.xxx.92) - 삭제된댓글

    초6때는 여유가 있을 수 있어요.
    전 중학때까지도 여유 있었....

  • 2.
    '25.11.25 4:34 PM (118.235.xxx.234)

    영재 아니어도 서포트를 해야 중간이라도 가기는 하는 경우도 있어서.. 영재만 서포트가 필요한 게 아니니까요

  • 3.
    '25.11.25 4:38 PM (118.235.xxx.234)

    제 말은 자녀분이 범재라는 게 아니고. 학습 외적인 교육적 환경이나 선생님 구하기 등등에 대한 서포트를 받는 사람이 워낙 많기에 혼자서만 해서는 오히려 영재가 아니기 때문에 나중에 더 힘들 수 있어요

  • 4. 원글
    '25.11.25 4:38 PM (218.155.xxx.132)

    서포트해요.
    학원은 영어만 다니고 수학은 혼공하는데
    방치해서 혼공이 아니거든요.
    학습에 대한 진도나 고민은 남편, 아이, 저 셋이 충분히 대화해가며 하고 있어요.
    다만 탁월한 머리가 아닌데 영재교, 과학고 커리큘럼에 맞춰 선행을 쭉 빼라는 얘길 들어서요.

  • 5.
    '25.11.25 4:39 PM (118.235.xxx.234)

    그럼 그냥 영재였으면 하는 사람들이 하는 거 따라하란 소리였던 거 같네요
    무리하게 그러다가 애가 공부에 흥미 잃는게 더 큰일일텐데

  • 6. 원글
    '25.11.25 4:44 PM (218.155.xxx.132)

    윗님 제가 하고 싶은 말이예요.
    그렇다고 선행을 안하진 않아요.
    1년은 선행도 아니라고 하지만 혼자해서 중1, 수1 마쳤어요.
    저희는 아이가 성취감 느끼고 스스로 하는게 더 중요하고
    수학머리가 평범해 저만큼 한 것도 대견하거든요.
    근데 다 시키면 되니 영재교는 무조건 도전해 보는거라길래
    영재 아니라고 했어요. 일반고 보낼거라고요 ㅡㅡ;

  • 7. ......
    '25.11.25 4:46 PM (211.225.xxx.205) - 삭제된댓글

    키워보니 공부도 타고나는거 같아요.
    예체능은 타고나는걸 인정하는데 공부는 시키면 다 잘할거다..라는게..아들 둘인데 하나는 과학고..하나는 예체능 했어요.
    돈들여서 시키면 어느정도까지는 가능 하겠죠.
    공부도 넘사벽 잘하는 애들있고 예체능도 그렇고..

  • 8. 난또
    '25.11.25 4:47 PM (221.140.xxx.254)

    애가 아직 초6이라
    그래도 이정도는 할꺼니까
    믿어의심치않는 기대가 있어서
    그리 우아한체 할수있는거예요
    애 고3되서 다시 글올리세요

  • 9. 원글
    '25.11.25 4:51 PM (218.155.xxx.132)

    아니 무슨 우아한체를 해요 ㅎㅎ
    없는 머리를 있다고 믿지 않는다고요 ㅜㅜ
    기대가 없으니 없다고 말하지 고3되면 못가도 스카이지 이럴까봐서요?

  • 10. 원글
    '25.11.25 4:54 PM (218.155.xxx.132)

    저도 공부는 타고나고 일정부분 밀고 끌면 올라갈 수 있다고도 생각해요. 선행도 할만한 머리니까 초6이 고1 수학도 한다고 봐요. 근데 내 자식이 그 정도 머리는 아니라는 걸 이미 안다는 거예요. 조금 선행한 것도 감사한데 이게 우아한체인가요..

  • 11. 저도 그랬어요.
    '25.11.25 5:15 PM (218.38.xxx.148)

    저도 그랬어요~~ 딸2.. 큰애 평범한 머리 그냥 능력에서 성실하게 노력해 보자! 마인드. 초등학교 운동 열심히 하고 단체 생활 봉사 정신 기르고, 가끔 임원하면 성실하게 공동체에 헌신 하고. 공부는 둘 다 과고 영재고는 아니다.ㅋ 그냥 일반고 코스 고고 모토로 중3때 큰애 고등학교 정하는데. 애가 이과구나 싶어 일반고 과중반 가자 사회를 못하시니. 고등 내신 열심히하고 너무 이기적이지 않게 학교생활하고.. sky 공대 가 열심히 하는중.. 둘째 중딩때 수학하면서 못하겠다고 펑펑 울길래 나 닮아 수학을 못하는구나 미술해 보자 스트레스도 풀 겸. 재능은 없지만 디자인하면 공부 성실히하고 뭐. 어찌.. 감각 기르고 컴퓨터로 뭐 어찌 되지않겠냐 해서 예고 졸업반에 지금 면접 보러 다니고 있고 매일 매일 합격하길 기도하고 있습니다 괜찮습니다 이런마인드... ㅎㅎㅎ

  • 12. ㅇㅇ
    '25.11.25 5:17 PM (211.222.xxx.206)

    지 그릇대로 크는거죠
    엄마가 서포트하는대로 되는놈..죽어도 안되는놈
    방치해도 되는놈 ㅎㅎ

  • 13. 원글
    '25.11.25 5:37 PM (218.155.xxx.132)

    저도 그릇만큼 큰다 생각해요.
    학군지 살아서 뛰어난 애들 종종 봅니다.
    머리도 좋지만 탐구 자세, 엉덩이힘까지 뛰어난 애들이요.
    그런 탁월한 애들이 영재교, 과학고 간다 생각해요.
    애초에 머리가 다른데 그 아이들 푸는 문제집, 학원 푸쉬하고 싶지 않아요.

  • 14. ㅁㅁ
    '25.11.25 5:43 PM (39.121.xxx.133)

    저도 그런데요..?ㅎㅎ
    엄마 아빠 공부 괜찮게 했고, 초딩딸 잘하는편이에요;;
    아직 앞으로 변수가 많긴 하지만요..
    저보다 공부 더 잘한 남편, 딸이 영재 천재급은 아니니 앞으로도 무리하게 시키지말자주의예요. 한다고하면 시켜는주지만 욕심은 없어요. 공부 아니어도 된다는 주의..

  • 15. ㅎㅎㅎ
    '25.11.25 5:48 PM (211.234.xxx.49)

    제가 영재라서 제 딸 뛰어나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데, 또 뛰어난 구석이 보이기도 하구요 ㅎㅎ 부모가 좋은 기대를 해주는 건 아이를 위해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영재고 커리큘럼은 음~~~ 뭐~~~ 배우는 사람만 스트레스 받지 않으면~~~
    중학교 때 학교에서 배우는 것만으로는 수학이나 과학을 잘 알기에는 매우 부족하니 머리 팽팽 돌아갈 때 수학 과학의 도를 탐구해보는 용도 아닐까요~~~

  • 16. ㅎㅎㅎ
    '25.11.25 5:51 PM (211.234.xxx.49)

    머리도 좋고 호기심도 많고 집중력도 있고~~
    그런 친구들이랑 같이 공부해보는 거죠 뭐~~ 푸쉬할 건 없겠구요~~~ 재미 삼아 하면 되지 않을까요~~~
    아이가 너무 스트레스 받아하는 스타일이라면 시키면 안될 것 같구요~!

  • 17. ㅌㅂㅇ
    '25.11.25 6:09 PM (182.215.xxx.32)

    저는 원글 님 방식이 옳다고 생각해요 부모가 앞서서 목줄 잡고 끌어대면 공부할 수 있는 애들도 다 나가 자빠집니다

  • 18. 원글
    '25.11.25 6:24 PM (218.155.xxx.132)

    수학학원을 1년정도 다녔어요.
    진도 너무 빨라 힘들어했고(심화를 거의 못풀었어요)
    틱도 와서 그만 뒀는데
    그 때보다 혼자 하는 지금이 심화문제를 대하는 자세나 결과도 훨씬 좋아요. 남편이 수학 잘했던 공대 엔지니어라 종종 봐주는데 이제야 좀 머리가 돌아가는게 보인대요 ㅎㅎ
    요즘 제 가장 큰 고민은 저희 학군 일반고도 극상위권도 많다해서 어떻게하면 스트레스 관리하며 그 면학분위기를 탈까 입니다. 결국 아이가 해내야 할 일이지만 도움이 될만한 일이 있을까 하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6427 쟁반 수납 팁 좀 주세요 3 쟁반이요 2025/11/25 867
1776426 배추9포기에 고추가루 1kg 안모자라나요 17 ... 2025/11/25 1,933
1776425 진짜 맛있는 고구마 10 . 2025/11/25 2,234
1776424 고기를 쉽게 늘 먹는방법 뭣이있을까요? 9 ㅁㅁ 2025/11/25 1,616
1776423 요즘 부쩍 정신나간 중년층 운전자들이 왜이리? 7 내 생각 2025/11/25 1,413
1776422 “尹 구속취소 때 왜 항고 포기했나”…특검, 대검 간부들에 질의.. 2 상식수준 2025/11/25 1,980
1776421 절임 배추 추천해 부탁드려요 1 김장 김장 2025/11/25 282
1776420 윤썩 변호인들은 윤썩을 변호하지 않는데요? 3 ..... 2025/11/25 972
1776419 저 천주교 신자인데, 기도방법 알려주세요 7 천주교 신자.. 2025/11/25 887
1776418 샤를리즈 테론 177cm네요 4 ........ 2025/11/25 2,493
1776417 김장이 짤 경우 무 넣는 것 질문이예요 3 김장 2025/11/25 785
1776416 김장김치 고추가루가 부족한데 지금 넣어도 1 더넣으면 2025/11/25 501
1776415 "잠만 잤는데 월급 절반 증발"…서울 아파트 .. 9 ... 2025/11/25 5,834
1776414 황금절임배추로 김장하시는분 계신가요? 8 ... 2025/11/25 1,159
1776413 여기.악플달고 다니는 사람들 인생이 불쌍해요 11 2025/11/25 767
1776412 무 하나 사서 세 가지! 3 Sff 2025/11/25 2,281
1776411 한문철씨는 매달 얼마나 벌까요? 10 ........ 2025/11/25 3,851
1776410 사과가 너무 새콤달콤해서 먹기 힘든거 혹시 이해하실수 있나요? 4 ... 2025/11/25 1,296
1776409 대학 캠퍼스 생활이야기 4 음.. 2025/11/25 1,397
1776408 샤를리즈 테론은 왜 결혼하지 않았을까요? 8 2025/11/25 2,810
1776407 근데 실제 영재가 있긴하나요 9 hggf 2025/11/25 2,004
1776406 응팔 보신분들께 질문 있어요 ㅋㅋ 4 후리랜서 2025/11/25 1,472
1776405 자식에 대한 기대와 객관성 16 2025/11/25 3,069
1776404 게시판 글쓰기 저장기능있었음 좋겠어요 1 ㅇㅇ 2025/11/25 192
1776403 이미연 최근 모습 영상 46 고급스럽게 2025/11/25 14,592